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팔괘장 36가결 八卦掌 三十六歌

팔괘장 36가결은 팔괘장에 대한 중요 원칙들을 추려논 것이다. 무술 수련 중에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원리들을 문서화하였다. "어깨에 힘 빼세요."라는 코치의 지도가 없다면 기초를 혼자 터득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까?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현대의 조랑말보다 크지 않은 중세 군마

중세기사들의 전투마에 대한 진실을 찾고 있는 연구팀은 전마의 대부분이 현대의 조랑말 크기였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연구원들은 영국의 성, 중세의 말 묘지, 그리고 다른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발견된 4세기에서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약 2,000마리의 말의 뼈를 조사했다고 한다.

팔괘장 종합평가 고시

팔괘장에 대한 기초지식과 중국무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알아볼 수 있는 테스트입니다. 팔괘장을 오래 한 사람에게는 어렵지 않는 난이도이지만 팔괘장에 관심이 없거나 배우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9가지 잘못된 무술 상식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검증 안된 사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무술 상식도 그러죠!  무술도 신화로 가득 차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신화를 사실이라고 믿는 반면, 믿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9가지 무술 관련 신화를 검증해 보았습니다. 

중국무술의 도교적 기원

장삼봉이 창시하고 천 년이 넘게 전승되어 왔으며 음양오행과 팔괘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져서 태극권을 수련하면 신체적인 강인함과 함께 영적인 진보가 함께 이룰 수 있다는 전통적인 태극권과 중국무술에 대한 설명은 역사적인 근거가 없는 허구이다.

의권 意挙

의권(意拳)은 권술의 한 종류로, 형의권(形意拳)의 고명 중 하나로도 전해진다. 왕향재(王薌齋)가 형의권을 기반으로 다양한 권법을 수련하고 이론을 연구하여 창시하였다. 참장, 시력, 시성을 기초 공법으로 중요시한다.

팔괘장의 매혹적인 세계 : 속이는 자가 이기는 자다

팔괘장이 보여주는 순환적 사고, 적응적 학습, 그리고 통합적 지식체계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는 단순한 무예를 넘어, 삶의 지혜이자 생존의 전략으로서 현대인에게 새로운 의미를 던진다.

화문 化門

화문(化門)은 사천의 사소가 중 하나로, 연폐문(練閉門)이라고도 한다. 강서인 황길천(黃吉川)이 전수했으며, 상대의 힘을 화해하고 신체를 속박하는 것이 특징이다. 파(巴), 탐(探), 괘(掛), 나(拿)의 수법을 사용하며, 해령(解鈴) 등의 투로가 있다.

무술 수련에서 스피드를 올리는 7가지 방법

자신의 무술 문파에 관계없이 스피드 증가는 경쟁과 자기 방어에서 성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뛰어난 반사 신경은 대결에서 이기고 지는 차이를 만들어낸다. 무술 수련에서 스피드를 올리는 7가지 방법은 속도 루프 훈련 시스템을 차용하는 것이다.

단타 短打

단타(短打)는 특정무술이 아니라 몸을 바싹 붙여 근접전에서 빠르게 공격하는 맨손 공방 기술을 의미한다. '단(短)'은 '장(長)'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장권(長拳)과 대비된다. 명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단타류 권법이 있었으며, 현대에는 팔극권, 형의권, 남권이 대표적인 단타 권법이다.

무술 훈련의 이점

무술 훈련에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가장 확실한 이득은 자기 방어에 대한 지식이다. 많은 사람들이 체력 단련을 위해 무술도 한다. 가라테, 태권도, 쿵푸 등의 훈련은 근육 시스템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심혈관 건강도 향상시킬 것이다. 

백학권의 여정: 복건성에서 오키나와 가라테로

19세기말, 복건성 백학권이 오키나와 "테"와 결합, 가라테로 진화하였다. 히가온나 간료는 명학권을, 우에치 칸분은 반경연 권법을 수련 후 오키나와에 전파하였고 강유류와 우에치류 창시하였다. 백학권 호흡, 손기술, 강유사상 등이 가라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술경기를 비대면으로, 버추얼 태권도 대회 성공

싱가포르 선텍 센터에서 현지시간 6월 25일 많은 관중들과 함께 펼쳐진 버추얼 태권도대회 결승전에서 15세의 싱가포르 남자 주니어 선수 나이젤 탄이 역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차지하면서 '올림픽 E 스포츠 시리즈2023'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팔괘장과 무당검술의 전술과 기술

고대서적에 나오는 검술 기술들은 현대 중국 전통검술에 거의 대부분이 전수되고 있다. 현대 전통검술 유파의 검술을 들여다보면 고대 검술의 유산을 발견할 수 있다. 굳이 고서를 번역하면서 고민할 것이 아니라, 전통 유파의 검술을 제대로 배워보면 쉽게 해결될 일이다.

탄퇴 담퇴 彈腿 潭腿 : 무술 중의 근본 무술

탄퇴(彈腿)는 다리 기술을 중심으로, 보법과 수법을 결합한 권법이다. 다리를 뻗을 때 힘을 실어 탄환처럼 쏘아내는 듯한 특징에서 유래했다. 탄퇴는 10로 탄퇴와 12로 탄퇴로 나뉜다. 탄퇴는 중국 전통 권법의 기초 훈련으로 여겨지며, 빠른 속도와 강력한 힘, 좌우 대칭, 완벽한 자세를 요구한다.

영어 마샬 아츠Martial Arts의 어원

현재 Martial Art는 격투기의 의미로 사용하지만 엄밀하게 따지자면 격투기는 Fighting Arts이며 지구 상의 모든 싸우는 방법에 대한 통칭이며 Martial Art무술은 그 중에서 동아시아의 특정한 격투기를 지칭한다.

가라테 空手 : 복건성에서 오키나와를 거쳐 한국까지

오키나와 발상 가라테는 중국 무술과 고유 무술 '테'의 융합으로 탄생, '당수'에서 '공수'로 명칭 변화. 슨도메 룰의 전통파, 직접 타격의 풀컨택트 등 다양한 종류 존재. 형과 구미테를 핵심 기술로 하며, 전통 무술로서의 정체성 유지 노력도 지속 중이다.

무술을 배우는 여성 #GirlPower #WomenWhoFight

한때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무술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의 참여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추세를 넘어 성평등과 권한 부여, 그리고 오랜 고정관념의 파괴를 상징하는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팔괘권 八卦拳

무술에서 '팔괘권(八卦拳)'이라 불리는 권법은 여러 종류가 있다.그 중 노, 기, 예 지역에 전해지는 팔괘권이 비교적 완전하다. 팔괘권은 24로로 구성되며, 상팔괘, 중팔괘, 하팔괘로 나뉜다. 권법 동작은 단순하고 힘이 강하며, 장권류 권법에 속한다.

만화보고 무술 입문하기: 어느 만화부터?

인터넷조차 안보는 히키코모리가 아니라면 그래픽노블이 기반인 영화가 현재 대세라는 것을 눈치 챘을 것입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그랬죠. 그리고 일부는 실제 무술 영화는 그런 장르에 매우 가깝습니다. 작년 개봉한 스네이크 아이와 샹치는 둘 다 그래픽노블을 기반으로 합니다.

몰락한 자연문의 계승자, 만뢰성

만뢰성 (萬籟聲)은 자연문의 계승자이며 현대 중국의 주요 무술인 중 한 명이다. 만뢰성은 대학을 졸업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인재여서 무술계의 많은 각광을 받았다. 이전 세대의 유식한 무술가로는 손록당이 있지만 현대에는 만뢰성이 있다.

48식태극권 四十八式太極拳 : 1976년 탄생한 투로

48식태극권(四十八式太極拳)은 197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조직한 태극권 가들이 창편한 새로운 태극권 틀이다. 간화태극권을 기초로 하여 진식, 양식, 오식, 손식 태극권의 대표적 동작들을 통합했으며, 양식태극권의 기법 특징을 유지한다.

장권 長拳 : 경극에서 체조 경기로

장권은 멀리 떨어져 공격하고, 빠르게 이동하는 맨손 공격 및 방어 기술을 의미한다. '장(長)'은 '단(短)'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단타(短打)'에 대응하여 장권이라 불린다. 명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장권 계열 권법이 있었고, 현대 무술에서는 이 개념을 계승하여 사권, 소림권 등을 통칭한다.

격렬하고 파괴적인 미 해병대 무술

미국 해병대가 배우고 있는 무술을 MCMAP이라고 하며 이는 Marine Corps Martial Arts Program의 약자이다. 군대는 CQC라는 백병전과 같은 것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어떤 호신술을 배워야 할까요? 이렇게 해보세요.

무술을 배우려면 열심히 노력하고 훈련으로 자신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호신술 훈련은 실제 공격의 느낌을 경험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기어, 스파링 장갑, 파울 컵 및 마우스 피드, 발 보호대가 있어야 합니다. 거리에서 호신술을 쓰려면 지속적인 스파링을 해야 합니다. 

중국 북파무술과 팔괘장을 종합한, 유덕관

유덕관은 하북성 창주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무술을 익혀 육합권법, 대창에 정통하여 무림인으로부터 '대창류(大槍劉)‘로 칭송받았다. 실질적으로 중국 북파무술을 근대화하고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이 교류하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중국의 전통문화를 제도화한 우슈 태극권

중국의 다양한 환경에서 태극권 관행을 관찰함으로써 국가 기관과 참여자가 전통 문화에 대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한다. 국가 기관들은 무술의 기술과 이론적 요소에 의존하는 반면, 생활체육 참여자들은 무술의 전통적인 가치와 사회화 방식을 선호한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육합권 六合拳

육합권(六合拳)은 장권(長拳)류 권술 중 하나로, 소림권에서 유래했다. 만뢰성(萬籟聲)은 이 권법이 소림 위타문(韋陀門)에 속한다고 했다. 청나라 도광 연간, 하북성 박두진(泊頭鎮)의 조(曹)씨 권사가 창주(滄州)의 이관명(李冠銘)에게 전하면서 창주 지역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중국검과 일본도가 퓨전했을 때

명나라 말기 일본도와 중국검이 많나 새로운 형태로 나온 것이 왜요도이다. 일본도 단면과 단조방식에 중국의 전통적인 도검의 곡률이 혼합되어 있다. 방패를 드는 것을 상정하기때문에 편수검이지만 길고 무겁다.

영춘권의 창시자는 여성일까?

영춘권의 창시자는 엄영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초맨들의 영역인 무술에서 여성이 창시자인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중국 남부는 종법 질서와 가부장적인 면이 더 두드러진 곳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관세음보살이 여성 신격인 것처럼 과거의 세계관에 맞춘 창시설화에 불과합니다.

상형권 象形拳

상형권(象形拳)은 특정 동물이나 인물의 특징적인 기술, 자세, 형태를 모방하여 공방 기술과 예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만든 권법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널리 알려진 상형권에는 당랑권, 후권, 응조권, 사권, 취권, 무송탈고권 등이 있다.

압형권 鴨形拳

압형권 상형권의 일종으로, 오리의 형태와 움직임을 모방하여 공격 및 방어 기술을 결합하여 만든 권법이다. 손 모양은 손바닥을 주로 사용하며, 팔은 휘젓고, 들어 올리고, 밀고, 누르는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동작은 내면의 힘을 담고 있으며, 오리처럼 낮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상지류 우에치류 上地流 가라테 : 진정한 의미의 당수

우에치류는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로, 개조 우에치 칸본(上地完文)이 중국에서 배운 반경연권법을 기반으로 한다. 수리테나 나하테와 달리 순수 당수(唐手)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8가지 형과 직접 타격을 특징으로 한다.

어쌔신을 위한 페어번-애플게이트 단검술

칼이 앞에 나오는 단검술은 워낙 많고 흔해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단검술은 칼을 앞에 놓고 결투를 시작한다. 그런데 칼이 뒤로 가는 자세의 단검술은 보기 드물며 비밀스러운 곳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어쌔신을 위한 단검술이다.

혁명에 참여하고 혁명에 실망한, 두심오

두심오의 이름은 신괴慎媿로 청나라 동치 8년(1869년) 11월 3일 호남성 자리현 강아향 암판전촌에서 태어났다. 남북대협중 남 대협으로 불리며 중국 근대의 유명한 무술가이며 근대무술사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손식태극권 孫式太極拳 : 태극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무술

손식태극권(孫式太極拳)은 하북 정현의 손록당(孫祿堂, 1861-1932)이 창시했다. 형의권(形意拳)과 팔괘장(八卦掌)을 배운 후 무식태극권을 기초로 세 가지 권법을 융합했다. 가벼우면서도 영묘한 동작과 활발한 보법이 특징이며, "활보태극(活步太極)"이라고도 한다.

벽괘권 벽괘장 劈掛拳

벽괘권(劈掛拳)은 전형적인 장거리 공격 권술로, 고명(古名)은 피괘권(披掛拳) 또는 말면권(抹面拳)이다. 손바닥을 많이 사용해 벽괘장(劈掛掌)이라고도 불린다. 벽괘권은 진퇴가 빠르며, 원거리 공격과 근거리 타격을 모두 구사한다.

홍권 紅拳

홍권(紅拳)은 장권(長拳)의 한 종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이 창시했다거나, 섬서성 관중(關中) 지역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청나라 시대 산동성과 하북성 경계 지역에서 널리 수련되었으며, 민간 반청 비밀 조직에서 대중 선전 및 조직 수단으로 활용되어 널리 퍼졌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781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229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255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324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468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450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890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083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781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229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255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324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468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450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890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083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