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사진

세계무술위키

    • 당랑권 螳螂拳
      당랑권 螳螂拳

      당랑권(螳螂拳)은 상형권(象形拳)의 한 종류이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이 권법은 명나라 말기 산동성(山東省) 즉묵(即墨) 사람 왕랑(王朗) (혹은 왕문성(王文成)이라고도 함)이 창시했다고 한다. 왕랑은 어릴 때부터 무술을 매우 좋아했고, 숭산 소림사(嵩山少林寺)에 들어가 무술을 배웠고,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명사를 찾아다녔다. 그는 사마귀가 매미를...

      Read More
    • 상형권 象形拳
      상형권 象形拳

      상형권(象形拳)은 특정 동물이나 인물의 특징적인 기술, 자세, 형태를 모방하여 공방 기술과 예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만든 권법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널리 알려진 상형권에는 당랑권, 후권, 응조권, 사권, 취권, 무송탈고권 등이 있다. 상형권의 모방 형태는 예술성과 격투 능력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Read More
    • 무가권 巫家拳
      무가권 巫家拳

      무가권(巫家拳)은 호남성(湖南省) 지역 권술 중 하나이다. 복건성(福建省) 정주(汀州) 사람 무필달(巫必達, 1751-1812년)이 창시했다. 후세 사람들이 이 권법의 창시자의 성을 따서 권법 이름을 지었기 때문에 "무가권"이라 불리게 되었다. 무필달은 어릴 때 남소림 연성권(南少林連城拳)을 익혔고, 청년 시절 여러 지역을 유람하며 여러 권법을...

      Read More
    • 지술견법 지술권법 地術犬法
      지술견법 지술권법 地術犬法

      지술권법(地術拳法)은 남권의 한 종류이다. "개권(狗拳)"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복건성(福建省) 일대에서 유행한다. 이 권법은 다리 기술을 중심으로 하고, 손 기술과 보법을 배합하여 만든 권술로, 땅에 눕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사용하여 공격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주요 다리 기술로는 걸기(勾), 쓸기(掃), 걷어차기(踹), 밟아 차기(蹬),...

      Read More
    • 태조권 太祖拳
      태조권 太祖拳

      태조권(太祖拳)은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이 창시했다는 전설로 계보를 만들었다. 척계광(戚繼光)의 《기효신서•권경첩요(紀效新書•拳經捷要)》에는 "송태조가 32세 장권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당순지(唐順之)의 《무편•권(武編•拳)》에는 "조태조 장권은 다리를 많이 사용한다. 산동에서는 이 기술을 전문적으로 수련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서진(徐震)의 《국기론략(國技論略)》에는 장권을 태조문(太祖門)이라고도 하며, 장권과 유사한 태조권이 주로 산동,...

      Read More
    •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