도검 刀劍 소드 Sword

도검의 분류와 발전의 역사

0
도검 刀劍 소드 Sword

1.도검의 분류법

1-1. 오크숏 분류법
역사가 에워트 오크숏이 개발한 분류 체계는 중세 유럽 검을 칼날 형태와 칼자루 구조를 기준으로 체계화했다. 이 분류법은 소형 단손검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체계다.

에버트 오크숏(Ewart Oakeshott, 1916-2002)은 중세 유럽 도검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영국의 수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 역사가였다. 그의 분류 체계는 현재까지도 중세 유럽 도검 연구의 기준이 되고 있다.

오크숏의 분류 체계는 도검의 형태와 기능을 기준으로 나누며,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했다.
– 칼날(Blade)의 형태: 길이, 폭, 선형, 단면 구조 등
– 손잡이(Hilt)의 디자인: 자루(Grip), 가드(Crossguard), 손잡이 끝(Pommel)의 형태
– 도검의 시대적 맥락: 제작 시기와 사용된 전투 기술

오크숏의 분류는 주로 칼날의 형태, 손잡이의 구조, 무게중심 등을 기준으로 하며, 로마 숫자로 Type I부터 Type XXII까지 구분된다. 각 유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Oakeshott types

Type I (약 1000-1200):
– 바이킹 시대 말기부터 초기 중세 시대의 검
– 넓고 평평한 날을 가진 둥근 끝 모양
– 짧은 십자가형 가드와 브라질 너트 모양의 폼멜
– 길쭉한 리프형(leaf-shaped) 블레이드
– 초기 바이킹 검과 유사

Type II (약 1100-1175):
– Type I과 유사하나 날이 더 가늘어짐
– 더 뾰족한 끝 모양
– 십자가형 가드가 약간 더 길어짐
– 블레이드가 길고 좁으며, 끝이 뾰족함.
– 원형 또는 팔각형의 손잡이
– 노르만 검의 초기 형태

Type III (약 1100-1175):
– 날이 길고 가늘며 끝이 매우 뾰족함
– 그립이 길어짐
– 디스크형 폼멜과 곧은 십자가형 가드
– 초기 중세 유럽 전형적인 형태

Type IV (약 1150-1250):
– 강하고 두꺼운 날을 가진 절단용 검
– 렌즈형 단면
– 브라질 너트나 디스크형 폼멜
– 블레이드가 넓고 끝이 더 뾰족해짐
– 그립이 길어져 양손 사용 가능

Type V (약 1150-1250):
– Type IV와 유사하나 더 가늘고 긴 날
– 더 뾰족한 끝
– 다양한 폼멜 스타일
– 블레이드의 폭이 균일하며 끝이 뾰족함
– 일반적으로 십자형 가드와 함께 사용됨

Type VI (약 1200-1350):
– 길고 날씬한 찌르기용 검
– 육각형이나 다이아몬드형 단면
– 휘어진 십자가형 가드
– 말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

Type VII (약 1200-1350):
– 길고 가는 날과 렌즈형 단면
– 긴 그립과 큰 휘어진 십자가형 가드
– 원반형 폼멜
– 블레이드가 상대적으로 가늘고 균형 잡힌 디자인
– 방패와 함께 사용

Type VIII (약 1200-1350):
– 중간 길이의 날과 평행한 날 모서리
– 뾰족한 끝과 렌즈형 단면
– 곧은 십자가형 가드
– 찌르기에 특화된 형태

Type IX (약 1250-1400):
– 넓은 날과 평행한 날 모서리
– 중간 길이의 그립
– 휘어진 십자가형 가드
– 단순하고 실용적인 디자인

Type X (약 950-1100):
– 넓은 날과 얕은 풀러
– 짧은 십자가형 가드
– 초기 십자군 시대의 대표적 형태

Type XI (약 1100-1175):
– 좁은 풀러가 날 끝까지 이어짐
– 디스크형 폼멜
– 블레이드가 더 길어지고 가벼워짐
– 기병용 검으로 적합

Type XII (약 1180-1320):
– 넓은 날과 짧은 풀러
– 다양한 십자가형 가드와 폼멜
– 찌르기와 베기에 모두 유용

Type XIII (약 1240-1350):
– 길고 넓은 날
– 둥근 끝
– 긴 그립과 큰 원반형 폼멜
– 대검(그레이트소드)의 초기 형태

Type XIV (약 1275-1340):
– 짧고 넓은 날
– 매우 뾰족한 끝
– 짧은 그립
– 방패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

Type XV (약 1300-1500):
– 다이아몬드형 단면의 날
– 긴 그립
– 긴 삼각형 블레이드
– 찌르기에 특화된 디자인

Type XVI (약 1300-1350):
– Type XV와 유사하나 풀러가 있음
– 찌르기와 베기 모두 가능한 디자인
– 긴 그립
– 더 긴 블레이드와 뚜렷한 중앙 리지

Type XVII (약 1350-1425):
– 매우 길고 가는 날
– 육각형 단면
– 매우 긴 그립
– 갑옷을 관통하기 위한 찌르기에 특화

Type XVIII (약 1350-1425):
– 다이아몬드형 단면
– 중간 길이의 그립
– 복합적인 용도의 검
– 균형 잡힌 블레이드와 더 뾰족한 끝
– 다용도로 사용 가능

Type XIX (약 1350-1425):
– 좁은 날과 육각형 단면
– 긴 그립
– 찌르기에 특화된 디자인
– 도시 방어용으로 적합

Type XX (약 1350-1425):
– 길고 넓은 날
– 렌즈형 단면과 풀러
– 양손검으로도 사용 가능
– 넓은 블레이드와 긴 손잡이
– 대검으로 사용됨

Type XXI (약 1350-1425):
– 매우 길고 가는 날
– 다이아몬드형 단면
– 찌르기용 검
– 얇고 가벼운 블레이드
– 기병용으로 설계됨

Type XXII (약 1350-1425):
– 넓은 날과 평행한 날 모서리
– 렌즈형 단면
– 절단과 찌르기 모두 가능한 디자인
– 블레이드가 넓고 짧으며 방어적 목적에 적합
– 후기 중세 검의 대표적인 형태

Type XVI-XXII는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발전한 다양한 형태의 검들을 포함하며, 갑옷의 발전과 전술의 변화에 따라 더욱 전문화된 형태를 보인다.

오크숏은 또한 검의 손잡이 부분도 세부적으로 분류했다:
– 손잡이 끝장식(pommel) – A부터 Z까지의 알파벳으로 분류
– 가드(칼 방패, 코등이) – 스타일 1부터 12까지 번호로 분류

이 분류 체계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1. 도검의 연대 추정에 도움
2. 전투 기술의 발전 과정 이해
3. 문화적 교류와 기술 전파 연구에 기여
4. 박물관 소장품 분류와 연구의 표준 제공

오크숏의 연구는 그의 저서 『The Archaeology of Weapons』 (1960)과 『Records of the Medieval Sword』(1991)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2-1. 동아시아의 분류법
아시아권에서는 양날의 직날 무기를 검, 단날 무기를 도로 구분한다. 시크교에서는 단날의 키르판과 양날의 칸다/테가로 구분하며, 남인도의 추리카는 독특한 양날검의 형태를 보인다.

동아시아에서 도검은 크게 ‘도(刀)’와 ‘검(劍)’으로 분류한다. 이 중 ‘도’는 한쪽에만 날이 있는 무기를, ‘검’은 양쪽에 날이 있는 무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분류법은 오늘날에도 도검학과 무기 역사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그 기원과 정착 과정은 복잡하고 흥미롭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서기 100년경) 도와 검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 刀(도): 『설문해자』에서는 刀를 “兵也。象形。凡刀之屬皆从刀”라고 설명한다. 즉, “도는 병기(兵器)이며 상형자이다. 도(刀)에 속하는 것은 모두 도(刀)를 따른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형(象形)’이라는 부분이다. 이는 도(刀)라는 글자가 한쪽에 날이 있는 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임을 의미한다.

갑골문의 도(刀)의 형태    
금문의 도(刀)의 형태

* 劍(검):『설문해자』에서는 검劍을 “人所帶兵也。从刃僉聲”라고 설명한다. 즉, “사람이 차는 병기이다. 인(刃)을 따르고 첨(僉)이 발음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인(刃)’이다. 인(刃)은 칼날을 의미하며, 검(劍)이 칼날, 즉 날을 가진 병기임을 나타낸다. 하지만 양날인지 외날인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하지만『설문해자주(석)說文解字注』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劒)人所帶兵也。桃氏爲劒:有上制,有中制,有下制。注云:此今之匕首也,人各以其形皃大小帶之。从刃。僉聲。
번역: 검(劍)은 사람들이 휴대하는 병기이다. 도씨(桃氏)가 검을 만들었는데, 상등 규격, 중등 규격, 하등 규격이 있었다. 주석에 이르기를, 이는 지금의 비수(匕首)와 같은 것이다. 사람들은 각자 그 모양과 크기에 따라 (몸에) 찼다. ‘인(刃)’ 부수로 이루어져 있고, ‘첨(僉)’이 발음 부분이다.

자세한 해설:
人所帶兵也 (인소대병야): 검은 사람이 휴대하는 병기라는 뜻이다. 고대에는 ‘병(兵)’이 무기를 총칭하는 의미로 쓰였다.
桃氏爲劒 (도씨위검): 검을 도씨가 만들었다고 한다. 도씨는 고대의 장인으로, 금속으로 된 기물을 잘 만들기로 유명했다. 《주례(周禮)》〈고공기(考工記)〉에 도씨의 작업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있다.
有上制,有中制,有下制 (유상제, 유중제, 유하제): 도씨가 만든 검에는 상등, 중등, 하등의 여러 규격과 등급이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고대 공예품 제작의 정교함과 규범을 보여준다.
此今之匕首也 (차금지비수야): 매우 중요한 주석이다. 여기서 말하는 ‘검’이 실제로 현대의 ‘비수’와 같은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는 『설문해자說文解字』가 쓰여진 시대에 ‘검’의 의미가 후세와는 달랐거나, 혹은 여기서 특별히 짧은 칼, 즉 비수와 유사한 것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人各以其形皃大小帶之 (인각이기형모대소대지): 사람들이 비수의 모양, 외형, 크기에 따라 선택하고 휴대했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여러 규격과 일치한다.

53644016259 1a7a9692c7 c d
비수. 비수의 ‘비’는 숟가락 비이다. 사진은 용문비龍紋匕인데, 서주 시대 초기의 숟가락이다. 길이 19.5cm. 1961년 섬서성 장안 장가파張家波에서 출토됐다.

특히 주석 부분에서 ‘검’이 비수를 가리킨다고 명확히 밝히는 점은 고대 문헌에서 ‘검’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비수는 숟가락으로 실물이 남아있기 때문에 무엇인지 알기 쉽다. 비수는 숟가락을 일컬었는데 후대에 이 모양의 칼을 지칭하게 되었다. 

53576114264 f6895fe8fa d
중국의 전통 암기, 비수. 정해진 규격은 없다.

즉, 이 당시에 ‘검’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긴 칼이 아니라, 짧은 칼, 즉 ‘비수’를 의미할 수도 있다는 점이고 양날의 칼은 검, 한날의 칼은 도라는 구분이 이 당시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3574921937 f38f591e5e w d
페어번 단검의 모체가 된 상하이 대검. 비수의 형태다.

2. 도검의 탄생과 초기 역사

2-1. 검의 기원: 비소 청동과 초기 청동기 문화
칼은 수동으로 베거나 찌르는 데 사용되는 날이 있는 무기다. 칼은 단검이나 나이프보다 길며, 손잡이가 달려 있 직선형이나 곡선형일 수 있다. 찌르기용 칼은 보통 직선형의 뾰족한 끝을 가진 날을 가지고 있으며, 베기용 칼은 대개 곡선형으로 되어 있어 날의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다. 많은 칼은 찌르기와 베기 둘 다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다. 칼의 정확한 정의는 역사적 시대와 지리적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칼은 청동기 시대에 단검에서 발전한 무기로, 가장 오래된 검의 예는 기원전 약 1600년경이다. 철기 시대의 칼은 비교적 짧았고 수평 손잡이가 없었다. 로마 후기 군대에서 발전한 스파타는 중세 유럽 칼의 전신으로, 초기에는 이주기 칼로 채택되어 고중세에 이르러 수평 손잡이가 있는 전통적인 전투용 칼로 발전하였다. 칼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sword’는 고대 영어 ‘sweord’에서 유래하였다.

칼을 사용하는 기술은 검술, 현대적인 맥락에서는 펜싱으로 알려져 있다. 근대 초기에 서양의 칼 디자인은 찌르기용 칼과 군도로 나뉘었다. 찌르기용 칼은 레이피어나 스몰소드처럼 상대를 빠르게 꿰뚫어 깊은 상처를 내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칼들은 길고 직선적이며 가볍고 균형이 잘 잡혀 있어 결투에서 기동성이 뛰어나고 치명적일 수 있었으나, 베기나 내리치는 동작에서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었다. 이는 현대 펜싱과 유사한 전투 스타일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베기용 칼은 군도나 카틀라스 같은 무기로, 더 무겁고 주로 전투에서 사용되었다. 군도의 긴 곡선형 날과 약간 앞쪽으로 치우친 무게 균형은 전장에서 특별하게 활용되었다. 군도는 날카로운 끝과 양날을 가지고 있어 기병 돌격 중 여러 적을 관통할 수 있었다. 이 칼은 20세기 초까지 계속 전장에서 사용되었고, 미 해군 M1917 커틀러스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군기고에 보관되었으며, 많은 해병이 태평양 전쟁 동안 임시 정글 마체테로 M1941 커틀러스의 변형을 사용하였다.

비유럽권에서 칼로 분류되는 무기에는 중동의 시미타, 중국의 도(刀), 일본의 카타나 같은 단일 면의 무기가 포함된다.

2-2. 청동기와 철기 시대 검의 발전
칼이라고 할 수 있는 최초의 무기는 기원전 33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무기는 터키의 아르슬란테페에서 발견된 것으로, 비소 청동으로 제작되었으며, 길이는 약 60cm(24인치)이다. 일부의 경우 은으로 상감되어 있는 특징도 있다.

이후 검은 칼knife이나 단검dagger에서 발전하게 되었다. 청동기 시대인 기원전 3000년경에는 검이 단검과 차별화되었으며, 이 시기에 구리와 청동으로 만든 무기는 긴 잎 모양의 칼날과 손잡이 형태가 결합된 자루로 제작되었다. 칼은 절단면이 하나뿐인 반면, 단검은 두 개의 절단면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더 긴 칼날의 제작은 중동에서 기원전 3000년 동안 가능하였으며, 처음에는 비소 구리로, 그다음에는 주석 청동으로 이루어졌다.

60cm(24인치)보다 긴 칼날은 청동기 시대 말까지 드물었고 실용성에서도 한계가 있었다. 청동의 탄성 계수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긴 칼날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었다. 단검에서 검으로의 발전은 점진적인 과정이었으며, 모호함 없이 검으로 분류할 수 있는 최초의 무기는 기원전 1700년경 미노스 크레타에서 발견된 것으로 총 길이가 100cm(39인치)를 넘었다. 이들은 에게해 청동기 시대의 “A형” 칼로 알려져 있다.

유럽 청동기 시대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검의 유형 중 하나는 Naue II 유형으로, 이는 처음 설명한 Julius Naue의 이름이 붙여졌다. 이 유형은 기원전 13세기경 북부 이탈리아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약 7세기 동안 수명을 유지하고 철기 시대까지 잘 보존되었다. Naue II 검은 청동에서 철로 변화하는 과정에서도 기본 디자인은 변화하지 않았다.

Naue II 검은 유럽에서 에게해로, 그리고 더 멀리 우가리트까지 수출되었다. 이는 기원전 1200년경, 즉 청동기 시대 붕괴와 관련된 궁전 문화의 붕괴 직전의 일이다. Naue II 검은 길이가 85cm에 이를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표본은 60~70cm 범위에 속한다. Robert Drews는 남부 유럽에서 지중해로 퍼진 Naue Type II 검이 청동기 시대 붕괴와 관련이 있다고 밝혔으며, 북유럽에서 제작된 풀 힐트 검은 기능성과 미학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이 검의 칼자루는 아름답게 제작되었고, 종종 가짜 리벳이 들어가 있어 시각적으로 더욱 매력적인 요소를 제공했다.

중국에서는 청동기 시대 상나라에서부터 칼이 생산되었으며, 청동 칼 기술은 전국 시대와 진나라 시대에 절정을 이루었다. 이 시기의 청동기는 매우 단단하여, 높은 주석 비율인 17~21%의 청동이 사용되었고, 다른 문화권에서 주로 사용되는 낮은 주석 비율(보통 10%)의 청동과는 대조된다. 철제 도검은 청동과 함께 제작되었으나, 철이 청동을 완전히 대체한 것은 한나라 초기였다.

인도 아대륙에서는 청동기 시대 구리 칼이 남아시아 북서부 지역의 인더스 계곡 문명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이 칼은 일반적으로 구리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하게 기원전 1700년에서 14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의 이 시기에 발견된 다른 칼은 칼루르, 라이추르 지역에서도 확인되었다.

3. 철기 시대의 특징

3-1. 철검의 도입과 군사적 변화
철검은 기원전 13세기를 기점으로 전장에서 주류 무기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전 시대에는 검의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나, 철의 도입으로 무기 제작과 보급에 혁신적 변화가 일어났다. 당시 제작된 철검은 현대적 의미의 담금질 공정은 없었으나, 망치로 반복해서 두드려 가공 경화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러한 제작 방식으로 만들어진 철검은 청동검과 비교해 유사하거나 약간 더 나은 강도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철의 보편화가 가져온 군사력의 변화다. 청동기 시대 이집트 군대가 일부 부대에만 청동 무기를 갖출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철기 시대에는 처음으로 전체 군대에 금속 무기를 보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군사 전략과 전술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3-2. 고대 무덤에서 발견되는 검의 문화적 의미
고대 무덤에서 발견되는 검들은 당시 사회에서 검이 가진 문화적, 종교적 의미를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우 검은 시신의 우측에 배치되었으며, 종종 시신 위에 직접 올려진 상태로 발견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후기 철기시대 무덤에서 발견되는 180도로 구부러진 검과 검집이다. 이는 ‘검 죽이기killing the sword’ 의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사회에서 검을 단순한 무기 이상의 강력한 상징물로 여겼음을 시사한다.

54259934785 5f1699a9e5 z d
검 죽이기killing the sword’ 의식

3-3. 인도의 철강 기술과 국제 무역
인도는 기원전 1천년경 획기적인 고탄소강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후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마스커스강의 기원이 되었다. ‘에리트라이아해 항해기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의 기록에 따르면, 고대 인도는 그리스로 철검과 강검을 수출했으며, 이는 당시 인도의 제철 기술이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준다. 인도에서 제작된 다마스커스강 검날은 페르시아까지 수출되어 광범위한 무역망을 형성했다.

3-4. 그리스-로마 시대의 검 문화
그리스-로마 시대의 검은 실용성과 예술성을 모두 갖춘 것이 특징이다. 그리스의 크시포스와 로마의 글라디우스는 60~70cm 길이로 제작되어 근접 전투에 최적화되었다. 후기 로마제국에 이르러서는 더 긴 스파타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기병전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스파타를 다루는 전문가인 스파타리우스가 콘스탄티노플에서 중요한 궁정 직위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3-5.  페르시아와 중동의 검 발전
페르시아 제국은 기원전 1천년경 스키타이 디자인의 아키나케스를 주력 무기로 채택했다. 35~45cm 길이의 양날검인 아키나케스는 특히 그 장식적인 검집으로 유명했다. 검집에는 화려한 장식이 새겨졌으며, 착용자의 우측 벨트에 매달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되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빠른 공격이 가능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분석된다.

페르시아의 검 문화는 12세기에 이르러 큰 변화를 맞이했다. 셀주크 왕조가 도입한 곡선형 샴시르는 16세기 초까지 페르시아의 대표적인 검으로 자리잡았다. 이 곡선형 검은 기존의 직선형 검과는 다른 전투 기술을 요구했으며, 새로운 전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4. 중국의 검 제작과 발전

4-1. 철검의 등장과 중국의 역사적 검
중국의 검 문화는 서주 후기에 철검이 처음 등장했으나, 본격적인 보급은 기원전 3세기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중국의 대표적인 검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단날의 도(刀)는 실전에서의 효율성을 강조한 것이며, 양날의 검(劍)은 의례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송나라 시대에 개발된 참마도다. ‘말을 베는 칼’이라는 뜻을 가진 이 장검은 기병 부대에 대항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이는 당시 중국이 북방 유목민족과의 전투에서 직면한 군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였다.

4-2. 검의 사회적 의미와 계급적 상징
로마 시대부터 유럽에서 검은 단순한 무기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검은 귀족과 상류 계층의 특권을 상징하는 명예로운 무기로 여겨졌다. 이러한 전통은 중세 시대를 거쳐 근대까지 이어져, 검은 신분과 권위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더불어 검은 법 집행의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비수술적 절단이나 참수형과 같은 형벌의 집행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검이 가진 권위와 정의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다.

5. 중세 시대의 도검

유럽
5-1. 중세 초기와 바이킹 검의 발전
이주 시대와 중세 초기를 거치며 로마의 스파타 유형 검은 지속적인 인기를 누렸다. 특히 벤델 시대의 스파타는 게르만 예술 양식으로 장식되어, 로마 동전을 모방한 게르만 브락테아테 스타일의 특징을 보였다. 바이킹 시대에 이르러 검의 생산은 표준화되었으나, 기본 디자인은 여전히 스파타의 영향을 받았다.

5-2. 10세기 기술 혁신: 울프버트 검
10세기경 검 제작 기술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적절한 담금질, 강화, 템퍼링 기술이 보편화되었으며, 특히 프랑크족의 ‘울프버트’ 검은 당대 최고의 품질을 자랑했다. 이 검의 우수성은 샤를 대머리가 바이킹의 약탈을 우려해 수출을 금지하려 했다는 사실에서도 입증된다.

5-3. 십자군 시대의 검과 다마스커스강의 부활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5세기에 개발된 우츠(Wootz) 강철, 즉 다마스커스 강철은 16-17세기에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았다. 이 강철은 특수 제련과 재가공을 통해 펄라이트 매트릭스에 구형 세멘타이트가 형성되는 독특한 특성을 가졌다. 11세기부터 노르만 검은 십자형 가드(quillons)를 발전시켰다. 12-13세기 십자군 전쟁 기간 동안 이 디자인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주로 폼멜 형태에서만 변화가 있었다. 14세기에 이르러 갑옷 기술이 메일에서 플레이트로 발전하면서, 검 역시 관통력이 향상된 끝부분 설계가 일반화되었다.

5-4. 14세기: 바스타드 소드의 등장
갑옷 기술의 진보에 대응하여 ‘바스타드 소드’ 또는 ‘핸드 앤 하프 소드’가 개발되었다. 이 검은 긴 손잡이를 특징으로 하여 한 손이나 두 손 모두로 사용이 가능했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방패나 패링 단검을 들고, 필요시 양손으로 더 강력한 타격을 가할 수 있었다.

5-5. 중세 후기의 혁신적 검 디자인: 롱소드와 에스톡
1300-1500년 사이, 갑옷의 발전과 함께 검 디자인도 급속도로 진화했다. 특히 랑게스 슈베르트(롱소드)는 15-16세기의 대표적인 검이 되었다.

갑옷 관통에 특화된 에스톡과, 16세기 독일과 스위스의 정예 용병이 사용한 츠바이헨더는 각각의 특수한 용도로 개발되었다. 특히 츠바이헨더는 최대 6피트(1.8m)에 달하는 길이로, 적의 장창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었다.

6. 르네상스 시대의 검

6-1. 사이드 소드와 레이피어
16-17세기의 사이드 소드는 갑옷을 입은 적과 입지 않은 적 모두에게 효과적인 무기였다. 리카소에 손가락을 얹는 새로운 그립 기술의 도입으로 검 디자인이 더욱 정교해졌으며, 이는 후에 민간용 레이피어 개발의 기초가 되었다.

6-2. 중동의 도검 문화
오스만 제국에서는 16세기 중반 야타간이라는 곡선형 세이버가 등장해 터키와 발칸반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6-3. 검의 사회문화적 의미
중세 시대 전반에 걸쳐 검은 ‘신의 말씀’을 상징하는 종교적 의미를 가졌다. 많은 검에 부여된 고유한 이름들은 무기의 명성과 소유자의 지위를 반영했다. 특히 르네상스 후기에는 민간인의 검 소지가 보편화되면서, 결투가 명예로운 분쟁 해결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화기의 발전으로 검의 군사적 중요성은 점차 감소했으나, 개인 방어용 무기이자 신분과 명예의 상징으로서 그 문화적 중요성은 계속해서 유지되었다.

6-4 . 중동의 곡도
중동의 곡도 문화는 9세기 페르시아 후라산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아랍의 사이프, 페르시아의 샴시르, 투르크의 킬리지 등 다양한 지역적 변형이 발전했으며, 이는 이후 이슬람 문명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6-5. 아프리카의 독특한 도검 문화

서부 사헬 지역
타코바는 서부 사헬 지역의 대표적인 브로드소드로, 비잔틴과 이슬람 검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약 1미터 길이의 직선 양날검이 특징이며, 주로 유럽에서 수입된 검을 기반으로 했다.

아비시니아와 아산테
페르시아의 샴시르에서 영향을 받은 아비시니아의 쇼텔은 아산테족에 의해 아크라페나로 발전했다. 이 검은 현재까지도 오드위라 축제와 같은 전통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7. 일본 및 동남아시아의 도검 문화

일본의 도검 문화는 900년경 타치의 등장으로 본격화되었다. 13세기 초 사무라이 계급의 등장과 함께 일본도는 세계 최고의 베기 무기로 평가받았다. 주요 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노다치: 매우 긴 야전용 검
– 타치: 기병용 장검
– 카타나: 표준형 장검
– 와키자시: 카타나의 보조검

15-16세기는 일본 도검의 전성기로, 20만 개 이상의 검이 아시아 각국으로 수출되었다.

7-1. 남아시아의 검 문화

인도의 전통 검
칸다는 인도의 대표적인 양날검으로, 종교적 상징성이 강했다. 힌두교, 불교, 시크교의 경전과 예술에 자주 등장하며, 특히 시바신의 상징으로 숭배되었다.

혼합 문화의 산물
피랑기firangi 는 유럽식 검을 기반으로 한 인도의 독특한 검 문화를 보여준다. 주로 기병용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마라타족, 시크교도, 라지푸트족에게 널리 채택되었다.

7-2. 동남아시아의 검 문화

인도네시아
8-10세기 자바의 힌두 문화에서는 인도식 검이 발견되지만, 크리스, 파랑, 클레왕, 골록과 같은 고유의 무기가 더 선호되었다.

필리핀
캄필란과 파나바는 필리핀의 전통 대검으로, 1521년 막탄 전투에서 라푸라푸가 마젤란을 물리칠 때 사용된 것으로 유명하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이러한 전통 무기가 금지되었으나, 농기구로 위장한 형태로 계속 사용되었다.

7-3. 태평양과 아메리카의 독특한 무기 문화

메소아메리카
아즈텍, 마야, 톨텍 등의 문명에서는 마쿠아후이틀이라는 목제 브로드소드가 사용되었다.

태평양 섬들
길버트 제도의 키리바시족은 상어 이빨로 만든 특수한 형태의 검을 개발했으며, 이는 하와이의 레이오마노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각 지역의 검 문화는 해당 지역의 기술 수준, 문화적 특성, 전쟁 양식에 따라 독특하게 발전했으며, 이는 세계 무기 발전사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8. 근대 군용 칼의 발전사: 16세기부터 현대까지

8-1. 군용 칼의 초기 발전과 영국 내전기
16세기 독일에서는 단날식 검인 두삭(dusack)이 대중화됐다. 이는 체코어에서 유래했으며 독일식으로는 “Säbel auf Teutsch gefasst”로 불렸다. 스위스에서는 이와 유사한 ‘schnepf’ 또는 스위스 세이버가 사용됐으며, 이는 근대 초기 군용 검의 중요한 형태 중 하나였다.

8-2. 영국 내전기의 군용 검
1625년 이후 영국 내전(English Civil War)에서는 기병대가 컷앤스러스트 모추어리 소드를 주력 무기로 채택했다. 이 검은 90-105cm 길이의 직선 칼날과 반 바구니 자루가 특징이었으며, 대부분 양날 구조를 가졌다.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기병대용 검은 점차 단날로 전환됐다. 특히 ‘왈룬 소드'(épée wallone)는 30년 전쟁과 바로크 시대에 광범위하게 사용됐다. 이 검은 양손잡이용 자루와 포탄 보호대, 너클보우를 갖추고 있었으며, 후에 18세기 대륙의 사냥용 검집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1672년 네덜란드 원정 이후, 프랑스는 이 무기를 최초의 정규 군용 검으로 대량 생산하기 시작했다. 스웨덴 군대에서는 구스타브 아돌프스 시대부터 1850년대까지 이와 유사한 디자인의 검이 공식 무기로 사용됐다.

8-3. 민간용 결투 도검의 발달
레이피어는 스페인의 에스파다 로페라(espada ropera)와 16세기 후반 이탈리아 귀족 검에서 발전한 형태다. 이는 군사용이 아닌 민간용 검이란 점에서 이전의 검들과 근본적인 차이를 보였다. 레이피어와 이탈리아의 스키아보나는 모두 손 보호를 위한 바구니 모양의 가드로 크로스가드를 발전시켰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스몰소드가 유럽과 신대륙에서 필수적인 패션 액세서리로 자리잡았다. 지만 스코틀랜드 고원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바구니 자루의 브로드소드와 같은 대형 검이 여전히 선호됐다. 대부분의 부유한 남성과 군 장교들은 벨트에 검을 차고 다녔으며, 스몰소드와 레이피어는 18세기까지 인기 있는 결투용 검으로 사용됐다.

검을 휴대하는 문화가 쇠퇴하면서 지팡이가 신사의 필수품으로 대체됐으며, 이는 빅토리아 시대에 이르러 우산 문화로 진화했다. 일부 지팡이는 검 지팡이 형태로 제작되어 숨겨진 칼날을 내장했다. 이러한 무기 문화는 프랑스의 라 칸과 영국의 싱글스틱과 같은 무술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8-4. 근대 후기의 군사적 변화
19세기에 들어서면서 검은 전투용보다는 자기방어용 무기로 그 역할이 축소됐다. 이는 신뢰성 있는 화기의 발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그러나 19세기와 20세기 초반까지도 기병대와 장교들은 식민지 전쟁과 유럽 전쟁에서 여전히 검을 휴대했다.

특히 아체 전쟁에서는 클레왕이라는 마체테와 유사한 검이 네덜란드 군대와의 근접 전투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에 네덜란드 왕립 동인도 군대는 무거운 커틀라스를 도입해 대응했으며, 이 무기는 1950년대까지 네덜란드 군대에서 널리 사용됐다.

9. 제1차, 제2차 세계대전과 이후

9-1. 제1차 세계대전에서 검의 쇠퇴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까지도 대부분의 군대 기병대는 평시에 검을 사용했다. 영국군은 1908년에 새로운 기병 검 디자인을 공식 채택했으며, 이는 전쟁 발발 전 영국군의 마지막 주요 무기 변경 중 하나였다. 전쟁 발발 시점에 모든 참전국의 보병 장교들은 야전 장비로 검을 휴대했으나, 높은 가시성과 제한된 실용성으로 인해 전쟁 초기에 대부분 폐기됐다.

9-2. 제2차 세계대전까지의 검 사용
중국군은 제2차 중일전쟁 중반까지도 기병대 방어용 장검을 사용했다. 영국 중기병대의 마지막 부대는 1938년에야 장갑차로 전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여러 국가에서 검을 보조 무기로 사용했으나, 일본 제국군은 문화적 이유로 1934년부터 1945년까지 모든 장교와 준위에게 군도를 지급했다.

9-3. 현대 군대에서의 의례적 용도
현재 전 세계 군대에서 검은 주로 의례용 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해군에서는 중령 이상 장교가 의무적으로 검을 소지해야 하며, 공식 야외 의식에서 사용한다. 미국 해병대는 모든 장교가 마멜루크 패턴의 검을 소지해야 하는데, 이는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의 공로를 기념하기 위해 1825년에 채택됐다. 1855년부터 1875년까지 잠시 중단됐다가 해병대 창립 100주년을 기념해 재도입됐으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종교적 용도로는 위카교의 의식에서 아타메라 불리는 검이 마법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군사적 용도가 아닌 종교적 상징물로서의 검의 현대적 사용을 보여주는 예시다.

10. 검의 복제와 현대적 활용: 역사적 유산의 계승과 발전

10-1. 복제품의 역사와 현황
19세기 역사주의 운동에서 시작된 역사적 검의 복제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 복제품은 대량 생산된 저가 모조품부터 전통 제작 방식을 충실히 재현한 고품질 복제품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인다.

10-2. 현대의 군사적 활용
일부 전통 검은 현대에도 군사용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의 카타나, 와키자시, 탄토는 일본과 아시아 여러 지역의 군대에서 여전히 사용되며, 네팔에서는 쿠크리가 공식 근접 전투 무기로 채택되어 있다. 세이버, 곡도, 단검, 마체테 등도 현대 군사 장비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이전 기사침형 표창술: 일본 전통 무술의 은밀한 기술
다음 기사오크숏의 도검 분류체계: 유럽 중세 도검의 분류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