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격렬하고 파괴적인 미 해병대 무술

미국 해병대가 배우고 있는 무술을 MCMAP이라고 하며 이는 Marine Corps Martial Arts Program의 약자이다. 군대는 CQC라는 백병전과 같은 것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몰락한 자연문의 계승자, 만뢰성

만뢰성 (萬籟聲)은 자연문의 계승자이며 현대 중국의 주요 무술인 중 한 명이다. 만뢰성은 대학을 졸업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인재여서 무술계의 많은 각광을 받았다. 이전 세대의 유식한 무술가로는 손록당이 있지만 현대에는 만뢰성이 있다.

소림오권 少林五拳

少林五拳은 용권, 호권, 표권, 사권, 학권으로 구성된 중국 전통 무술이다. 각 권법은 신체의 다른 부분을 강화하며, 용권은 정신, 호권은 뼈, 표권은 힘, 사권은 기, 학권은 정기를 단련한다. 이 권법들은 원대의 권법가 백옥봉이 창안했다고 전해지며, 광동의 홍권과도 관련이 있다.

경비원에게 무술이 필요할까요?

경비원에게 무술 훈련이 필요할까? 무술을 상대를 이기고 제압하는 것인데, 경비가 필요한 많은 상황에서 상대를 다치게 하거나 기분을 나쁘게 하면 안된다. 상황을 안전하게 종료시키고 상대를 장소에게 벗어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가라테

가라테의 발상지 오키나와는 오랫동안 독립왕국의 위치를 유지하다 근대에 들어 일본에 병합되었다. 가라테는 중국 남부의 무술의 교류하며 탄생하였지만 일본 본토에 들어가 일본 무술 가라테가되었다. 오키나와 당수와 가라테는 구분해야 한다.

사부, 구루, 마스터가 아닌 사범이라고 불러주세요.

나는 고상한 칭호가 사람을 반사적으로 복종시키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부님,스승님과 같은 극존칭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이비 종교식의 무술 단체나 위계질서가 너무 강한 무술체육관에서 특히 그렇습니다.

근대화의 어두운 면, 동아시아 무술 전통은 위조와 허구

만들어진 전통이란 새롭게 만든 것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성을 부여하는 근대화에 대한 비판이다. 유럽에서는 1차대전 시기를 전후하여 수많은 전통이 발명되고 사용되기 시작했다. 수도, 국가, 국기, 군복, 군장, 국화 등이 계속 만들어졌다. 동아시아의 무술도 '만들어진 전통'이다.

장권 長拳

장권은 멀리 떨어져 공격하고, 빠르게 이동하는 맨손 공격 및 방어 기술을 의미한다. '장(長)'은 '단(短)'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단타(短打)'에 대응하여 장권이라 불린다. 명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장권 계열 권법이 있었고, 현대 무술에서는 이 개념을 계승하여 사권, 소림권 등을 통칭한다.

사기, 바보, 싸움 – 무술에서 기의 어두운 면

기의 신비를 벗겨내면서, 우선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부터 살펴봅시다. 기공의 놀라운 주장. 기공은 무술과 영적 추구에 대한 놀라운 업적과 주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언급됩니다.

황림파 黃林派

황림파(黃林派)는 사천의 권술로, 황릉파(黃陵派)라고도 한다. 가경 연간 사천 영창(榮昌)과 륭창(隆昌) 지역의 황림승이 전수했다는 설과 섬서(陝西)의 황제릉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측신취세(側身取勢)와 돈토침부(吞吐沉浮)가 특징이다.

진식태극권 陳式太極拳

진식태극권(陳式太極拳)은 하남성 온현 진가구의 진왕정(陳王廷)이 창시했다. 음양개합의 이치와 척계광의 권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선형 운동과 강유의 조화가 특징이다. 노가(老架)와 신가(新架)로 나뉘며, 현재는 제1로와 제2로만 전해진다.

번자권 翻子拳

번자권(翻子拳)은 빠르고 변화가 많으며, 근접전에서 빠르게 공격하는 권법이다. 명나라 시대 “팔섬번(八閃翻)”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힘은 빠르고 강하며, 기세를 통해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중시한다. 다양한 초식과 무기 기술이 있으며, 현대 무술 경기 종목으로도 채택되었다.

혁명에 참여하고 혁명에 실망한, 두심오

두심오의 이름은 신괴慎媿로 청나라 동치 8년(1869년) 11월 3일 호남성 자리현 강아향 암판전촌에서 태어났다. 남북대협중 남 대협으로 불리며 중국 근대의 유명한 무술가이며 근대무술사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손가락을 꺽어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기

자기 방어 상황에서 관절을 조작하여 공격자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과 손 관절은 강하지 않습니다. 손가락을 꺽는 것은 엄청난 고통은 가져다 줍니다. 손 전체는 상당히 강하지만 개별  손가락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조보태극권 趙堡太極拳

조보태극권(趙堡太極拳)은 하남성 온현 조보진 일대에서 전해진 태극권이다. 진청평(陳青萍, 1795-1868)이 초기 전인이며, 진가구의 태극권보다 교묘하고 번잡하다. 이를 바탕으로 화식태극권(和式太極拳)이 발전했다.

미국에서 무술의 미국화

아시아의 무술들이 미국에 진출해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지금은 미국적인 토양에서 성장한 무술들, 즉 미국무술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UFC 원로 호이스 그레시가 맷 휴즈에게 MMA로 패하는 장면은 전통무술 몰락의 한 신호일지 모른다.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한국에는 왜 전통무술이 없을까?

중국과 일본에 전통무술이 있으니, 한국에도 있겠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숨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완전히 잘못되었다. 역사의 발전단계에서 무술은 사라지는 것이 정상이며 한국도 정상적으로 무술이 섭 종료를 한 것이다.

두문 杜門

두문(杜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청 건륭 시기 강서의 두관인(杜觀印)이 전한 권법이다. 초기에는 투로가 없었고 단조수법(單操手法)과 공법(功法)만을 수련했다. 현재는 칠성권(七星拳), 삼각장(三角樁), 육합권(六合拳) 등이 전해진다.

중국검술이 일본검도를 이기려면?

현존하는 검술중에는 일본검도와 펜싱이 가장 실전에 가깝다는데에는 누구나 동의 한다. 이 두가지가 그나마 실전에 가깝다는 판단은, 이 두가지는 항상 격검을 하기 때문이다. 대개 표연 위주의 무술들은 대련이 없기 때문에 약해지고, 약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대련을 회피한다. 특정 무술이 강한 것이 아니라, 대련을 많이 하는 무술이 실전적 이라는 의미이다.

남권 南拳

남권(南拳)은 중국 남부 지역에서 유행하는 권술의 총칭으로, 중국무술의 지역별 구분법 중의 하나이다.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상체 동작이 많고, 발걸음은 안정적이다. 맹렬하고 용맹한 기세를 중시하며, 기합과 함께 힘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타격형 검술 VS 유술형 검술

검은 찌르고 베는 무기라는 것이 상식이다. 따라서 유술형 검술이라는 표현에서 의아함을 느낄 것이다. 그런데 전 세계의 검술을 기능적 관점에서 2가지로 분류한다면, 타격형 검술과 유술형 검술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소림사

495년 인도의 발타선사가 창건하였으며, 달마대사가 소림사에서 수련하여 돈오하여 선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소림사는 선불교가 발생한 곳이며 승려들이 무술을 수련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승려들의 무술 수련은 미디어를 통해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실제로는 소림사 주변의 말사 등에서 수련한 사실이 있다고 한다. 지금은 소림사 경내에서는 무술을 수련하지 않으며 주변의 무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노수전 전기-한국에 중국무술을 전한 원로

노수전 노사는 산동성 출신의 화교로 어려서부터 무술을 배웠으며 팔괘장에 능하였다. 강경방, 임풍장과 더불어 한국에 중국무술을 전한 원로 중 한 명이먀 인천을 중심으로 많은 제자를 두고 무술을 전파하였다.

어떤 무술 문파의 쿵후 스타일을 배우고 싶어요?

중국무술에는 많은 스타일이 있습니다. 문파 혹은 유파라고 합니다. 중국무술은 불교의 조직을 본떠서 조직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장문인, 수제자, 문파라고 하는 것이 그 유산입니다.

팔괘장과 형의권을 퓨전한, 장점괴

장점괴張占魁 (1865년-1938년), 자는 조동兆東이다. 형의권과 팔괘장의 명사로 학생이 수 천명에 달하며 유명한 자는 한모협韓慕俠, 왕준신王俊臣, 유진경劉晉卿, 구치화裘稚和, 이검추李劍秋, 조도신趙道新, 강용초薑容樵, 전수초錢樹樵, 장우정張雨亭 등이 있다. 후대의 형의권, 팔괘장의 발전과 전파에 큰 기여를 하였다.

양식태극권 楊式太極拳

양식태극권(楊式太極拳)은 하북 영년(永年)의 양복규(楊福魁, 1799-1872)가 창시했다. 진식태극권을 배운 후 북경에서 기영(旗營) 무술교사를 지내며, 양생을 위해 진식 노가의 발경(發勁)과 도약 동작을 삭제하여 만들었다. 유연하고 부드러운 동작이 특징이다.

어쌔신을 위한 페어번-애플게이트 단검술

칼이 앞에 나오는 단검술은 워낙 많고 흔해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단검술은 칼을 앞에 놓고 결투를 시작한다. 그런데 칼이 뒤로 가는 자세의 단검술은 보기 드물며 비밀스러운 곳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어쌔신을 위한 단검술이다.

UFC 파이터가 갖추어야 할 기술

MMA 선수가 되려면 우선 자신의 단일 무술 배경이 있어야 한다. 권투, BJJ, 레슬링, 태권도 등 한 가지 무술에 정통을 하고 MMA를 위한 기술 습득을 해야 한다. MMA라는 무술은 없으며 여러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경기를 하는 방식인 것이다.

중국 도검의 종류에 관한 고찰: 명청시대 도검 분류 연구

중국의 도검 유형에 관한 역사적 기록은 매우 희소하며, 현존하는 정보 또한 제한적이다. '무비지(武備志)'에서는 8가지 도검 유형을 언급하고 있으나, 저술 당시에는 단 두 종류만이 실제 사용되고 있었다.

어떤 호신술을 배워야 할까요? 이렇게 해보세요.

무술을 배우려면 열심히 노력하고 훈련으로 자신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호신술 훈련은 실제 공격의 느낌을 경험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기어, 스파링 장갑, 파울 컵 및 마우스 피드, 발 보호대가 있어야 합니다. 거리에서 호신술을 쓰려면 지속적인 스파링을 해야 합니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악씨연권 岳氏連拳

악씨연권(嶽氏連拳)은 단타류 권술로, 악씨산수(嶽氏散手)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원래 9가지 동작으로 시작되었으나, 후에 173가지로 늘어났다. 1912년 유덕관(劉德寬)이 악씨산수를 가르치기 위해 8가지 모세(母勢)로 정리하고 간단한 초식으로 연결하여 악씨연권을 만들었다. 

일본도: 예술성과 실용성의 경계

일본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무기로서, 문화적 상징으로서, 그리고 예술품으로서 다양한 면모를 보여왔다. 그렇다면 일본도는 과연 미술품인가, 아니면 실용적인 도검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영춘권 詠春拳

영춘권(詠春拳)은 남권의 일종으로, "칠춘권(漆春拳)" 또는 "영춘권(영춘권)"이라고도 불린다. 복건성(福建省) 영춘현(永春縣)에서 엄삼낭(嚴三娘)이 창시했다고 하며, 지명을 따서 "영춘권"이라 명명되었다.

악문 嶽門

악문(嶽門)은 사천 지방의 권종으로, 촉에서 "사대가" 중 하나이며, 악비(嶽飛)를 창시자로 여긴다. 이 권법은 가식(架式)이 낮고 작으며, 보형(步型)은 마보(馬步)와 궁보(弓步)가 많다. 수법(手法)은 유(擄), 금(擒), 나(拿)를 주로...

태권도의 기원에 관한 관점

태권도의 역사관에는 전통주의적 역사관, 수정주의적 역사관이 있다. 이 역사관은 단순한 관점일까? 아니면 옳고 그름이 있는 것일까? 태권도는 과연 순수한 단일 기원을 가진 무술일까?오로지 한 국가에서만 교류없이 발전한 무술이 있을까?

백미권 白眉拳

백미권(白眉拳)은 사천 아미산의 백미도인(白眉道人)이 전수한 권법이다. 광주, 복건, 홍콩, 마카오에 널리 전파되어 남소림권과 유사한 특징으로 남권의 한 종류로 여겨진다. 보가(步架)가 높고 동작 폭이 작으며, 근접 타격을 중시한다.

청평검-근대중국검술의 기원

청평검술은 강서성 용호산의 반원규 도장이 창안하였다. 청평검이라는 명칭은 봉신연에 처음 나온다. 봉신연의에 나오는 천통교주가 소지한 보검이 바로 청평검이다. 청평검은 산동성과 하북성 창주시으로 전해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191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3666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053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073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4879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288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612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2889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191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3666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053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073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4879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288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612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2889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