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스팅

21년간 세계태권도연맹 이끈 조정원 총재, 마지막 연임 성공
- 2025-10-24

팔괘장 권사 유경유의 ‘나의 무술의 길’
- 2025-10-11

무당태을현문검 武當太乙玄門劍
- 2025-10-10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육합팔법권(六合八法拳)은 하나의 권술 투로로, 1930년 철령 만주족의 오익락(吳翼犖)이 상해에서 이 권법을 전수하기 시작했다. 오익락은 이 권법을 하남 개봉의 진광제(陳光第), 관국흥(関國興), 진학보(陳鶴侶) 세 사람에게서 배웠으며, 송초 도사 진박(陳搏)으로부터 유래했다고 자술했다(《육합팔법지수원》 참조). 일반적으로 진박 창권설은 "위탁(僞托)"된 것으로 보며, 육합팔법권은 태극권에서 유래하여 심의육합권과...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88식태극권(八十八式太極拳)은 양식태극권 투로로,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 무술과가 일부 태극권들을 조직하여 정리한 대가장식(大架場式) 태극권 투로이다. https://youtu.be/dCSD5eLTKag?si=Vgv334u94RP_uJ5J 원래 유행하던 대가 양식태극권은 사승(師承)이 다르고 전습 과정에서의 개인적 체득이 달라 권식(拳式)에 차이가 있었다. 정리 과정에서 정리자들은 일부 동작 구조를 수정하고, 전체 동작을 88개로 규정했다. 이후 이...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48식태극권(四十八式太極拳)은 새롭게 편찬된 태극권 투로이다. 이 투로는 197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조직한 일부 태극권가들이 창편했다. https://youtu.be/niFUaaCwYag?si=3SBwgAlx_Qht1dWC 이 틀은 간화태극권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추가했다: - 양식태극권에서: 괘신추(撇身錘), 주저추(肘底錘) 등 - 진식태극권에서: 엄수료권(掩手撩拳), 천권(穿拳) 등 - 오식태극권에서: 단편(單鞭), 운제세(雲擠勢) 등 - 손식태극권에서: 도나후(倒攆猴) 등 이 투로는 여전히...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간화태극권(簡化太極拳)은 새롭게 편찬된 태극권 투로다.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일부 태극권 가들을 조직하여 정리했다. 이 투로가 총 24개의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어 속칭 "24식태극권(二十四式太極拳)"이라고도 한다. https://youtu.be/Aold9sHQgKo?si=Y4gdOmi8c5ZB3qAR 이 투로는 번잡한 것을 삭제하고 간단한 것을 취하며, 중복을 제거한다는 원칙에 따라, 양식태극권가를 동작의 소재로 하여 원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