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14일 서울 팔괘장 연구회 4단 승단 이후의 운동 일정

2023-05-14 20:38
paguakang paguakang
댓글
0
추천 수
0
조회 수
4457
https://worldmartialarts.wiki/%ec%a4%91%ea%b5%ad%eb%ac%b4%ec%88%a0/?mod=document&uid=428
52897225363 d9cf01c44f c d운동시간 : 매주 일요일 11:00-13:00
장소: 서울 종로구 올림픽기념구민생활관


서울 팔괘장 연구회는 지난 3월부터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서 팔괘장 운동을 재개하였습니다.

5월 14일 운동에서는,

1. 5월 13일 대한우슈협회 3단과 4단 승단자들이 승단 과정과 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최선을 다 한 만큼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2. 팔괘연환장은 앞으로 고단자 승단을 위해서 계속 연습하기로 했습니다.
우리 양파 팔괘장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투로가 팔괘연환장이기 때문입니다.

3. 3단, 4단 승단자들은 이후의 진도를 나가기로 했습니다.
우선 우리 양파 팔괘장의 실전 투로인 64식을 배우기로 했습니다.
팔괘연환장 이전에 배웠어야 했는데 승단 준비를 위해 부득이 하게 64식을 나중에 배우게 되었습니다.
64식은 직탕투로로, 2대 유덕관 노사가 군대 교습을 위해 동해천에게 배운 낱기술들을 집대성하여 투로화하였습니다.

64식은 북파 무술과 팔괘장 실전수의 정화입니다.
유덕관은 64식의 기술들로 악씨팔번수라는 실전 무술을 만들어냈습니다.

4. 우리 모임의 팔괘장 검술은 추혼검법이 마지막이며 이후에는 무당검술도 배우게 되지만 팔괘장 검술과 무당검술의 뿌리 가 같아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중기 과제로 전혀 다른 계통의 검술인 청평검을 배우기로 했습니다.

5. 청평검을 배우기 이전에, 역시 중기 과제로 곤술을 먼저 수련할 예정입니다.
곤술은 기초기술과 우슈 4단 곤술을 배우고 전통 곤술은 풍마곤을 배우기로 했습니다.
풍마곤은 창주 지역에 내려오는 유서 깊은 고전 곤술입니다.

내년, 2024년에도 4단 승단자 3명이 있어서 이번 주부터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이 회원들 역시 팔괘연환장과 추혼검술을 배우게 됩니다.

우리 서울 팔괘장 연구회는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8회 무료 참관 가능합니다.


서울팔괘장연구회 가입 및 참관안내

서울팔괘장연구회 연혁
서울팔괘장연구회 네이버 카페
88운동과학연구소 블로그
전체 0

쿵푸는 왜 ‘힙스터’가 되지 못했나? MZ세대의 외면 속, 중국 무술의 반전 드라마는 시작될까 ?

한때 이소룡과 성룡 영화 한 편이면 동네 아이들이 너도나도 ‘아뵤!’를 외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중국 무술, 쿵푸는 그야말로 ‘힙’함 그 자체였죠.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요? 필라테스나...

(다시 코딩한), 팔괘장 종합평가 고시

팔괘장에 대한 기초지식과 중국무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알아볼 수 있는 테스트입니다. 팔괘장을 오래 한 사람에게는 어렵지 않는 난이도이지만 팔괘장에 관심이 없거나 배우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나기나타 (薙刀)

나기나타는 헤이안 시대에 등장한 일본의 장병무기이다. 베기에 특화되어 사거리가 길며 헤이안~무로마치 시대 주요 무기였으나, 전국시대 이후 창에 밀렸다. 에도 시대에는 여성 무예로 발전했으며, 토모에/시즈카형 등 종류가 다양하다. 현대에는 경기 '나기나타', 고류 무술 등으로 전승된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화권 華拳

화권(華拳)은 장권(長拳)의 대표적인 권법 중 하나이다. 화산(華山)의 찰무(察茂)로부터 시작되었다거나, 정(精), 기(氣), 신(神)을 삼화(三華)로 여기고 "삼절일(三絕一)"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화권이라 불린다고 한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태조권 太祖拳

태조권의 기록은 고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장권(長拳)과 유사한 태조권이 산동, 하북, 하남, 산서 등지에 유행했다. 또한, 남권 계열의 태조권은 복건, 대만 등지에서 전해지며, 상체 동작이 많고, 권법이 강하고 맹렬하며, 자세가 견고하고, 초식이 짧은 특징이 있다.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170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649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364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502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937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567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121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229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