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무술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상형권 象形拳

상형권(象形拳)은 특정 동물이나 인물의 특징적인 기술, 자세, 형태를 모방하여 공방 기술과 예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만든 권법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널리 알려진 상형권에는 당랑권, 후권, 응조권, 사권, 취권, 무송탈고권 등이 있다.

일본도, 동양의 바스타드검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것을 도라고 하고 양쪽에 날이 있는 것을 검이라고 한다. 원래 도와 검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았으나 후대로 오면서 양자의 차이가 뚜렷해지게 되었다. 검은 주로 찌르는 용도이며 도는 베는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양자의 장점을 뽑아 일본도와 같은 하이브리드 검이 탄생되었다.

내공

실력이 있다는 뜻의 내공. 내공의 어원은 무술 용어였으며 신조어이다. 중국에서 격투기였던 무술에서 기공 수련법을 받아들여 내공 수련법을 만들게 되면서 내공이라는 용어가 무술의 주요 개념으로 등장으로 하였다.

이탈리아 중세검술 전문가가 평가한 위쳐의 전투씬

넷플릭스는 헨리 카빌이 리비아의 게롤트로 싸우는 영상 해설을 공개했다. 그는 방송 촬영 중 사용한 다양한 검과 자신의 필요에 맞게 검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팔괘장 64식 산수장에 들어있는 팔괘장식 격투법과 훈련법

팔괘장 64 산수장 시스템은 단순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상황 이해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체력적, 정신적인 요소의 훈련까지 상정한 종합적인 격투체계이다. 다양한 실전 격투 상황을 가정하고 훈련함으로써, 실전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소림사

495년 인도의 발타선사가 창건하였으며, 달마대사가 소림사에서 수련하여 돈오하여 선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소림사는 선불교가 발생한 곳이며 승려들이 무술을 수련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승려들의 무술 수련은 미디어를 통해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실제로는 소림사 주변의 말사 등에서 수련한 사실이 있다고 한다. 지금은 소림사 경내에서는 무술을 수련하지 않으며 주변의 무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팔괘장 36가결 八卦掌 三十六歌

팔괘장 36가결은 팔괘장에 대한 중요 원칙들을 추려논 것이다. 무술 수련 중에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원리들을 문서화하였다. "어깨에 힘 빼세요."라는 코치의 지도가 없다면 기초를 혼자 터득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까?

송도관 쇼토칸류(松濤館流) 가라테 : 근대 가라테의 대표적 유파

송도관류는 근대 가라테의 시조 후나코시 기친이 창시한 유파다. 1939년 도쿄에 설립한 도장 '쇼토칸'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후나코시는 무류파주의를 표방했으나, 그의 가라테가 널리 퍼지며 쇼토칸류로 불리게 됐다. 현재 가라테 유파 중 가장 많은 수련생을 보유하고 있다.

조문 趙門

조문(趙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을 창시자로 한다. 홍권(紅拳)을 기초로 하며, 청 광서(光緖) 연간에 장천복(張天福)이 사천에 전했다. 정제되고 시원한 가식과 다양한 각법, 도약이 특징이며, 태조권(太祖拳) 등의 투로가 있다.

중국검과 일본도가 퓨전했을 때

명나라 말기 일본도와 중국검이 많나 새로운 형태로 나온 것이 왜요도이다. 일본도 단면과 단조방식에 중국의 전통적인 도검의 곡률이 혼합되어 있다. 방패를 드는 것을 상정하기때문에 편수검이지만 길고 무겁다.

의권 意挙

의권(意拳)은 권술의 한 종류로, 형의권(形意拳)의 고명 중 하나로도 전해진다. 왕향재(王薌齋)가 형의권을 기반으로 다양한 권법을 수련하고 이론을 연구하여 창시하였다. 참장, 시력, 시성을 기초 공법으로 중요시한다.

내경과 발경,전사경: 현대 스포츠과학으로 풀어보는 고대의 지혜

내경은 무술 용어로, 신비한 힘이 아닌 인체의 생리학적 기전이다. 현대 스포츠 과학의 '통합적 신체 운용'과 일맥상통하며, 근육의 힘뿐 아니라 신경 조절, 에너지 효율, 코어 안정성, 전신 협응, 정신력 등이 통합된 고차원적 운동 능력이다.

녹아웃 연대기: 21세기 복싱의 진화

권투에는 유서 깊은 역사가 있습니다. 고대 로마의 검투 대회부터 헤비급 챔피언십의 웅장한 광경에 이르기까지 스포츠는 수 세기에 걸쳐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러나 21세기는 기술 발전, 사회적 역동성 변화, 새로운 복싱 형식의 출현 등 복싱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했습니다.

‘무술 계보’가 중요하지 않은 5가지 이유

무술 계보는 사람들에게 민감한 주제다. 영춘권을 가르치는 나에게 사람들의 첫 번째 질문의 99%가 "너는 어디 계보야?"라는 것이다. 그 다음 질문은 보통 "당신 사부가 누구야?"라는 것이다. 나에게 수업을 받으러 왔을 때 '내 사부가 누군지 무슨 상관이야?' 내가 널 가르칠텐데'.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한국에는 왜 전통무술이 없을까?

중국과 일본에 전통무술이 있으니, 한국에도 있겠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숨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완전히 잘못되었다. 역사의 발전단계에서 무술은 사라지는 것이 정상이며 한국도 정상적으로 무술이 섭 종료를 한 것이다.

착각 戳腳

착각(戳腳)은 다리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권술로, 송나라 시대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동작은 옥환보(玉環步)와 원앙퇴(鴛鴦腿)이며, 수호전(水滸傳)에도 묘사되었다. 태평천국 야사(太平天國野史)에도 태평군이 이 기술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사기, 바보, 싸움 – 무술에서 기의 어두운 면

기의 신비를 벗겨내면서, 우선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부터 살펴봅시다. 기공의 놀라운 주장. 기공은 무술과 영적 추구에 대한 놀라운 업적과 주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언급됩니다.

맨손으로 칼이나 총기를 안전하게 무장 해제하는 방법

무술 기술을 사용하여 칼이나 총기를 안전하게 무장 해제하려면 높은 수준의 기술, 훈련 및 주의가 필요합니다. 무장한 가해자를 무장 해제시키려는 시도는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어쌔신을 위한 페어번-애플게이트 단검술

칼이 앞에 나오는 단검술은 워낙 많고 흔해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단검술은 칼을 앞에 놓고 결투를 시작한다. 그런데 칼이 뒤로 가는 자세의 단검술은 보기 드물며 비밀스러운 곳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어쌔신을 위한 단검술이다.

국제유도연맹, 한국에게 불리하도록 룰 개정

국제유도연맹이 2024 파리올림픽에 대비해 새로운 규칙들을 발표했다. 가장 논란이 많은 변화는 '최민호 업어치기'인데 이는 더 이상 득점이 아니며 벌점을 받게 된다. 이 기술은 올림픽 챔피언인 한국의 최민호 선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일본도: 예술성과 실용성의 경계

일본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무기로서, 문화적 상징으로서, 그리고 예술품으로서 다양한 면모를 보여왔다. 그렇다면 일본도는 과연 미술품인가, 아니면 실용적인 도검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태권도의 기원에 관한 관점

태권도의 역사관에는 전통주의적 역사관, 수정주의적 역사관이 있다. 이 역사관은 단순한 관점일까? 아니면 옳고 그름이 있는 것일까? 태권도는 과연 순수한 단일 기원을 가진 무술일까?오로지 한 국가에서만 교류없이 발전한 무술이 있을까?

백미권 白眉拳

백미권(白眉拳)은 사천 아미산의 백미도인(白眉道人)이 전수한 권법이다. 광주, 복건, 홍콩, 마카오에 널리 전파되어 남소림권과 유사한 특징으로 남권의 한 종류로 여겨진다. 보가(步架)가 높고 동작 폭이 작으며, 근접 타격을 중시한다.

팔괘장은 중국 근대무술의 조상

팔괘장은 역동적 보법, 기만, 유격전 전략으로 현대 격투기와 놀랍도록 유사한 근대 무술이다. 이는 팔괘장이 단순한 유물이 아닌 시대를 초월하여 진화하는 살아있는 실전 무술임을 보여준다.

매화권 梅花拳

매화권(梅花拳)은 장권(長拳)류 권법 중 하나로, 매권(梅拳)이라고도 불린다. 기원은 소림사 권법에서 유래했다고 하지만 확실치 않다. 매화권은 오세매화장(五勢梅花樁), 오세두(五勢頭), 매화노가(梅花老架), 팔방보(八方步), 팔방산수(八方散手) 등을 주요 수련 내용으로 한다.

무에타이와 무에보란의 차이점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에타이를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Muay Boran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무에보란은 태국의 오래된 무술 중 하나로 무에타이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무에보란이 없었다면 무에타이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식학권 食鹤拳 : 학이 사냥하듯 빼앗는다.

식학권(食鶴拳)은 전통 권술 중 하나로, 남권(南拳)에 속한다. '약탈하여 먹는다'는 의미를 가진 식학(食鶴)은 청대 소림 제자 방혜석(方慧石)의 딸 방칠낭(方七娘)이 백학의 생활 습성을 바탕으로 소림 권법을 융합하여 창안한 백학문 권법의 일종이다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몽주를 죽인, 철퇴

인류사에서 도검이나 창보다 더 각광을 받은 무기가 있다. 현대에도 가치를 인정받는 위력적이지만 살상력은 떨어지는 무기인 철퇴이다. 철퇴/Mace는 영화 속에서 좀비를 죽이는 최적의 무기이며 미래에서도 사라지지 않을 무기이다

진식태극권 陳式太極拳 : 몸과 마음의 조화를 찾아 떠나는 우아한 여정

진식태극권(陳式太極拳)은 하남성 온현 진가구의 진왕정(陳王廷)이 창시했다. 음양개합의 이치와 척계광의 권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선형 운동과 강유의 조화가 특징이다. 노가(老架)와 신가(新架)로 나뉘며, 현재는 제1로와 제2로만 전해진다.

곤오검법의 기원과 진실: 대만에서 부활한 20세기 검술

곤오검법은 중국 4대 검술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대만에서 만들어진 표현이다. 곤오검법은 청평검술에서 파생되었으며, 팔괘검술의 보법을 차용하여 청평검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창시되었다. 곤오검법은 화려한 보법과 실전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대에 만들어진 검술 중 하나이다.

압형권 鴨形拳

압형권 상형권의 일종으로, 오리의 형태와 움직임을 모방하여 공격 및 방어 기술을 결합하여 만든 권법이다. 손 모양은 손바닥을 주로 사용하며, 팔은 휘젓고, 들어 올리고, 밀고, 누르는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동작은 내면의 힘을 담고 있으며, 오리처럼 낮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근육을 넘어선 격투기, 무술의 피트니스화

무술의 원리로 신체를 조율하는 기법을 알기만 하면 당신은 순식간에 달인! 이라는 식으로 세미나를 하고 책을 쓰는 사람들이 일본에는 넘쳐나고 한국에도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전혀 나쁜 것은 아니고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청평검-근대중국검술의 기원

청평검술은 강서성 용호산의 반원규 도장이 창안하였다. 청평검이라는 명칭은 봉신연에 처음 나온다. 봉신연의에 나오는 천통교주가 소지한 보검이 바로 청평검이다. 청평검은 산동성과 하북성 창주시으로 전해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무술의 화려한 귀환: 전통을 재조명하는 격투 스포츠의 부활

과거 맨몸 격투에서 시작된 무술이 현대 스포츠화되며 본질에서 멀어졌다는 비판 속에, 가라테 컴뱃, 컴뱃 태권도, 베어 너클 복싱, 극진 가라데 등 전통을 되살리는 단체들이 등장했다.

중국무술, 이데올로기와 문화 상징

중국 무술, 그 현란한 발차기 뒤엔 파란만장한 역사가 숨어 있다.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상징으로 변화하는 중국무술. 전투 기술에서 국수주의 혼을 담은 국술로, 문화컨텐츠로 변화하는 쿵푸. 그 변화의 방향을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3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590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0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34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88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35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34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35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3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590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0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34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88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35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34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35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