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사진

세계무술위키

    • 악씨연권 岳氏連拳
      악씨연권 岳氏連拳

      악씨연권(嶽氏連拳)은 단타류 권술 중 하나이다. "악씨산수(嶽氏散手)"를 바탕으로 하여 단식(單式)들을 연결하여 만든 권법 초식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 권법은 악비(嶽飛)가 《역근경(易筋經)》의 행공과 무술 기술을 융합하여 창안했다고 하지만, 이는 후세에 덧붙여진 이야기로 보인다. 청나라 동치(同治) 연간에 하북성(河北省) 웅현(雄縣) 사람 유사준(劉士俊)이 북경에 와서 처음으로...

      Read More
    • 삼황포추 三皇炮捶
      삼황포추 三皇炮捶

      삼황포추(三皇炮捶)는 단타류 권술 중 하나로, '포추(炮捶)'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이 권법은 힘을 낼 때 폭탄이 터지는 듯하고, 주먹을 낼 때 망치를 내려치는 듯한 모양을 하기 때문에 "포추"라고 이름 붙여졌다. 여기서 삼황(三皇)은 이 권법이 원시 부족 시대 세 명의 우두머리에서...

      Read More
    • 육합권 六合拳
      육합권 六合拳

      육합권(六合拳)은 장권(長拳)류 권술 중 하나이다. 소림권(少林拳)에서 유래했다. 만뢰성(萬籟聲)의 《무술회종(武術彙宗)》에서는 이 권법이 소림 위타문(韋陀門)에 속한다고 했다. 전설에 의하면, 청나라 도광(道光) 연간에 하북성(河北省) 박두진(泊頭鎮)의 조(曹)씨 성을 가진 권사가 육합권을 창주(滄州)의 이관명(李冠銘)에게 전수하면서 이 권법이 창주 지역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그 후 유덕관(劉德寬), 동충의(佟忠義)...

      Read More
    • 팔괘권 八卦拳
      팔괘권 八卦拳

      무술에서 '팔괘권(八卦拳)'이라 불리는 권술은 여러 종류가 있다. 서남 지역에는 "팔괘권" 초식이 전해지고, 중주 지역에는 "음양팔괘권(陰陽八卦拳)" (팔괘추(八卦捶)라고도 함)이, 절강 지역에는 소팔괘권(小八卦拳)이, 양광 지역에는 홍가팔괘권(洪家八卦拳)과 내외팔괘권(內外八卦拳)이 전해진다. 그 중 비교적 완비된 것은 노(魯), 기(冀), 예(豫) 지역에 전해지는 팔괘권이다. 청나라 시대 산동성 수장(壽章)...

      Read More
    • 매화권 梅花拳
      매화권 梅花拳

      매화권(梅花拳)은 장권류 권술 중 하나로, 매권(梅拳)이라고도 불린다. 이 권법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소림사 권법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문헌 기록에 나타난 가장 오래된 매화권 대표 인물은 청나라 강희(康熙) 연간(1662-1722년) 하남성(河南省) 활현(滑縣) 출신 양병(楊丙)이다. 양병은 무과에 급제하여 무탐화(武探花)가 되었고, 경영도사(京營都司)를 지냈다. 그는 이...

      Read More
    •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