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무술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가라테 空手 : 오키나와에서 일본으로

가라테의 발상지 오키나와는 오랫동안 독립왕국의 위치를 유지하다 근대에 들어 일본에 병합되었다. 가라테는 중국 남부의 무술의 교류하며 탄생하였지만 일본 본토에 들어가 일본 무술 가라테가되었다. 오키나와 당수와 가라테는 구분해야 한다.

일본에 가라테를 전한 모토부 쵸키

모토부 쵸키는 오키나와 현 출신의 가라테 가이다. 오키나와 명문가 태생으로 어려서 부터 여러 가라테 선생에게 사사하였고 20대 때부터 전설적인 강함을 자랑하여 20세기 초중반 '최강 가라테 가'로 칭송받던 가라테의 대가이자 일본전류병법본부권법(모토뷰 류)의 시조이다.

벽괘권 벽괘장 劈掛拳

벽괘권(劈掛拳)은 전형적인 장거리 공격 권술로, 고명(古名)은 피괘권(披掛拳) 또는 말면권(抹面拳)이다. 손바닥을 많이 사용해 벽괘장(劈掛掌)이라고도 불린다. 벽괘권은 진퇴가 빠르며, 원거리 공격과 근거리 타격을 모두 구사한다.

미국에서 무술의 미국화

아시아의 무술들이 미국에 진출해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지금은 미국적인 토양에서 성장한 무술들, 즉 미국무술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UFC 원로 호이스 그레시가 맷 휴즈에게 MMA로 패하는 장면은 전통무술 몰락의 한 신호일지 모른다.

손식태극권 孫式太極拳 : 태극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무술

손식태극권(孫式太極拳)은 하북 정현의 손록당(孫祿堂, 1861-1932)이 창시했다. 형의권(形意拳)과 팔괘장(八卦掌)을 배운 후 무식태극권을 기초로 세 가지 권법을 융합했다. 가벼우면서도 영묘한 동작과 활발한 보법이 특징이며, "활보태극(活步太極)"이라고도 한다.

평생 내가 연구해 만든 무술이 태극권과 팔괘장의 표절이다?

연구라는 것은 다른 사람이 끝낸 곳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다시 하는 것은 낭비입니다. 고대의 문헌들을 연구하면 무술의 오의가 밝혀질줄 아는데, 현대무술들이 모두 고대의 무술들을 전승한 것이고 태극권 수련자 등 20세기 초반의 무술가들도 똑같이 생각하고 무술을 복원한 것입니다.

기사멸조(欺師滅祖)는 학력위조

자신이 소속한 문파의 스승과 시조를 속이거나 모욕한 것을 기사멸조라고 하며, 모든 문파에서 최고의 중죄이다. 문파에 대한 반역죄, 다른 문파와 내통한 내통죄보다 더 악질로 친다. 기사멸조를 저지른 자는 단근참맥 형을 내리고 병신을 만들어 내쫒는것이 일반적이다.

내경과 발경,전사경: 현대 스포츠과학으로 풀어보는 고대의 지혜

내경은 무술 용어로, 신비한 힘이 아닌 인체의 생리학적 기전이다. 현대 스포츠 과학의 '통합적 신체 운용'과 일맥상통하며, 근육의 힘뿐 아니라 신경 조절, 에너지 효율, 코어 안정성, 전신 협응, 정신력 등이 통합된 고차원적 운동 능력이다.

숙학권 宿鹤拳 : 학의 방어 동작을 본따서

숙학권은 학이 둥지에 깃드는 모습에서 유래한 남파 학권의 일종이다. 팔보련 궤적, 탄두지경, 구배학신 자세, 내공 수련, 기격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삼전을 중시한다. 단전호흡을 통해 기를 단전에 집중시켜 힘을 기르고, "전경"이라는 독특한 힘을 발휘하여 민첩하고 강력한 움직임을 추구한다.

현대의 조랑말보다 크지 않은 중세 군마

중세기사들의 전투마에 대한 진실을 찾고 있는 연구팀은 전마의 대부분이 현대의 조랑말 크기였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연구원들은 영국의 성, 중세의 말 묘지, 그리고 다른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발견된 4세기에서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약 2,000마리의 말의 뼈를 조사했다고 한다.

어떤 무술 문파의 쿵후 스타일을 배우고 싶어요?

중국무술에는 많은 스타일이 있습니다. 문파 혹은 유파라고 합니다. 중국무술은 불교의 조직을 본떠서 조직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장문인, 수제자, 문파라고 하는 것이 그 유산입니다.

‘더러운 싸움’을 시작한, 윌리엄 페어본

윌리엄 E. 페어본은 영국 특수부대의 근접전투 기술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무술가이자 군인이다. 그는 상하이 경찰에서 근무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페어본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근접전투 기술을 개발했다.

팔괘장 36가결 八卦掌 三十六歌

팔괘장 36가결은 팔괘장에 대한 중요 원칙들을 추려논 것이다. 무술 수련 중에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원리들을 문서화하였다. "어깨에 힘 빼세요."라는 코치의 지도가 없다면 기초를 혼자 터득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까?

조문 趙門

조문(趙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을 창시자로 한다. 홍권(紅拳)을 기초로 하며, 청 광서(光緖) 연간에 장천복(張天福)이 사천에 전했다. 정제되고 시원한 가식과 다양한 각법, 도약이 특징이며, 태조권(太祖拳) 등의 투로가 있다.

소림류 고바야시류(小林流) 가라테 : 수리테의 계보를 잇다.

고바야시류는 치바나 초신이 1933년 창시한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다. 수리테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이토스 계통과 타와다 계통의 형을 모두 계승하고 있다. 현재는 여러 회파로 나뉘어 해외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응조권 鷹爪拳

응조권(鷹爪拳)은 상형권의 한 종류로, 원래 응조원호행권 또는 응조행권, 응조연권으로 불렸다. 하북성 웅현 출신 진자정(陳子正)이 창시했다 매의 발톱 손 모양을 주로 사용하며 주먹과 손바닥도 함께 쓴다.

이탈리아 중세검술 전문가가 평가한 위쳐의 전투씬

넷플릭스는 헨리 카빌이 리비아의 게롤트로 싸우는 영상 해설을 공개했다. 그는 방송 촬영 중 사용한 다양한 검과 자신의 필요에 맞게 검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중국 도검의 종류에 관한 고찰: 명청시대 도검 분류 연구

중국의 도검 유형에 관한 역사적 기록은 매우 희소하며, 현존하는 정보 또한 제한적이다. '무비지(武備志)'에서는 8가지 도검 유형을 언급하고 있으나, 저술 당시에는 단 두 종류만이 실제 사용되고 있었다.

소림사

495년 인도의 발타선사가 창건하였으며, 달마대사가 소림사에서 수련하여 돈오하여 선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소림사는 선불교가 발생한 곳이며 승려들이 무술을 수련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승려들의 무술 수련은 미디어를 통해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실제로는 소림사 주변의 말사 등에서 수련한 사실이 있다고 한다. 지금은 소림사 경내에서는 무술을 수련하지 않으며 주변의 무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위대한 검술 천재가 되려면?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는 방법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검술 종류를 선택하기 이전에, 왜 검술을 배우려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검술을 배우려는 목적은 먼저 정하고 그 목적에 따라 검술을 선정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팔괘장의 창시자, 동해천 조사

동해천이 만든 팔괘장은 중국무술 역사상 가장 독특한 무술이며 메이저무술중에서는 가장 후대에 창시된 무술이다. 팔괘장은 수련방법으로 주권과 부보를 택하고 있으며 기격형태는 레슬링과 같은 근접전과 유술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일본도, 동양의 바스타드검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것을 도라고 하고 양쪽에 날이 있는 것을 검이라고 한다. 원래 도와 검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았으나 후대로 오면서 양자의 차이가 뚜렷해지게 되었다. 검은 주로 찌르는 용도이며 도는 베는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양자의 장점을 뽑아 일본도와 같은 하이브리드 검이 탄생되었다.

두문 杜門

두문(杜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청 건륭 시기 강서의 두관인(杜觀印)이 전한 권법이다. 초기에는 투로가 없었고 단조수법(單操手法)과 공법(功法)만을 수련했다. 현재는 칠성권(七星拳), 삼각장(三角樁), 육합권(六合拳) 등이 전해진다.

팔괘장을 배우고 무공을 완성한, 한모협

한모협(韩慕侠, 1877-1947) 중국 천진 진남구 대한장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한금용(韩金镛)이다. 형의권과 팔괘장 대가이다. 청나라 말기 10대 무술가로 선정이 되었다. 장점괴, 응문천 등 9명의 스승을 따라 무예를 익혔으며 팔괘장과 형의권을 융합하였다.

팔괘장 64식 산수장에 들어있는 팔괘장식 격투법과 훈련법

팔괘장 64 산수장 시스템은 단순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상황 이해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체력적, 정신적인 요소의 훈련까지 상정한 종합적인 격투체계이다. 다양한 실전 격투 상황을 가정하고 훈련함으로써, 실전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여문권 餘門拳

여문권(餘門拳)은 사천 간양현의 여씨(餘氏)가 전수한 권법이다. 1918년 여발재(餘發哉)와 아들 여정삼(餘鼎三)이 성도 청양궁(青羊宮)에서 여러 고수를 이기며 알려졌다. 자세가 낮고 수법이 많으며, 함흉발배(含胸拔背)의 자세가 특징이다.

중국검술, 태극검과 펜싱의 유사한 기술

태극검의 찰검은 우아하고 아름답지만, 사실 익히기 힘든 기술이다. 태극권의 추수를 검을 들고 하는 셈 인데, 칼을 들고 하기 때문에 손으로 하는 추수보다도 난이도가 높다.

국제유도연맹, 한국에게 불리하도록 룰 개정

국제유도연맹이 2024 파리올림픽에 대비해 새로운 규칙들을 발표했다. 가장 논란이 많은 변화는 '최민호 업어치기'인데 이는 더 이상 득점이 아니며 벌점을 받게 된다. 이 기술은 올림픽 챔피언인 한국의 최민호 선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베트남, 제7회 중앙검도대회 성료

11월 19일, 베트남 호치민중앙검도클럽(회장 임기학)은 호치민시 검도연맹의 지원으로. 빈즈엉에서 제7회 중앙 검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베트남 전국 각지에서 200명이 넘는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한국인 코치와 심판이 참여했다.

정몽주를 죽인, 철퇴

인류사에서 도검이나 창보다 더 각광을 받은 무기가 있다. 현대에도 가치를 인정받는 위력적이지만 살상력은 떨어지는 무기인 철퇴이다. 철퇴/Mace는 영화 속에서 좀비를 죽이는 최적의 무기이며 미래에서도 사라지지 않을 무기이다

사동류 시토류(糸東流) 가라테 : 수리테와 나하테의 융합

사동류 시토류(糸東流)는 마부니 켄와(摩文仁賢和)가 창시한 가라테 유파다. 수리테(首里手)와 나하테(那覇手) 양쪽의 흐름을 결합한 유파로, 쇼토칸류(松濤館流), 고주류(剛柔流), 와도류(和道流)와 함께 가라테 호신술의 4대 유파 중 하나로 꼽힌다.

최고의 레슬링화 10가지, 벌써 기분은 조단 버로스

레슬러가 되려면 일단 신발을 사야 합니다. 신발을 신으면 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 깨끗하지 못한 레슬링 매트 위에서 청결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엘리트 선수가 아닌 생체 레슬러라면 더 좋은 제품을 사야 합니다. 템에서조차 밀리면 안되니까요.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이자명(1902년-1993년)은 팔괘장 3대 전인이며 양진포 노사의 제자이고 양파 팔괘장의 전인이다. 본적은 하북성 기현의 외딴 마을 이도촌(李桃村)이다. 어려서 연청권을 익히고 18세에 팔괘장의 2대 명가 양진포에게 입문하였다. 동시에 배사한 스승으로는 이금표(李金豹)가 있다. 무술과 서화에 능하였다.

자문 字門

자문은 사천의 4소가 중 하나로, 1919년 호북 한양의 이어조가 사천에 들어와 전수했다. 108자의 글자 모양을 따라 권법을 만들었으며, 각 글자마다 하나의 동작을 가진다. 코로 숨을 쉬며 힘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정자공, 대련보, 소련보, 육자수 등의 권술이 있다.

혜문 慧門

혜문(慧門)은 사천에서 유행하는 권술로, 촉의 "사소가" 중 하나이며, "회문(會門)"이라고도 한다. 관사묵상(觀師默想)을 통해 의기(意氣)를 단련할 것을 주장하며, "수수심전, 법종수출(手隨心轉、法從手出, 손은 마음을 따라 돌고, 법은 손에서 나온다)"을...

옥타곤의 뒷편: MMA 파이터들의 하루

종합격투기(MMA)는 현대 스포츠계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종목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옥타곤에 올라선 선수들은 타격, 그래플링, 서브미션 등 다양한 기술을 조합하며 관중의 심장을 뛰게 만든다. 하지만 화려한 경기 뒤에는 규율과 희생, 끊임없는 노력이 담긴 치열한 일상이 숨어 있다

9가지 잘못된 무술 상식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검증 안된 사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무술 상식도 그러죠!  무술도 신화로 가득 차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신화를 사실이라고 믿는 반면, 믿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9가지 무술 관련 신화를 검증해 보았습니다. 

타격형 검술 VS 유술형 검술

검은 찌르고 베는 무기라는 것이 상식이다. 따라서 유술형 검술이라는 표현에서 의아함을 느낄 것이다. 그런데 전 세계의 검술을 기능적 관점에서 2가지로 분류한다면, 타격형 검술과 유술형 검술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생체역학을 알면 무술 훈련이 쉬워진다.

움직임의 생체 역학을 설명할 때 몸이 움직임을 실행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여러 시스템이  하나의 단위로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을 키네틱체인이라고 하며 세 가지 기본 시스템이 있습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3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590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35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89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35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36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35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3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590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35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89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35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36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35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