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무술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무술 훈련을 위한 최고의 체력운동

군대의 전투체력 검정 기준이 바뀌고 있다. 2020년부터 정식 시행된 미국 육군 전투체력 검정시험(U.S. Army Combat Fitness Test, ACFT)의 기준을 보면 무술을 위한 체력운동에 다름 아니다. '소림72내공'에 포함된 체력운동을 거의 다 포괄하고 있다.

팔괘장의 창시자, 동해천 조사

동해천이 만든 팔괘장은 중국무술 역사상 가장 독특한 무술이며 메이저무술중에서는 가장 후대에 창시된 무술이다. 팔괘장은 수련방법으로 주권과 부보를 택하고 있으며 기격형태는 레슬링과 같은 근접전과 유술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탈리아 중세검술 전문가가 평가한 위쳐의 전투씬

넷플릭스는 헨리 카빌이 리비아의 게롤트로 싸우는 영상 해설을 공개했다. 그는 방송 촬영 중 사용한 다양한 검과 자신의 필요에 맞게 검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일본무사들의 휴대용 호신병기 – 십수(十手, 짓테)

십수(十手)는 일본의 무기 및 체포도구의 하나. 30cm - 60cm 정도의 철, 놋쇠 등의 금속이나 참나무 등의 단단한 나무로 된 막대손잡이 부분에 'ㄱ'자를 붙인 것이다. 적의 칼의 방어나, 찌르기, 타격 등의 공격, 때로는 단봉술로 범인의 관절을 꺽고 누르고 던지기 등을 사영해 체포한다. 열 개의 손에 필적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십수'라고 한다. 유파에 따라서는 실수(實手)라는 표기를 사용한다. 십수를 이용한 무술을 십수술이라고 한다.

중국무술, 이데올로기와 문화 상징

중국 무술, 그 현란한 발차기 뒤엔 파란만장한 역사가 숨어 있다.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상징으로 변화하는 중국무술. 전투 기술에서 국수주의 혼을 담은 국술로, 문화컨텐츠로 변화하는 쿵푸. 그 변화의 방향을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지당권 地躺拳

 지당권(地躺拳)은 땅에서 구르고, 넘어지고, 뒤집는 동작을 위주로 하는 권술(拳術)이다. '구르기, 넘어지기'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법, 다리 기술, 보법, 몸놀림을 결합하여 땅에서 공격하고 넘어졌을 때 반격하는 방법을 구사한다.

압형권 鴨形拳

압형권 상형권의 일종으로, 오리의 형태와 움직임을 모방하여 공격 및 방어 기술을 결합하여 만든 권법이다. 손 모양은 손바닥을 주로 사용하며, 팔은 휘젓고, 들어 올리고, 밀고, 누르는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동작은 내면의 힘을 담고 있으며, 오리처럼 낮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당신이 몰랐던 무당검법의 비밀: 무당13세의 탄생

무협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무당 13세는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검술이다. 무당검법 10대 전인 이경림이 다양한 검술을 종합하여 창시했다. 무당 13세는 중국 무술의 현대화 과정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과 신체의 연결 잠금 해제: 무술 수련의 심리적 이점

오늘날의 빠르게 변화하고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많은 개인은 균형과 웰빙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운동은 오랫동안 신체적 이점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기 방어나 건강뿐만 아니라 심오한 심리적 이점 때문에 무술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엽문과 창녀: 중국 전통문화에서 여성성이 무기가 될 때

영춘건의 창시자인 엄영춘은 여성이다. 남성성이 주류를 이루는 중국 남부의 무술계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다. 엄영춘은 실제 인물일까? 아니면 엄영춘의 여성성을 무술의 특성과 연관시킨 것일까? 관세음보살도 엄연히 여성신이 아닌가? 엄영춘이 엽문의 창작일까?

택견은 무술인가? 놀이인가?

택견은 무예인가? 놀이인가? 고도로 스포츠화된 무술은 놀이와 유희가 될 수 있다. 씨름은 중앙아시아에 널리 퍼져있는 레슬링인데, 레슬링은 효과적인 격투기인 동시에 재미있는 스포츠이다. 택견 역시 경기화가 잘 된 무술이다.

팔괘장 36가결 八卦掌 三十六歌

팔괘장 36가결은 팔괘장에 대한 중요 원칙들을 추려논 것이다. 무술 수련 중에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원리들을 문서화하였다. "어깨에 힘 빼세요."라는 코치의 지도가 없다면 기초를 혼자 터득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까?

팔괘장 八卦掌 Baguazhang

팔괘장은 중국무술의 하나이다. 창시자 동해천은 북경에서 활동하였고 북경을 중심으로 보급이 되었다. 팔괘장은 이름처럼 손바닥만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적인 가드형태가 주먹이 아닌 손바닥을 편 상태가 되는 것이다. 팔괘장의 기격은 북파중국무술의 특색대로 타격을 기반으로 레슬링과 씨름 기술을 차용한 근접전의 형태를 띄고 있다.

‘무술 계보’가 중요하지 않은 5가지 이유

무술 계보는 사람들에게 민감한 주제다. 영춘권을 가르치는 나에게 사람들의 첫 번째 질문의 99%가 "너는 어디 계보야?"라는 것이다. 그 다음 질문은 보통 "당신 사부가 누구야?"라는 것이다. 나에게 수업을 받으러 왔을 때 '내 사부가 누군지 무슨 상관이야?' 내가 널 가르칠텐데'.

무가권 巫家拳

무가권(巫家拳)은 호남 지역 권법 중 하나로, 복건성 정주 사람 무필달(巫必達)이 창시했다. 무필달은 남소림 연성권을 배우고 여러 권법을 섭렵한 후, 호남성 상담에 정착하여 무가권을 전수했다.

숙학권 宿鹤拳 : 학의 방어 동작을 본따서

숙학권은 학이 둥지에 깃드는 모습에서 유래한 남파 학권의 일종이다. 팔보련 궤적, 탄두지경, 구배학신 자세, 내공 수련, 기격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삼전을 중시한다. 단전호흡을 통해 기를 단전에 집중시켜 힘을 기르고, "전경"이라는 독특한 힘을 발휘하여 민첩하고 강력한 움직임을 추구한다.

소림류 고바야시류(小林流) 가라테 : 수리테의 계보를 잇다.

고바야시류는 치바나 초신이 1933년 창시한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다. 수리테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이토스 계통과 타와다 계통의 형을 모두 계승하고 있다. 현재는 여러 회파로 나뉘어 해외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귀멸의 칼날의 검은 칼에는 어떤 의미가?

탄지로는 귀멸의 칼날에서 일륜도를 사용했고 사용자의 성격에 맞게 색상이 바뀝니다. 많은 팬들이 탄지로의 칼이 검게 변한 것에 놀랐습니다. 일본 문화에서 색상의 복잡한 상징성은 검은 검과 블랙소드를 쓰는 이용자가 표방하는 가치를 짐작하게 합니다.

생체역학을 알면 무술 훈련이 쉬워진다.

움직임의 생체 역학을 설명할 때 몸이 움직임을 실행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여러 시스템이  하나의 단위로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을 키네틱체인이라고 하며 세 가지 기본 시스템이 있습니다.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팔극권 八極拳

팔극권(八極拳)은 단타 권술로, 팔방으로 뻗어나가는 힘을 강조한다. 명말청초에 오종(吳鍾)이 창안했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는 오종이 스승의 뜻에 따라 창주(滄州)에 전파한 것이다. 권법은 주먹을 위주로 하며, 어깨, 등, 팔꿈치, 엉덩이를 활용한 공격이 많다. 

무에타이와 무에보란의 차이점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에타이를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Muay Boran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무에보란은 태국의 오래된 무술 중 하나로 무에타이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무에보란이 없었다면 무에타이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화권 花拳

화권(花拳)은 실용성을 중시하고, 질법을 중심으로 하며, 정해진 초식이 없는 권법이다. 화권은 '후발제인(後發制人)'을 중시하고, 방어 후 공격에 초점을 맞춘다. 산수 120자, 72가지 관절 꺾기, 36가지 발차기, 24가지 자세 및 88가지 낙법 동작으로 구성된다.

현대의 조랑말보다 크지 않은 중세 군마

중세기사들의 전투마에 대한 진실을 찾고 있는 연구팀은 전마의 대부분이 현대의 조랑말 크기였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연구원들은 영국의 성, 중세의 말 묘지, 그리고 다른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발견된 4세기에서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약 2,000마리의 말의 뼈를 조사했다고 한다.

밸런스 보드를 이용한 명나라의 기마 훈련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좌식생활을 하기 때문에 몽골 유목민처럼 기마술과 기마 훈련이 자연스럽게 전수되지 않았습니다. 명나라 기병들은 유목민들을 따라잡기 위해 추가 훈련을 받아야 했으며, 이를 위해 몇 가지 간단한 훈련 장비를 사용했습니다.

어쌔신을 위한 페어번-애플게이트 단검술

칼이 앞에 나오는 단검술은 워낙 많고 흔해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단검술은 칼을 앞에 놓고 결투를 시작한다. 그런데 칼이 뒤로 가는 자세의 단검술은 보기 드물며 비밀스러운 곳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어쌔신을 위한 단검술이다.

채리불권 蔡李佛拳

채리불권(蔡李佛拳)은 남권의 한 종류로, 광동성 신회 사람 진향(陳享)이 창시했다. 진향은 불교 권법, 채가권, 이가권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유파를 만들었다. 동작이 빠르고 민첩하며, 공격과 방어가 분명하고, 굳건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맹렬하게 공격한다.

주먹의 전설

패트릭 맥카시는 아내 유리코의 도움으로 19세기 후반부터 현대까지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에서 수십 개의 신문과 잡지 기사를 번역하고 "주먹의 전설"이라는 책을 내게 됩니다.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근육을 넘어선 격투기, 무술의 피트니스화

무술의 원리로 신체를 조율하는 기법을 알기만 하면 당신은 순식간에 달인! 이라는 식으로 세미나를 하고 책을 쓰는 사람들이 일본에는 넘쳐나고 한국에도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전혀 나쁜 것은 아니고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여성을 위한 무술 선택

자신을 보호하고 자신감 향상을 위해 여성이 무술 훈련은 중요하다. 무술을 배우면 여성이 성적 및 신체적 학대, 폭행, 강도, 희롱 등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화권 華拳

화권(華拳)은 장권(長拳)의 대표적인 권법 중 하나이다. 화산(華山)의 찰무(察茂)로부터 시작되었다거나, 정(精), 기(氣), 신(神)을 삼화(三華)로 여기고 "삼절일(三絕一)"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화권이라 불린다고 한다.

무술경기를 비대면으로, 버추얼 태권도 대회 성공

싱가포르 선텍 센터에서 현지시간 6월 25일 많은 관중들과 함께 펼쳐진 버추얼 태권도대회 결승전에서 15세의 싱가포르 남자 주니어 선수 나이젤 탄이 역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차지하면서 '올림픽 E 스포츠 시리즈2023'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강유류  고주류(剛柔流) 가라테 : 오키나와 가라테의 일대장

고주류는 오키나와 3대 유파이자 일본 4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다. 미야기 초준이 나하테와 중국 권법을 연구해 창시했으며, '권지대요팔구'의 '법강유돈토'에서 이름을 따왔다. 현재 여러 계파로 나뉘어 있으며, 실전성 높은 무도로 킥복싱의 모체가 되었다.

몰락한 자연문의 계승자, 만뢰성

만뢰성 (萬籟聲)은 자연문의 계승자이며 현대 중국의 주요 무술인 중 한 명이다. 만뢰성은 대학을 졸업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인재여서 무술계의 많은 각광을 받았다. 이전 세대의 유식한 무술가로는 손록당이 있지만 현대에는 만뢰성이 있다.

곤오검법의 기원과 진실: 대만에서 부활한 20세기 검술

곤오검법은 중국 4대 검술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대만에서 만들어진 표현이다. 곤오검법은 청평검술에서 파생되었으며, 팔괘검술의 보법을 차용하여 청평검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창시되었다. 곤오검법은 화려한 보법과 실전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대에 만들어진 검술 중 하나이다.

평생 내가 연구해 만든 무술이 태극권과 팔괘장의 표절이다?

연구라는 것은 다른 사람이 끝낸 곳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다시 하는 것은 낭비입니다. 고대의 문헌들을 연구하면 무술의 오의가 밝혀질줄 아는데, 현대무술들이 모두 고대의 무술들을 전승한 것이고 태극권 수련자 등 20세기 초반의 무술가들도 똑같이 생각하고 무술을 복원한 것입니다.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싱잉볼만 있으면 명상이 절로! 마음은 벌써 저편에

티베탄 싱잉볼은 명상도구입니다. 바닥에 놓거나 손바닥에 올려놓고, 양가죽을 붙인 나무막대로 빙빙 돌리며 마찰시켜서 소리를 냅니다. 그 소리와 진동이 명상에 도움이 되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무당검술, 붓 대신 칼을 든 사람들의 국수의 칼날

1910년대 반식민지 상태의 중국에서 일어난 자강운동의 한 수단이 무술의 부흥이었다. 무술이 단순히 전투 기술이 아니라, 강인한 정신력과 건강한 신체를 길러주는 전인적 수련법이라고 믿었다. 이는 당시 서양식 교육과 체육의 도입에 맞서, 중국 전통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민족의 강인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무술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와도 맞아떨어졌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48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602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7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48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97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46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43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42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48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602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7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48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97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46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43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42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