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중국무술식 격투법에 대해 참고할만한 동영상

2020-12-25 12:54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댓글
0
추천 수
7
조회 수
4085
https://worldmartialarts.wiki/%ec%a4%91%ea%b5%ad%eb%ac%b4%ec%88%a0/?mod=document&uid=255

어느 무술이건 기본스타일 격투법은 있지만 그것을 어떤 경기에 적용하려면 현장에 맞도록 최적화를 해야 합니다.

코너맥그리거나 하빕이나 UFC경기에서 그 룰게 맞게 경기를 하지만 스타일이 다른 이유는 자신만의 스타일로 최적화를 했기 때문입니다.

중국무술 기반으로 UFC경기에 나가려면 그 룰에 맞게 최적화를 해야 하는 것인데 그런 사례는 아직 잘 보이지 않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전통무술가가 MMA를 배워 MMA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보다는 전통무술 그 자체 스타일로 MMA경기에서 선전하는 모습일텐데 아직 그런 경우는 잘 못봤습니다.

형의권이나 팔괘장도 기본스타일 격투법은 있지만 자신에게 맞게 최적화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겠지요. 해당 무술을 현장에 맞게 최적화하는 것은 전통무술의 표연과 단련을 잘 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여서 이 고비를 못 넘는 전통무술가가 많이 있습니다. 백신을 만들 때 2상까지는 잘 되고 3상에서 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그런 식일 겁니다. 

유튜브에서 형의권과 팔괘장 스타일 격투법에 대한 괜찮은 영상 소개합니다.

1. 첫번째는 형의권의 발상지 중국 산서상 태곡현의 양범생 노사입니다.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형의권을 기반으로 심의육합권, 팔괘장, 솔각 등을 배워 자신만의 격투 스타일을 만들어냈습니다.  차씨형의권을 하셨지만 심의도(心意道)라는 무술로 개편하셨습니다.

시범을 보일 때는 전통적인 차씨형의권을 연무하지만 교습시에는 자신의 심득이 들어간 심의도 스타일로 가르칩니다. 산서성 태곡의 한 중학교에서 학교체육으로 형의권을 가르치셨습니다. 이 밑에 소영 교련은 형의권에 심의권이 섞인 독특한 스타일로 형의오행권을 연무합니다.

유튜브에서 Yang Fan shen이나 杨凡生 키워드로 검색하면 생전의 동영상을 찾을 수 있습니다. 교습영상이라 난삽하지만 잘 가려서 보세요.  

2. 팔괘장은 윤식 팔괘장 동영상입니다. 유술과 타격이 조화롭게 결합한 전형적인 팔괘장의 격투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팔괘장은 반 이상이 유술 기술인데, 이것을 타격기로만 보는 것은 복싱을 유술기로 보는 것만큼이나 어처구니없는 일이 될 것입니다. 팔괘장을 떠나 중국북파무술은 '투타일치' 즉 유술기과 타격기의 콤비네이션을 중요시합니다. 

유튜브에서 Yin Style Baguazhang (윤식 팔괘장)으로 검색하면 관련 동영상이 많이 나옵니다. 

전체 0

영춘권의 기원과 문화적 맥락에 대한 연구: 농민 반란, 월극, 그리고 홍선 무술의 교차점

본 연구는 명청 광둥의 사회변동 속 영춘권 기원과 형성을 다각 분석한다. 기존 기원설을 검토하고 영춘백학권과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농민 반란, 월극 홍선 무술, 목인장 탄생, 월극 금지 및 민간 보급 과정을 통해 영춘권이 시대와 민중 삶이 얽힌 독특한 문화유산임을 논증한다.

유술 柔術

일본 유술은 상대 힘을 역이용해 제압하는 맨손 무술이다. 고대 전투 기술에서 시작, 에도 시대에 체계화되었고, 가노 지고로가 유도를 창시하며 현대화되었다. 다케노우치류, 요신류, 기토류, 덴진신요류, 대동류합기유술 등 다양한 유파가 있으며, 던지기, 굳히기, 아테미 기술과 정신 수양을 중시한다.

팔괘장은 중국 근대무술의 조상

팔괘장은 역동적 보법, 기만, 유격전 전략으로 현대 격투기와 놀랍도록 유사한 근대 무술이다. 이는 팔괘장이 단순한 유물이 아닌 시대를 초월하여 진화하는 살아있는 실전 무술임을 보여준다.

소림곤법천종(少林棍法阐宗)과 정종유

정종유의 『소림곤법천종』은 명말청초 시대 소림곤법을 체계화한 고전으로, 실전 기술과 이론을 상세히 담아 후대 곤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소림곤법의 정수와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무술 지식 보급에 기여했다.

청평검, 중국 검술의 살아있는 역사

청평검은 도가 반원규가 창안한 중국 최고(最古) 검술 유파로, 명확한 계보와 전승 역사를 가진다. 364수에서 373수로 발전했으며, 곤오검과의 상호보완적 관계와 무당검술에 미친 영향이 크다. 내부 전수 방식으로 비전을 보존하며, 중국 무술 문화의 깊이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유산이다.

중국무술, 이데올로기와 문화 상징

중국 무술, 그 현란한 발차기 뒤엔 파란만장한 역사가 숨어 있다.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상징으로 변화하는 중국무술. 전투 기술에서 국수주의 혼을 담은 국술로, 문화컨텐츠로 변화하는 쿵푸. 그 변화의 방향을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무당검술, 붓 대신 칼을 든 사람들의 국수의 칼날

1910년대 반식민지 상태의 중국에서 일어난 자강운동의 한 수단이 무술의 부흥이었다. 무술이 단순히 전투 기술이 아니라, 강인한 정신력과 건강한 신체를 길러주는 전인적 수련법이라고 믿었다. 이는 당시 서양식 교육과 체육의 도입에 맞서, 중국 전통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민족의 강인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무술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와도 맞아떨어졌다.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43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427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546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852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82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767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452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467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