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컬럼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베어워킹, 올바른 웅보 돌기

웅보,베어워킹은 한국군의 전장순환운동이 될 만큼 대중적이 되었습니다. 사족보행을 한다고 웅보가 아니라 곰의 모습처럼 걸어야 웅보입니다. 이렇게 웅보를 하면 신체수행능력이 향상하고 부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팔괘장: 변화와 뒤틀림,유연함의 미학

팔괘장은 단순히 무술 기술의 집합이 아닌, 변화에 대한 철학, 인간 신체의 잠재력, 그리고 끊임없는 자기 연마의 가치를 담고 있는 독특한 문화유산이다. 팔괘장의 핵심 원리인 움직임과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자연문 自然門

자연문(自然門)은 무술의 한 유파로, 호남성 자이현 출신 두심오(杜心五)가 전파했다. 그는 이 무술을 사천성 무술가 서(徐)씨에게서 배웠다고 한다. 자연문은 정해진 권법 초식이 없으며, 형상에 집착하지 않고 자연스러움을 중시한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녹아웃 연대기: 21세기 복싱의 진화

권투에는 유서 깊은 역사가 있습니다. 고대 로마의 검투 대회부터 헤비급 챔피언십의 웅장한 광경에 이르기까지 스포츠는 수 세기에 걸쳐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러나 21세기는 기술 발전, 사회적 역동성 변화, 새로운 복싱 형식의 출현 등 복싱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했습니다.

제안: 무거운 격검용 칼이 필요하다.

과거의 격검 훈련에서는 대나무로 만든 죽도, 후쿠로시나이, 목검 등을 사용하였다. 100여년 전에는 이런 소재가 가장 적절한 것이었다. 대나무로 만든 죽도 일 지라도, 세게 맞으면 큰 부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검도 호구가 발달했다. 검도 호구는 일본 검술의 오랜 연구와 상상력이 모두 녹아있는 매우 훌륭한 장비이다.

중국 명나라의 도검들

중국 도검의 분류는 서양인들에게 혼동되었고 중국인들 자신에게도 마찬가지로 혼란스러운 주제였다. 이는 중국의 검들이 기존의 분류 체계에 쉽게 들어맞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은 오크숏 분류법과 같은 권위있고 체계적인 도검 분류 체계가 부재했다는 점도 이러한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팔괘장 실전 48 가결

팔괘장 실전 48 가결은 격투시에 상대를 대적하는 요령을 담고 있다.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노사가 가결을 정리하였다. 현대 격투의 관점에서 보면 당연하지만 음식이 싱거울 때 소금을 넣으면 된다처럼 어떤 것을 처음 발견하는 것은 대단한 업적이다.

무술 훈련의 이점

무술 훈련에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가장 확실한 이득은 자기 방어에 대한 지식이다. 많은 사람들이 체력 단련을 위해 무술도 한다. 가라테, 태권도, 쿵푸 등의 훈련은 근육 시스템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심혈관 건강도 향상시킬 것이다. 

심의권 心意拳

심의권(心意拳)은 심의육합권(心意六合拳)의 줄임말로, 명말청초 산서 포주의 희제가(姬際可)가 창시했다고 전한다. '심의 발동이 권이다(心之發動爲拳)'를 강조하며, 육합(六合)과 '신성육식(身成六式)'을 기본으로 한다.

팔괘장을 배우고 무공을 완성한, 한모협

한모협(韩慕侠, 1877-1947) 중국 천진 진남구 대한장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한금용(韩金镛)이다. 형의권과 팔괘장 대가이다. 청나라 말기 10대 무술가로 선정이 되었다. 장점괴, 응문천 등 9명의 스승을 따라 무예를 익혔으며 팔괘장과 형의권을 융합하였다.

가라테 空手 : 오키나와에서 일본으로

가라테의 발상지 오키나와는 오랫동안 독립왕국의 위치를 유지하다 근대에 들어 일본에 병합되었다. 가라테는 중국 남부의 무술의 교류하며 탄생하였지만 일본 본토에 들어가 일본 무술 가라테가되었다. 오키나와 당수와 가라테는 구분해야 한다.

중국 도검의 종류에 관한 고찰: 명청시대 도검 분류 연구

중국의 도검 유형에 관한 역사적 기록은 매우 희소하며, 현존하는 정보 또한 제한적이다. '무비지(武備志)'에서는 8가지 도검 유형을 언급하고 있으나, 저술 당시에는 단 두 종류만이 실제 사용되고 있었다.

조보태극권 趙堡太極拳 : 가장 나중에 만들어진 피트니스

조보태극권(趙堡太極拳)은 하남성 온현 조보진 일대에서 전해진 태극권이다. 진청평(陳青萍, 1795-1868)이 초기 전인이며, 진가구의 태극권보다 교묘하고 번잡하다. 이를 바탕으로 화식태극권(和式太極拳)이 발전했다.

일본도, 동양의 바스타드검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것을 도라고 하고 양쪽에 날이 있는 것을 검이라고 한다. 원래 도와 검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았으나 후대로 오면서 양자의 차이가 뚜렷해지게 되었다. 검은 주로 찌르는 용도이며 도는 베는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양자의 장점을 뽑아 일본도와 같은 하이브리드 검이 탄생되었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착각번자 戳腳翻子

착각번자(戳腳翻子)는 착각과 번자권을 결합한 권술이다. 청나라 함풍(鹹豐), 동치(同治) 연간, 조찬익(趙燦益)이 하북성 요양(饒陽)에서 착각을 전하고, 번자권은 왕노자, 왕점취에게 전했는데, 두 가문이 서로 기술을 교류하면서 착각번자가 탄생했다.

일본도 日本刀

일본도(日本刀)는 일본 고유의 단조 제법으로 제작된 도검류의 총칭이다. 더욱 넓은 의미로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모든 도검을 지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헤이안 시대 말기에 등장하여 이후 일본 칼의 주류가 된 곡도(彎刀)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무술을 배우는 여성 #GirlPower #WomenWhoFight

한때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무술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의 참여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추세를 넘어 성평등과 권한 부여, 그리고 오랜 고정관념의 파괴를 상징하는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근대화의 어두운 면, 동아시아 무술 전통은 위조와 허구

만들어진 전통이란 새롭게 만든 것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성을 부여하는 근대화에 대한 비판이다. 유럽에서는 1차대전 시기를 전후하여 수많은 전통이 발명되고 사용되기 시작했다. 수도, 국가, 국기, 군복, 군장, 국화 등이 계속 만들어졌다. 동아시아의 무술도 '만들어진 전통'이다.

팔괘장 36가결 八卦掌 三十六歌

팔괘장 36가결은 팔괘장에 대한 중요 원칙들을 추려논 것이다. 무술 수련 중에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원리들을 문서화하였다. "어깨에 힘 빼세요."라는 코치의 지도가 없다면 기초를 혼자 터득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까?

진식태극권 陳式太極拳 : 몸과 마음의 조화를 찾아 떠나는 우아한 여정

진식태극권(陳式太極拳)은 하남성 온현 진가구의 진왕정(陳王廷)이 창시했다. 음양개합의 이치와 척계광의 권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선형 운동과 강유의 조화가 특징이다. 노가(老架)와 신가(新架)로 나뉘며, 현재는 제1로와 제2로만 전해진다.

검과 도는 어떻게 다른가?

도검은 도와 검의 합성어이다. 도와 검은 차이가 있다. 모양 뿐만이 아니라 무술로서 기능적인 차이가 난다. 우선 겉모습을 을 기준으로 날이 양쪽에 있는 것은 검, 날이 한쪽에만 있는 것을 도라고 한다.

유술 柔術

일본 유술은 상대 힘을 역이용해 제압하는 맨손 무술이다. 고대 전투 기술에서 시작, 에도 시대에 체계화되었고, 가노 지고로가 유도를 창시하며 현대화되었다. 다케노우치류, 요신류, 기토류, 덴진신요류, 대동류합기유술 등 다양한 유파가 있으며, 던지기, 굳히기, 아테미 기술과 정신 수양을 중시한다.

전통파 가라테 伝統派空手 : 슨도메 가라테와 유파의 이해

전통파 공수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슨도메 가라테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형의 전승과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모든 유파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렌부카이(錬武会), 렌신칸(錬心舘), 센토류(千唐流)와 같은 방구 착용 가라테 단체들도 포함된다.

태권도의 기원에 관한 관점

태권도의 역사관에는 전통주의적 역사관, 수정주의적 역사관이 있다. 이 역사관은 단순한 관점일까? 아니면 옳고 그름이 있는 것일까? 태권도는 과연 순수한 단일 기원을 가진 무술일까?오로지 한 국가에서만 교류없이 발전한 무술이 있을까?

4개의 주요 MMA 대회는 몇 라운드 경기를?

MMA 경기의 라운드 수는 프로모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UFC 및 Bellator와 같은 대부분의 주요 프로모션은 UFC 종합격투기 규칙을 따릅니다. 이러한 통일된 규칙은 격투가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간화태극권 簡化太極拳 : 중국의 국민체조

간화태극권(簡化太極拳)은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조직한 태극권 가들이 정리한 새로운 태극권 틀이다. 양식태극권을 기초로 24개 동작을 선별해 만들어 '24식태극권'이라고도 하며, 쉽게 배우고 연습할 수 있어 널리 보급되었다.

신체의 여덟 부위가 무기로, 무에타이

무에타이(มวยไทย)는 태국의 전통 격투기이자 국기(國技)로, 주먹, 발, 팔꿈치, 무릎 등 신체의 여홉 부위를 사용하는 전신 격투술이다. 이로 인해 '신체 여덟 부위의 기술(Art of Eight Limbs)'이라는 국제적인 별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일부 태국 문헌에서는 머리 공격까지 포함하여 '아홉 가지 무기(นวอาวุธ, 나와웃)'로 칭하기도 한다.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더러운 싸움’을 시작한, 윌리엄 페어본

윌리엄 E. 페어본은 영국 특수부대의 근접전투 기술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무술가이자 군인이다. 그는 상하이 경찰에서 근무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페어본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근접전투 기술을 개발했다.

가라테 空手 : 복건성에서 오키나와를 거쳐 한국까지

오키나와 발상 가라테는 중국 무술과 고유 무술 '테'의 융합으로 탄생, '당수'에서 '공수'로 명칭 변화. 슨도메 룰의 전통파, 직접 타격의 풀컨택트 등 다양한 종류 존재. 형과 구미테를 핵심 기술로 하며, 전통 무술로서의 정체성 유지 노력도 지속 중이다.

내가권, 내가권법

내가권은 태극권, 팔괘장, 형의권을 총칭하는 행정상의 구분에서 시작하였다. 내가권은 학술적이나 한 무술의 특징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아니다. 현재는 거의 모든 중국의 무술이 내가권의 기준을 충족하고 있어 더 이상 효과적인 개념이 아니다.

황림파 黃林派

황림파(黃林派)는 사천의 권술로, 황릉파(黃陵派)라고도 한다. 가경 연간 사천 영창(榮昌)과 륭창(隆昌) 지역의 황림승이 전수했다는 설과 섬서(陝西)의 황제릉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측신취세(側身取勢)와 돈토침부(吞吐沉浮)가 특징이다.

팔괘장은 왜 도는가? 주권 수련은 왜 하는가? Why is Baguazhang Circle Walking important?

팔괘장의 주권은 극단적인 몸의 중심 이동을 익혀 걷는다는 장소의 이동이 아니라 투수처럼 강속구를 던질 수 있는 힘의 발출이 가능한 몸으로 만들게 한다. 고급단계의 주권을 프로선수들이 배우면 자기 경기력을 향상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육합팔법권 六合八法拳

육합팔법권(六合八法拳)은 1930년 철령 만주족의 오익락(吳翼犖)이 상해에서 전수하기 시작한 권술이다. 체합심(體合心) 등 육합과 행기집신(行氣集神) 등 팔법을 근간으로 하며, 태극권, 심의육합권, 팔괘장의 장점을 융합했다고 본다.

무술경기를 비대면으로, 버추얼 태권도 대회 성공

싱가포르 선텍 센터에서 현지시간 6월 25일 많은 관중들과 함께 펼쳐진 버추얼 태권도대회 결승전에서 15세의 싱가포르 남자 주니어 선수 나이젤 탄이 역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차지하면서 '올림픽 E 스포츠 시리즈2023'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2021년, 벨라토르 최고의 서브미션 승리 총집합

2021년은 벨라토르 케이지 안에서  마법과 같은 서브미션 승이 나온 멋진 한 해였다. 그래서 2021년의 마지막을 기념하기 위해, 벨라토르 MMA는 올해 최고의 서브미션 승 21개, 2부작 영상을 발표했다.

신도자연류 신조시젠류 神道自然流 가라테 : 맞지도 때리지도 않는다.

신도시젠류는 코니시 야스히로가 1933년 창시한 가라테 유파다. 여러 유술과 검술을 익힌 코니시가 후나코시 기친, 모토부 초키 등에게 가라테를 배워 종합한 것이다. "맞지도 때리지도 않는 것이 근본"이라는 훈을 강조한다.

88식태극권 八十八式太極拳 : 대중화된 태극권 투로

88식태극권(八十八式太極拳)은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 무술과가 정리한 양식 대가장식(大架場式) 태극권 틀이다. 전승 과정의 차이로 인한 다양한 변형을 통일하여 88개 동작으로 규격화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335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776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730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249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16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951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818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637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335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776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730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249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16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951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818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637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