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스팅

내경과 발경,전사경: 현대 스포츠과학으로 풀어보는 고대의 지혜
- 2025-02-19

일본도 日本刀
- 2025-02-12

백학권의 여정: 복건성에서 오키나와 가라테로
- 2025-02-08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내경(內勁)은 무술용어이다. 경勁을 내보내는 것은 발경(發勁)이라고 한다. 하지만 소설에서나 봄직한 신비하거나 마법의 힘이 아니라 인간이 훈련하고 사용가능한 생리학적인 기전이다. 현대스포츠과학에서 말하는 ‘통합적 신체 운용’이 내경에 해당한다. 이 내경은 힘을 외부로 발출해야 하는 스포츠인 야구,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한다....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백학권(白鶴拳)의 기원과 역사 백학권(白鶴拳)은 중국 남방 무술의 중요한 유파 중 하나로, 그 기원은 복건성(福建省)에서 시작되었다. 백학권은 단순히 격투 기술의 집합체가 아니라, 독특한 철학과 수련 체계를 갖춘 무술이다. 이 무술은 백학의 움직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원과 발전에...
식학권은? 식학권(食鶴拳)은 전통 권술 중 하나로, 남권(南拳)에 속한다. '약탈하여 먹는다'는 의미를 가진 식학(食鶴)은 청대 소림 제자 방혜석(方慧石)의 딸 방칠낭(方七娘)이 백학의 생활 습성을 바탕으로 소림 권법을 융합하여 창안한 백학문 권법의 일종이다. 백학문 권법은 비학권법(飛鶴拳法), 명학권법(鳴鶴拳法), 숙학권법(宿鶴拳法), 식학권법(食鶴拳法) 등 네 종류로 나뉜다....
세계무술위키 wrote a new post
중국검술중에 곤오검법(昆吾劍法)이 있다. 흔히 중국 4대 검술이라고도 일컬어 진다며 종종 블로그에 등장하곤 하는데, 이런 표현은 대만쪽에서 만든 것이다. 중국 본토에서는 4대 검술이라는 표현이 없다. 대한민국 5대 짬뽕, 3대 짜장, 이런 표현들은 국가공인 이거나 정설이 아니고, 대개 일부 유튜버들이 방송에서 언급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