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사진

세계무술위키

    • 명학권 鳴鶴拳  : 학의 기상
      명학권 鳴鶴拳 : 학의 기상

      명학권은? 명학권(鳴鶴拳)은 전통 권법 중 남권의 한 종류로, 4대 학권 중 하나이다. 명학권의 기원은 백학권(白鶴拳)에서 시작되었다. 명학권은 중국 동남 연안 지역과 홍콩(香港), 마카오(澳門), 대만(臺灣) 및 동남아시아 등지에 전해지는 전통 무술이다. 명학권의 배경은 백학권에서 찾을 수 있다. 백학권은  권법 이론과 다채로운 기법으로...

      Read More
    • 지당권 地躺拳
      지당권 地躺拳

      지당권(地躺拳)은 권술의 일종이다. 지공권(地功拳)이라고도 불리며, 고대에는 '구굴십팔질(九滾十八跌)'이라고 불렸다. 명나라 왕기(王圻)가 편찬한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계보로 삼는다. 이 권술은 넘어지기(跌), 엎어지기(撲), 구르기(滾), 뒤집기(翻) 동작을 위주로 하고, 수법(手法), 퇴법(腿法), 보법(步法), 신법(身法)을 배합하여 땅에 엎드려 공격하고, 넘어진 자세에서 반격하는 다양한 방법을...

      Read More
    • 사권: 뱀의 형태를 닮은 무술
      사권: 뱀의 형태를 닮은 무술

      사권(蛇拳)은 상형권(象形拳)의 일종이다. 이 권법은 뱀의 형태를 모방하여 공방(攻防) 기술과 결합해 만든 권술(拳術)이다. 사권의 손 모양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뱀의 머리와 유사한 '사형장(蛇形掌)'이다. 다섯 손가락을 모으고 손바닥을 오목하게 굽혀 손목을 꺾어 팔과 90도를 이루도록 한다. 둘째는 뱀의...

      Read More
    • 압형권 鴨形拳
      압형권 鴨形拳

      압형권(鴨形拳)은 상형권(象形拳)의 한 종류이다. 주로 복건성(福建省) 일대에서 전해지고 있다. 이 권법은 오리의 형태를 모방하고, 공격과 방어 기술을 결합하여 만든 권법이다. 손 모양은 손바닥을 주로 사용하며, 수법에는 끌어올리기(撩托), 흔들기(擺搖), 꿰뚫기(穿掖), 밀어 누르기(推按) 등이 있다. 발걸음은 긁어 걷기(挖行步)를 주로 한다. https://youtu.be/F8oF8zI5CkE?si=S2MErOEZ4h-aJBX8 앞으로 나아갈...

      Read More
    • 응조권 鷹爪拳
      응조권 鷹爪拳

      응조권(鷹爪拳)은 상형권(象形拳)의 한 종류이다. 원래 응조원호행권(鷹爪圓戶行拳) 또는 응조행권(鷹爪行拳), 응조연권(鷹爪連拳)이라고 불렸다. 이 권법은 하북성(河北省) 웅현(雄縣) 사람 진자정(陳子正, ? - 1933년)이 창시했다. 진자정은 처음 유시준(劉士俊)의 손자 유성유(劉成有)에게서 악씨산수(嶽氏散手), 팔섬번(八閃翻)을 배웠고, 10년 동안 꾸준히 수련하여 그 핵심을 터득했다. 1919년 상해 정무회(上海精武會)에 초빙되어...

      Read More
    •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