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검술을 배울 수 있는 곳

2021-01-08 10:55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댓글
0
추천 수
10
조회 수
6588
https://worldmartialarts.wiki/%eb%ac%b4%ea%b8%b0%ec%88%a0/?mod=document&uid=260

검술(양날 검을 이용한 기술)이 고대부터 전해졌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아닙니다. 현대의 중국무술의 검술들은 20세기 초반, 길어야 1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무기술로서 검술이 없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전에도 명나라때의 『명검기』, 『혼원검경』, 청대의 『쌍검보』, 『통진검』 등의 서적이 있지만 중국에서 근대적인 검술 서적은 1908년 출간된 『검법도해』라는 책이 최초입니다.

중국검술은 『검법도해』를 거쳐 1920년의 『검술기본교련법,』, 1923년의 송유일의 『무당검술』, 1927년 진미명의 『태극검』, 1929년 오지청의 『칠성검』, 1930년 강용초의 『곤오검』, 1930년 조연화의 『달마검』, 1931년 황원수의 『무당검법대요』에 이르는 기간 동안 도법과 기타 무기술을 참고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검은 원래 무기나 전투용이 아니라 제식용, 의식용으로 쓰이던 도구라 무기술로서 효용을 개발하지 않았고 근대검술의 시초는 도교 도사의 의식적인 움직임과 춤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기술이 아닌 것을 억지로 무기술로 만들어 온 것이 중국 근대검술입니다. 도사들은 의식용으로 검을 들었으니까요.

『검법도해』를 보면 근대문물의 영향으로 신비한 이야기는 빠지고 체육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려고 했지만 1923년 송유일의 『무당검술』에는 아직도 종교적인 관련성을 자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황원수의 『무당검법대요』에는 현대검술의 모습이 거의 들어가 있어 실질적인 검술의 출발은 1920년대부터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이경림 장군은 현대검술의 시조가 되는 셈이죠.

그러니까 고대부터 전해지는 유서 깊은 중국검술은 없으며 근대검술도 거의 비슷한 자료에서 출발하고 있으니 현대중국무술 중 검술의 기원은 비슷합니다. 따라서 태극검이던, 삼재검이던, 곤오검이던 각자의 고유한 역사와 품격이 있다기보다는 유사점이 많다고 볼 수 있어 어느 것을 배워도 무방합니다. 집에서 가까운 곳을 찾아 배우세요. 태극검도 이경림 장군이 만들었으니 무당검과 유사한 점이 많을 것입니다.

좀 더 전통적인 검술을 찾고자 하는 분이라면 결련택견협회의 도기현 회장이 복원하고 있는 정대업지무 검술을 추천합니다. 1447년 세조 때 재정비해서 전해지는 무무(武舞)인 정대업지무의 동작과 이름을 바탕으로 검술을 복원하고 가르치신다고 합니다.

중국 근대검술도 도교 도사들의 춤을 바탕으로 복원되었으니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전해지는 정대업지무를 통해 검술을 복원해도 무방한 것이고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검보는 명대 후반 『무비지』의 조선세법이며, 중국의 근대검술들도 조선세법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문헌상으로 가장 오래된 검법은 조선세법이고 중국 측 사서에서도 조선에서 들여왔다고 해왔으니 (자료상으로) 검술의 종주국은 한국이라고 말해도 아주 억지가 아닌 애매한 상황입니다. (쌀농사의 기원이 한국인 것처럼요. 더 오래된 유적지가 발견되면 아니겠지만요)

『중국무술대사전』을 보면 조선세법을 설명하면서 조선에서 들여왔다지만, 중국에서 전해졌다가 다시 조선에서 들여온 것일 뿐이라며 중국만물기원설을 주장하지만 『무비지』에 조선에서 배워왔다고 엄연히 쓰여 있으므로 그 사실만큼은 부정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대한검도회도 회장님이 바뀌어서 승단시 본국검법이나 조선세법 시험과 같은 부분도 합리적으로 바뀌지 않을까합니다. 이 부분은 일본검술의 관점으로 조선세법을 복원했다는 의의가 있을 것입니다. 어차피 다 복원이니까요. 

전체 0

[컬럼] 태권도 국기원 윤웅석 원장 취임에 기대한다.

전세계 태권도의 본부 도장인 국기원의 수장이 오늘자로 바뀌었다. 2025년 10월 13일(월) 오늘, 이동섭 원장이 퇴임하고, 윤웅석 원장이 새로 취임하였다. ​태권도 관계자들과의 취임 기념 오전 상견례 자리에서, 윤웅석 신임 국기원장은 취임 첫날 의욕적으로 사자후를 토해냈다.

팔괘장 권사 유경유의 ‘나의 무술의 길’

유경유는 1957년 낙흥무에게 형의권, 팔괘장을 배우기 시작해 유담봉에게 나선권을, 하충기에게 윤씨 팔괘장을, 단향릉에게 육합당랑권을 사사했다. 1963년, 1979년, 1980년 전국 대회에서 팔괘장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0년 동성무술관 설립에 참여했다.

무당태을현문검 武當太乙玄門劍

무당검법은 신체의 유연성과 균형을 중요시하며, 복잡한 자세와 회전을 통해 상대의 허점을 노립니다. 또한, 검을 단순히 무기가 아닌 자신의 몸과 하나가 된 도구로 인식하여, 검의 움직임이 곧 몸의 움직임이 되고, 몸의 움직임이 곧 마음의 움직임이 되는 경지를 추구합니다.

팔괘장 vs. 현대 격투기 및 MMA: 차이점과 장점

팔괘장은 독특한 원형 움직임과 온몸을 함께 쓰는 것을 강조하는 무술로, 수련 과정과 실전 기술 속에 숨겨진 과학적인 원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기격과 양생을 동시에 추구하는 동양 무술의 특성상, 우리 몸을 다루는 원리가 이론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다는 점은 팔괘장의 큰 장점이다.

대한민국의 무림맹, 을지로 한국체육관

서울의 중심, 을지로의 번잡함 속에 한때 대한민국 스포츠의 심장과도 같았던 공간이 있었다. '한국체육관'이라는 이름으로 기억되는 낡은 건물은 단순한 운동 시설을 넘어, 전쟁의 상처를 딛고 일어서려는 국가의 의지와 세계를 향해 도전했던 청년들의 열정이 응축된 역사적인 장소였다.

최배달의 스승, 가라테가 조영주의 생애와 활동

조영주는 한반도 출신의 사상가, 무술가, 종교인이다. 그는 국제공수도연맹 총재이자 극진회관의 창시자인 최영의의 스승 중 한 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설립에 깊이 관여했으며, 두 차례에 걸쳐 민단 중앙본부 단장을 역임했고, 일본 민단의 초대회장을 지냈다.

인천팔괘장의 진실: 쿵푸 팔괘장을 수련한 어느 老 철학자 이야기

연세대에서 팔괘장을 가르치는 교수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분이 바로 老 철학자 박정순 교수님이셨다. 이미 인터넷으로 그의 학문적 이력을 접하고 궁금해하던 차, 직접 만나 뵈었을 때의 인상은 놀라웠다. 박 교수님은 첫인상부터세속을 초탈한 철학자이자 무림 고수를 보는 듯했다.
번호 제목 작성일
59
[뉴스] 몰락하는 '소림사 CEO' 석영신 방장
일반 | 2025.10.13 | 조회 640 | 추천 0
2025.10.13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5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515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57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828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4
Q&A | 2024.02.20 | 조회 5452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336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3069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976 | 추천 11
202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