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과 검이 부딪히는 순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 충돌을 처리하고, 상대방의 힘을 어떻게 받아내며,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전환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관절과 천골을 활용한 기술은 단순한 팔의 힘을 넘어서, 더 깊고 강력한 기술적 원리를 담고 있다
Please wait...
검과 검이 부딪히는 순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 충돌을 처리하고, 상대방의 힘을 어떻게 받아내며,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전환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관절과 천골을 활용한 기술은 단순한 팔의 힘을 넘어서, 더 깊고 강력한 기술적 원리를 담고 있다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검술 종류를 선택하기 이전에, 왜 검술을 배우려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검술을 배우려는 목적은 먼저 정하고 그 목적에 따라 검술을 선정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과거의 격검 훈련에서는 대나무로 만든 죽도, 후쿠로시나이, 목검 등을 사용하였다. 100여년 전에는 이런 소재가 가장 적절한 것이었다. 대나무로 만든 죽도 일 지라도, 세게 맞으면 큰 부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검도 호구가 발달했다. 검도 호구는 일본 검술의 오랜 연구와 상상력이 모두 녹아있는 매우 훌륭한 장비이다.
일본 미술도검보존협회(NBTHK)는 도검박물관을 설립하고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군 점령군이 일본인의 모든 일본도를 몰수하려 하자, 전멸의 위기에 처한 일본도를 보존하기 위해 1948년 2월 정부 공인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덕건 스님은 그 좁은 방 안에서 소림 심의파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기술들을 하나 하나 보여주셨고, 단련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시며 따라 해보게 하셨다. 심의파(心意把)의 '파把'는 하남성 사투리로 권법을 의미한다고 하니 심의파는 심의권과 같은 말이다.
지난 수십년 째 무술계에서는 실전적이냐 아니냐를 놓고 논쟁해 왔다. 최근 십여 년 간에는 중국무술은 비 실전적이다, 검도는 실전적이다 등등의 수많은 논쟁과 떡밥이 난무했다. 이런 논쟁들은 결론이 나지 않은채 수십 년 째 쳇바퀴 돌듯이 되풀이 되었다.
월광검법은 한국의 상승검술이라고 알려졌지만 아무도 직접 보거나 배운 사람을 찾을 수 없다. 월광검법의 기원은 전통무술에서부터 황해도 기원설 등 무협지에서 유래한 설들을 찾을 수 있지만 어느 것도 진실이 아니다. 한국의 전통무술의 특징이라고 알려진-형이 없다, 춤과 같다-명제들은 모두 1960, 70년대에 한국무용에서 빌려온 거짓들이다.
태극검의 찰검은 우아하고 아름답지만, 사실 익히기 힘든 기술이다. 태극권의 추수를 검을 들고 하는 셈 인데, 칼을 들고 하기 때문에 손으로 하는 추수보다도 난이도가 높다.
무당검법이라 불리는 검법은 무당의 이름을 가탁한 것이지, 무당산과 관계 없다. 그리고 시중에 흘러다니던 무당검법들은 매우 많다. 날이 양날인 검을 들고 하는 검법은 그 형태가 대부분 비슷하며, 달라지기가 쉽지 않다. 삼재검, 곤오검, 청평검, 순양검을 유의미하게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무당파 무술은 없다.
– 나의 전통무예 추적기 (1) 어려서 한국 고유의 전통무예를 동경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터. 무술을 하지 않는 사람일 지라도 뭔가 신비한 산중무예가 있지 않을까 꿈꾸었을 것이다. 하물며 무술을 업으로 삼은 사람들에게는 두말할 나위도 없다. 나도 그랬다. 사실 나는 어려서 꽤나 바보였었기 때문에, 장풍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었고, 공중부양도 있다고 생각했고, 먼 옛날 엄청난 문명을 가진 환국문화가 있는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