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Blog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제안: 무거운 격검용 칼이 필요하다.

과거의 격검 훈련에서는 대나무로 만든 죽도, 후쿠로시나이, 목검 등을 사용하였다. 100여년 전에는 이런 소재가 가장 적절한 것이었다. 대나무로 만든 죽도 일 지라도, 세게 맞으면 큰 부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검도 호구가 발달했다. 검도 호구는 일본 검술의 오랜 연구와 상상력이 모두 녹아있는 매우 훌륭한 장비이다.

도복을 입고 주짓수를 훈련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모든 운동이 그렇지만 생활에서 벗어나 땀을 흘리고 친구를 만나고 술과 담배를 줄이며 유흥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주짓수는 2인이 함께 경기를 해야 하는 구조상, 대인 관계, 사회성을 증진시키며 자신감을 배양할 수 있다.

조문 趙門

조문(趙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을 창시자로 한다. 홍권(紅拳)을 기초로 하며, 청 광서(光緖) 연간에 장천복(張天福)이 사천에 전했다. 정제되고 시원한 가식과 다양한 각법, 도약이 특징이며, 태조권(太祖拳) 등의 투로가 있다.

무술의 기초 – 요가

요가와 무술은 공통점이 있다. 신체 기능을 향상하고 명상을 하고 치유를 하는 기능이다. 태극권처럼 신체를 정렬하고 명상하며 유연성을 높이려는 시도는 앞으로 무술계에서 적극적으로 해야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펜칵 실라트는 올림픽 종목이 될 수 있을까?

제15차 인도네시아 펜칵실라트협회(IPSI) 전국 회의는 “인도네시아의 펜칵 실라트는 올림픽을 목표로 한다”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 전의 태권도와 가라데처럼 큰 꿈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여문권 餘門拳

여문권(餘門拳)은 사천 간양현의 여씨(餘氏)가 전수한 권법이다. 1918년 여발재(餘發哉)와 아들 여정삼(餘鼎三)이 성도 청양궁(青羊宮)에서 여러 고수를 이기며 알려졌다. 자세가 낮고 수법이 많으며, 함흉발배(含胸拔背)의 자세가 특징이다.

사권: 뱀의 형태를 닮은 무술

뱀의 형태를 본뜬 다양한 손 모양과 공격/방어 기술, 독특한 보법과 호흡법이 특징이며, 남파와 북파의 차이점 및 다양한 수련법이 제시된다. 사권의 특징은 동작이 개합이 적절하고 강유가 조화를 이루며 유를 위주로 하고 유 안에 강이 있다는 점이다.

중국무술의 이해와 분류: 전통과 현대의 조화

중국무술은 내가와 외가로 분류되며, 북파와 남파로 지역별 분류법이 있다. 거리에 따른 분류와 상형권과 가문전래 무술로 나눌 수도 있다. 현대에는 산타, 투로연무로 경기화되고 건강, 문화 콘텐츠로 대중화되었다.

오식태극권 吳式太極拳: 경유와 완만함의 완벽한 조화

오식 태극권은 오전우가 양식 태극권에서 파생시켜 오감천이 완성한 무술이다. 부드러움을 중심으로 간결하고 섬세한 권법을 특징으로 하며, 중정, 안서, 경령, 원활의 수련 원칙을 강조한다. 다양한 권법, 무기(도, 검, 창/곤), 추수, 기공법을 포함하며, 건강 증진과 무술 실력 향상에 기여한다. 왕무재, 오도남 등 수많은 전승자를 통해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체와 용의 조화를 중시하며, 꾸준한 수련을 통해 경지에 이를 수 있다.

현상금 사냥꾼에게 무술이 필요할까?

미국의 현상금 사냥꾼과 보석 보증인 제도. 범인들은 순순히 잡혀주지 않는다. 현상금 사냥꾼들에게는 어떤 무술이 필요할까? 의외로 상대를 한 방에 보내는 UFC파이터의 기술보다는 CDT® 매뉴얼 내의 팔 꺽기 등의 인신구속 기법이 실용적이라고 한다.

중국검과 일본도가 퓨전했을 때

명나라 말기 일본도와 중국검이 많나 새로운 형태로 나온 것이 왜요도이다. 일본도 단면과 단조방식에 중국의 전통적인 도검의 곡률이 혼합되어 있다. 방패를 드는 것을 상정하기때문에 편수검이지만 길고 무겁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두문 杜門

두문(杜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청 건륭 시기 강서의 두관인(杜觀印)이 전한 권법이다. 초기에는 투로가 없었고 단조수법(單操手法)과 공법(功法)만을 수련했다. 현재는 칠성권(七星拳), 삼각장(三角樁), 육합권(六合拳) 등이 전해진다.

녹아웃 연대기: 21세기 복싱의 진화

권투에는 유서 깊은 역사가 있습니다. 고대 로마의 검투 대회부터 헤비급 챔피언십의 웅장한 광경에 이르기까지 스포츠는 수 세기에 걸쳐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러나 21세기는 기술 발전, 사회적 역동성 변화, 새로운 복싱 형식의 출현 등 복싱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했습니다.

팔괘장 실전 48 가결

팔괘장 실전 48 가결은 격투시에 상대를 대적하는 요령을 담고 있다.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노사가 가결을 정리하였다. 현대 격투의 관점에서 보면 당연하지만 음식이 싱거울 때 소금을 넣으면 된다처럼 어떤 것을 처음 발견하는 것은 대단한 업적이다.

당신이 몰랐던 무당검법의 비밀: 무당13세의 탄생

무협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무당 13세는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검술이다. 무당검법 10대 전인 이경림이 다양한 검술을 종합하여 창시했다. 무당 13세는 중국 무술의 현대화 과정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상지류 우에치류 上地流 가라테 : 진정한 의미의 당수

우에치류는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로, 개조 우에치 칸본(上地完文)이 중국에서 배운 반경연권법을 기반으로 한다. 수리테나 나하테와 달리 순수 당수(唐手)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8가지 형과 직접 타격을 특징으로 한다.

사기, 바보, 싸움 – 무술에서 기의 어두운 면

기의 신비를 벗겨내면서, 우선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부터 살펴봅시다. 기공의 놀라운 주장. 기공은 무술과 영적 추구에 대한 놀라운 업적과 주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언급됩니다.

근대화의 어두운 면, 동아시아 무술 전통은 위조와 허구

만들어진 전통이란 새롭게 만든 것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성을 부여하는 근대화에 대한 비판이다. 유럽에서는 1차대전 시기를 전후하여 수많은 전통이 발명되고 사용되기 시작했다. 수도, 국가, 국기, 군복, 군장, 국화 등이 계속 만들어졌다. 동아시아의 무술도 '만들어진 전통'이다.

팔괘장은 중국 근대무술의 조상

팔괘장은 역동적 보법, 기만, 유격전 전략으로 현대 격투기와 놀랍도록 유사한 근대 무술이다. 이는 팔괘장이 단순한 유물이 아닌 시대를 초월하여 진화하는 살아있는 실전 무술임을 보여준다.

영원한 권법소년, 마츠다 류우치

마츠다 류우치는 일본의 유명 무술연구가이며 무술가이다. 일본 아이치현 오카자시시 출신. 자신의 무술 편력을 바탕으로 한 자전 『수수께끼의 권법을 찾아서』를 저술하였고 그것이 나중에 중국 무술 만화 『권아』의 원작이 되어 크게 히트하였다.

소림곤법천종(少林棍法阐宗)과 정종유

정종유의 『소림곤법천종』은 명말청초 시대 소림곤법을 체계화한 고전으로, 실전 기술과 이론을 상세히 담아 후대 곤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소림곤법의 정수와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무술 지식 보급에 기여했다.

아미파 아미무술 峨嵋派

아미파는 중국 무술의 한 분류로, 사천 아미산을 발상지로 한다. 명대에 이미 독자적 기법과 풍격을 갖추었으며, 백미권, 압형권 등이 대표적이다. 근대에는 승, 악, 두, 조 등 8문과 5파로 체계화되어 사천 지역의 특색 있는 무술로 발전했다.

2021년, 벨라토르 최고의 서브미션 승리 총집합

2021년은 벨라토르 케이지 안에서  마법과 같은 서브미션 승이 나온 멋진 한 해였다. 그래서 2021년의 마지막을 기념하기 위해, 벨라토르 MMA는 올해 최고의 서브미션 승 21개, 2부작 영상을 발표했다.

장례격투와 올림픽, 글래디에이터

씨름은 중앙아시아에서 발원하여 전세계로 퍼진 격투기이다. 씨름은 영어로 코리안레슬링이며 벨트레슬링으로 구분한다. 올림픽 레슬링도 이런 중앙아시아의 레슬링 전통이 경기화 된 것이다. 고대로부터 씨름은 고도로 경기화되었으며 스포츠로서 각광을 받았다.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중국무술의 도교적 기원

장삼봉이 창시하고 천 년이 넘게 전승되어 왔으며 음양오행과 팔괘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져서 태극권을 수련하면 신체적인 강인함과 함께 영적인 진보가 함께 이룰 수 있다는 전통적인 태극권과 중국무술에 대한 설명은 역사적인 근거가 없는 허구이다.

몰락한 자연문의 계승자, 만뢰성

만뢰성 (萬籟聲)은 자연문의 계승자이며 현대 중국의 주요 무술인 중 한 명이다. 만뢰성은 대학을 졸업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인재여서 무술계의 많은 각광을 받았다. 이전 세대의 유식한 무술가로는 손록당이 있지만 현대에는 만뢰성이 있다.

백학권 학권 白鶴拳 鶴拳

학권(鶴拳)은 남권의 일종으로, 원래 "백학권(白鶴拳)"이라고 불렸다. 전설에 따르면 청나라 강희 연간, 복건성 하포현 사람 방칠랑(方七娘)이 창시했다. 그녀는 백학의 움직임을 모방하여 소림 권법에 적용하여 백학권을 만들었다.

육합팔법권 六合八法拳

육합팔법권(六合八法拳)은 1930년 철령 만주족의 오익락(吳翼犖)이 상해에서 전수하기 시작한 권술이다. 체합심(體合心) 등 육합과 행기집신(行氣集神) 등 팔법을 근간으로 하며, 태극권, 심의육합권, 팔괘장의 장점을 융합했다고 본다.

태극권이 ADHD 완화에 도움, 무술 훈련이 어린이들의 과잉 활동을 낮춰준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는 어린 학생들과 그들의 부모들에게도 어려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 어떤 사람들에게, 그 장애는 약물로 치료합니다. 새로운 연구는 ADHD의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합니다.

평생 내가 연구해 만든 무술이 태극권과 팔괘장의 표절이다?

연구라는 것은 다른 사람이 끝낸 곳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다시 하는 것은 낭비입니다. 고대의 문헌들을 연구하면 무술의 오의가 밝혀질줄 아는데, 현대무술들이 모두 고대의 무술들을 전승한 것이고 태극권 수련자 등 20세기 초반의 무술가들도 똑같이 생각하고 무술을 복원한 것입니다.

어떤 호신술을 배워야 할까요? 이렇게 해보세요.

무술을 배우려면 열심히 노력하고 훈련으로 자신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호신술 훈련은 실제 공격의 느낌을 경험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기어, 스파링 장갑, 파울 컵 및 마우스 피드, 발 보호대가 있어야 합니다. 거리에서 호신술을 쓰려면 지속적인 스파링을 해야 합니다. 

사부, 구루, 마스터가 아닌 사범이라고 불러주세요.

나는 고상한 칭호가 사람을 반사적으로 복종시키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부님,스승님과 같은 극존칭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이비 종교식의 무술 단체나 위계질서가 너무 강한 무술체육관에서 특히 그렇습니다.

중국의 전통문화를 제도화한 우슈 태극권

중국의 다양한 환경에서 태극권 관행을 관찰함으로써 국가 기관과 참여자가 전통 문화에 대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한다. 국가 기관들은 무술의 기술과 이론적 요소에 의존하는 반면, 생활체육 참여자들은 무술의 전통적인 가치와 사회화 방식을 선호한다.

지당권 地躺拳

 지당권(地躺拳)은 땅에서 구르고, 넘어지고, 뒤집는 동작을 위주로 하는 권술(拳術)이다. '구르기, 넘어지기'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법, 다리 기술, 보법, 몸놀림을 결합하여 땅에서 공격하고 넘어졌을 때 반격하는 방법을 구사한다.

이스라엘 특공무술, 크라브마가

크라브 마가는 이스라엘의 무술이다. 크라브 마가는 독립된 시스템을 지닌 다른 무술과는 달리 근접전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가깝다.크라브 마가의 장점은 전투 상황에서 전략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이며 단점은 그것을 뺀 모든 것이다.

싱잉볼만 있으면 명상이 절로! 마음은 벌써 저편에

티베탄 싱잉볼은 명상도구입니다. 바닥에 놓거나 손바닥에 올려놓고, 양가죽을 붙인 나무막대로 빙빙 돌리며 마찰시켜서 소리를 냅니다. 그 소리와 진동이 명상에 도움이 되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전통파 가라테 伝統派空手 : 슨도메 가라테와 유파의 이해

전통파 공수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슨도메 가라테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형의 전승과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모든 유파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렌부카이(錬武会), 렌신칸(錬心舘), 센토류(千唐流)와 같은 방구 착용 가라테 단체들도 포함된다.

비학권 飛鹤拳 : 학이 날아오르듯

비학권은 권술 중 남파 백학권(白鶴拳)의 일종이다. "통함으로써 날아오른다"고 하는데, 여기서 통이란 펼친다는 의미이다. 비학권은 백학권 기초 위에 학의 비상, 도약, 날개 펼침, 날갯짓 등의 동작을 모방하여 파생되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97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489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573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929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885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786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523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490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97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489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573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929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885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786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523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490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