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합기도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4.02.25 | 조회 5052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4.02.25 5052 0
합기도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4.02.25 | 조회 4558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4.02.25 4558 0
태권도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paguakang paguakang | 2023.07.13 | 조회 5820 | 추천 0
paguakang
paguakang
2023.07.13 5820 0
태권도
한국 태권도 배준서 4년 만에 정상 되찾아… 간판 이다빈은 예선 충격패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3.05.31 | 조회 6728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3.05.31 6728 0
태권도
전갑길 제17대 국기원 이사장 취임, “성장과 개혁 이끌겠다”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3.04.26 | 조회 5788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3.04.26 5788 0
태권도
남승현 국기원 시범단장, 최고령 공중격파 기네스도전 성공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3.04.24 | 조회 5933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3.04.24 5933 0
일반
필라테스와 검술을 결합하여 재활/체형교정/양생을 위한 필라테스검술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반
최영철 최영철 | 2023.03.06 | 조회 6101 | 추천 0
최영철
최영철
2023.03.06 6101 0
태권도
장애인태권도선수 국제등급분류, 국내서 최초 특별 진행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3.02.17 | 조회 6339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3.02.17 6339 0
태권도
태권도, 2028 LA 올림픽 종목 최종 확정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2.02.03 | 조회 8312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2.02.03 8312 0
태권도
국기원, 개원 50주년 맞아 16년 만에‘태권도 교본’발간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2.01.18 | 조회 8898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2.01.18 8898 0
태권도
2022년도 태권도원, 즐길거리, 볼거리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2.01.06 | 조회 10882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2.01.06 10882 0
태권도
[뉴스] 세계태권도연맹 사무국 편제 개편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2.01.04 | 조회 9811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2.01.04 9811 0
군영무예
[뉴스] 국내 현존하는 最古 무예서 ‘무예제보’ 보물 지정
군영무예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1.12.28 | 조회 11022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1.12.28 11022 0
태권도
[뉴스] 영산대 태권도학과, 대학태권도연맹회장기 여자부 ‘종합 3위’
태권도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1.12.28 | 조회 9134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1.12.28 9134 0
일반
[뉴스] 태권도, 유러피언 게임 정식종목 복귀
일반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0.12.30 | 조회 11002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0.12.30 11002 0
Q&A
웹사이트 개설을 축하드립니다.
Q&A
고수향 고수향 | 2020.11.27 | 조회 11261 | 추천 2
고수향
고수향
2020.11.27 11261 2
Q&A
게시판에 질문과 대답 항목을 선택하고 궁금한 것을 물어보세요.
Q&A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 2020.11.26 | 조회 12390 | 추천 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2020.11.26 12390 0

나기나타 (薙刀)

나기나타는 헤이안 시대에 등장한 일본의 장병무기이다. 베기에 특화되어 사거리가 길며 헤이안~무로마치 시대 주요 무기였으나, 전국시대 이후 창에 밀렸다. 에도 시대에는 여성 무예로 발전했으며, 토모에/시즈카형 등 종류가 다양하다. 현대에는 경기 '나기나타', 고류 무술 등으로 전승된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화권 華拳

화권(華拳)은 장권(長拳)의 대표적인 권법 중 하나이다. 화산(華山)의 찰무(察茂)로부터 시작되었다거나, 정(精), 기(氣), 신(神)을 삼화(三華)로 여기고 "삼절일(三絕一)"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화권이라 불린다고 한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태조권 太祖拳

태조권의 기록은 고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장권(長拳)과 유사한 태조권이 산동, 하북, 하남, 산서 등지에 유행했다. 또한, 남권 계열의 태조권은 복건, 대만 등지에서 전해지며, 상체 동작이 많고, 권법이 강하고 맹렬하며, 자세가 견고하고, 초식이 짧은 특징이 있다.

화권 花拳

화권(花拳)은 실용성을 중시하고, 질법을 중심으로 하며, 정해진 초식이 없는 권법이다. 화권은 '후발제인(後發制人)'을 중시하고, 방어 후 공격에 초점을 맞춘다. 산수 120자, 72가지 관절 꺾기, 36가지 발차기, 24가지 자세 및 88가지 낙법 동작으로 구성된다.

송도관류 가라테의 창시자, 후나고시 기친

후나고시 기친은 오키나와 출신으로, 당수를 가라테(공수도)로 개명하고 일본 본토에 전파한 인물이다. 그는 송도관류의 사실상 창시자이며, 강도관 시연, 대학 공수도부 창설, 저서 집필 등을 통해 공수도 발전에 기여했다. 말년에는 일본 공수도 협회 최고 사범을 역임했으나, 내부 갈등과 '본가' 논쟁을 겪기도 했다.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052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558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34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468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820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540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067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196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