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갑길 제17대 국기원 이사장 취임, “성장과 개혁 이끌겠다”

2023-04-26 09:30
세계무술위키 세계무술위키
댓글
0
추천 수
0
조회 수
5888
https://worldmartialarts.wiki/%ed%95%9c%ea%b5%ad%eb%ac%b4%ec%88%a0/?mod=document&uid=456
“세계태권도본부 국기원이 명실상부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성장과 개혁을 앞장서 이끌겠습니다.“

전갑길 국기원 제17대 이사장이 4월24일 국기원 중앙수련장에서 취임식을 갖고 앞으로 세계태권도본부로서 확고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 이사장은 특수법인으로 전환한 2010년 이후 국기원의 첫 재선 이사장으로 2019년 국기원 이사로 인연을 시작했다.

이날 행사는 이동섭 국기원장을 비롯, 이승완 원로평의회 의장, 김중영 태권도 9단회 장, 노순명 국기원 이사, 서정강 세계태권도연맹 사무총장, 강석한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 등 태권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52847127595_3f22dedd33_c_d.jpg

이동섭 국기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전갑길 이사장님은 풍부한 행정경험을 갖춘 태권도계의 리더이다. 혜안을 바탕으로 공명정대하게 국기원의 발전을 위해 애쓰는 이사장님과 함께 국기원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 힘을 합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갑길 이사장은 취임 선서에 이어 취임사에서 “지난 3년 동안 이사장직을 수행하면서 관행을 답습해서는 진정한 세계태권도본부로 기능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 모두가 주인이라는 의식을 갖고 개혁과 변화를 위해 나아가자”고 말했다.

특히 전 이사장은 “국기원의 리모델링과 해외 지원지부 확대, 직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기적 교육 등에 더욱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전 이사장은 2023년 2월 24일 ‘2023년도 제3차 임시이사회’에서 이사장으로 재선출돼 3월 21일 문화체육관광부 승인에 따라 이날 취임했다. 2025년 10월 16일까지다.

한편 전 이사장은 태권도 5단의 경기인 출신으로 1987년 정계에 입문,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2006년 제12대 광산구청장을 지내는 등 정치와 행정을 두루 섭렵한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청장 재임 시절에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여성 태권도팀 창단을 주도해 국기 태권도 보급과 지역 태권도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전체 0

쿵푸는 왜 ‘힙스터’가 되지 못했나? MZ세대의 외면 속, 중국 무술의 반전 드라마는 시작될까 ?

한때 이소룡과 성룡 영화 한 편이면 동네 아이들이 너도나도 ‘아뵤!’를 외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중국 무술, 쿵푸는 그야말로 ‘힙’함 그 자체였죠.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요? 필라테스나...

(다시 코딩한), 팔괘장 종합평가 고시

팔괘장에 대한 기초지식과 중국무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알아볼 수 있는 테스트입니다. 팔괘장을 오래 한 사람에게는 어렵지 않는 난이도이지만 팔괘장에 관심이 없거나 배우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나기나타 (薙刀)

나기나타는 헤이안 시대에 등장한 일본의 장병무기이다. 베기에 특화되어 사거리가 길며 헤이안~무로마치 시대 주요 무기였으나, 전국시대 이후 창에 밀렸다. 에도 시대에는 여성 무예로 발전했으며, 토모에/시즈카형 등 종류가 다양하다. 현대에는 경기 '나기나타', 고류 무술 등으로 전승된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화권 華拳

화권(華拳)은 장권(長拳)의 대표적인 권법 중 하나이다. 화산(華山)의 찰무(察茂)로부터 시작되었다거나, 정(精), 기(氣), 신(神)을 삼화(三華)로 여기고 "삼절일(三絕一)"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화권이라 불린다고 한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태조권 太祖拳

태조권의 기록은 고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장권(長拳)과 유사한 태조권이 산동, 하북, 하남, 산서 등지에 유행했다. 또한, 남권 계열의 태조권은 복건, 대만 등지에서 전해지며, 상체 동작이 많고, 권법이 강하고 맹렬하며, 자세가 견고하고, 초식이 짧은 특징이 있다.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170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649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364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502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937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567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121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229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