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Blog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다시 코딩한), 팔괘장 종합평가 고시

팔괘장에 대한 기초지식과 중국무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알아볼 수 있는 테스트입니다. 팔괘장을 오래 한 사람에게는 어렵지 않는 난이도이지만 팔괘장에 관심이 없거나 배우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손록당의 『권의술진』, 삼층공부론은 교육의 혁신

손록당의 『권의술진』 삼층공부론은 단순 무술을 넘어 교육학적 의미를 갖는다. 명경, 암경, 화경의 단계별 수련은 기술 숙련과 더불어 내면의 변화를 추구하며, 벤자민 블룸의 교육 목표 분류와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연신환허'는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기술 구사를 의미한다.

화문 化門

화문(化門)은 사천의 사소가 중 하나로, 연폐문(練閉門)이라고도 한다. 강서인 황길천(黃吉川)이 전수했으며, 상대의 힘을 화해하고 신체를 속박하는 것이 특징이다. 파(巴), 탐(探), 괘(掛), 나(拿)의 수법을 사용하며, 해령(解鈴) 등의 투로가 있다.

기사멸조(欺師滅祖)는 학력위조

자신이 소속한 문파의 스승과 시조를 속이거나 모욕한 것을 기사멸조라고 하며, 모든 문파에서 최고의 중죄이다. 문파에 대한 반역죄, 다른 문파와 내통한 내통죄보다 더 악질로 친다. 기사멸조를 저지른 자는 단근참맥 형을 내리고 병신을 만들어 내쫒는것이 일반적이다.

영춘권 詠春拳

영춘권(詠春拳)은 남권의 일종으로, "칠춘권(漆春拳)" 또는 "영춘권(영춘권)"이라고도 불린다. 복건성(福建省) 영춘현(永春縣)에서 엄삼낭(嚴三娘)이 창시했다고 하며, 지명을 따서 "영춘권"이라 명명되었다.

오식태극권 吳式太極拳: 경유와 완만함의 완벽한 조화

오식 태극권은 오전우가 양식 태극권에서 파생시켜 오감천이 완성한 무술이다. 부드러움을 중심으로 간결하고 섬세한 권법을 특징으로 하며, 중정, 안서, 경령, 원활의 수련 원칙을 강조한다. 다양한 권법, 무기(도, 검, 창/곤), 추수, 기공법을 포함하며, 건강 증진과 무술 실력 향상에 기여한다. 왕무재, 오도남 등 수많은 전승자를 통해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체와 용의 조화를 중시하며, 꾸준한 수련을 통해 경지에 이를 수 있다.

혁명에 참여하고 혁명에 실망한, 두심오

두심오의 이름은 신괴慎媿로 청나라 동치 8년(1869년) 11월 3일 호남성 자리현 강아향 암판전촌에서 태어났다. 남북대협중 남 대협으로 불리며 중국 근대의 유명한 무술가이며 근대무술사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술견법 지술권법 地術犬法

지술견법은 남권의 한 종류로, "개권(狗拳)"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복건성 일대에서 유행하며, 다리 기술을 중심으로 손 기술과 보법을 결합한 권법이다. 땅에 눕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사용하여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다.

택견은 무술인가? 놀이인가?

택견은 무예인가? 놀이인가? 고도로 스포츠화된 무술은 놀이와 유희가 될 수 있다. 씨름은 중앙아시아에 널리 퍼져있는 레슬링인데, 레슬링은 효과적인 격투기인 동시에 재미있는 스포츠이다. 택견 역시 경기화가 잘 된 무술이다.

사기, 바보, 싸움 – 무술에서 기의 어두운 면

기의 신비를 벗겨내면서, 우선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부터 살펴봅시다. 기공의 놀라운 주장. 기공은 무술과 영적 추구에 대한 놀라운 업적과 주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언급됩니다.

백학권의 여정: 복건성에서 오키나와 가라테로

19세기말, 복건성 백학권이 오키나와 "테"와 결합, 가라테로 진화하였다. 히가온나 간료는 명학권을, 우에치 칸분은 반경연 권법을 수련 후 오키나와에 전파하였고 강유류와 우에치류 창시하였다. 백학권 호흡, 손기술, 강유사상 등이 가라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형의권 形意拳: 역사의 흐름 속에서 피어난 무예의 꽃

형의권은 중국의 전통 권법 중 하나로, 행의권이라고도 불린다. 형의권은 처음에 심의육합권이라 불렸는데, 이는 심과 의의 합일, 의와 기의 합일, 기와 력의 합일, 어깨와 골반의 합일, 팔꿈치와 무릎의 합일, 손과 발의 합일을 의미했다.

장권 長拳 : 경극에서 체조 경기로

장권은 멀리 떨어져 공격하고, 빠르게 이동하는 맨손 공격 및 방어 기술을 의미한다. '장(長)'은 '단(短)'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단타(短打)'에 대응하여 장권이라 불린다. 명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장권 계열 권법이 있었고, 현대 무술에서는 이 개념을 계승하여 사권, 소림권 등을 통칭한다.

팔괘장과 형의권을 퓨전한, 장점괴

장점괴張占魁 (1865년-1938년), 자는 조동兆東이다. 형의권과 팔괘장의 명사로 학생이 수 천명에 달하며 유명한 자는 한모협韓慕俠, 왕준신王俊臣, 유진경劉晉卿, 구치화裘稚和, 이검추李劍秋, 조도신趙道新, 강용초薑容樵, 전수초錢樹樵, 장우정張雨亭 등이 있다. 후대의 형의권, 팔괘장의 발전과 전파에 큰 기여를 하였다.

산타 散打: 중국 전통무술과 현대 격투기의 조화

산타 散打는 중국전통무술을 기반으로 현대 스포츠의 요소를 융합하여 탄생한 격투기 경기이다. 따라서 산타를 단순히 전통무술의 일부로 보거나, 완전히 새로운 격투기로만 보는 것은 정확하지 않으며,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2년 MMA 4대 예측: 험난한 코너 맥그리거와 존 존스의 여정

카마루 우스만은 앤더슨 실바 연승 기록을 경신하고 코너 맥그리거, 존 존스는 지지부진하고 라이벌 매치는 끝없이 이어지고 네이트 디아즈는 제이크 폴과 예능을 찍을까요? 올해 2022년 MMA계를 대담하게 예측해 봅니다.

일본무사들의 휴대용 호신병기 – 십수(十手, 짓테)

십수(十手)는 일본의 무기 및 체포도구의 하나. 30cm - 60cm 정도의 철, 놋쇠 등의 금속이나 참나무 등의 단단한 나무로 된 막대손잡이 부분에 'ㄱ'자를 붙인 것이다. 적의 칼의 방어나, 찌르기, 타격 등의 공격, 때로는 단봉술로 범인의 관절을 꺽고 누르고 던지기 등을 사영해 체포한다. 열 개의 손에 필적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십수'라고 한다. 유파에 따라서는 실수(實手)라는 표기를 사용한다. 십수를 이용한 무술을 십수술이라고 한다.

어쌔신을 위한 페어번-애플게이트 단검술

칼이 앞에 나오는 단검술은 워낙 많고 흔해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단검술은 칼을 앞에 놓고 결투를 시작한다. 그런데 칼이 뒤로 가는 자세의 단검술은 보기 드물며 비밀스러운 곳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어쌔신을 위한 단검술이다.

팔괘장의 창시자, 동해천 조사

동해천이 만든 팔괘장은 중국무술 역사상 가장 독특한 무술이며 메이저무술중에서는 가장 후대에 창시된 무술이다. 팔괘장은 수련방법으로 주권과 부보를 택하고 있으며 기격형태는 레슬링과 같은 근접전과 유술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일본도: 예술성과 실용성의 경계

일본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무기로서, 문화적 상징으로서, 그리고 예술품으로서 다양한 면모를 보여왔다. 그렇다면 일본도는 과연 미술품인가, 아니면 실용적인 도검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팔괘장을 배우고 무공을 완성한, 한모협

한모협(韩慕侠, 1877-1947) 중국 천진 진남구 대한장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한금용(韩金镛)이다. 형의권과 팔괘장 대가이다. 청나라 말기 10대 무술가로 선정이 되었다. 장점괴, 응문천 등 9명의 스승을 따라 무예를 익혔으며 팔괘장과 형의권을 융합하였다.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위대한 검술 천재가 되려면?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는 방법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검술 종류를 선택하기 이전에, 왜 검술을 배우려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검술을 배우려는 목적은 먼저 정하고 그 목적에 따라 검술을 선정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무식태극권 武式太極拳 : 정밀함 속에 숨겨진 조용한 힘

무씨 태극권은 19세기 중반 청나라 시대, 학자이자 무술가인 무우양의 손끝에서 탄생한 전통 무술이다. 무씨 태극권은 양씨 태극권의 소가를 바탕으로 발전했지만, 간결하고 정확한 동작, 그리고 내면의 힘을 중시하는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착각번자 戳腳翻子

착각번자(戳腳翻子)는 착각과 번자권을 결합한 권술이다. 청나라 함풍(鹹豐), 동치(同治) 연간, 조찬익(趙燦益)이 하북성 요양(饒陽)에서 착각을 전하고, 번자권은 왕노자, 왕점취에게 전했는데, 두 가문이 서로 기술을 교류하면서 착각번자가 탄생했다.

미국에서 무술의 미국화

아시아의 무술들이 미국에 진출해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지금은 미국적인 토양에서 성장한 무술들, 즉 미국무술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UFC 원로 호이스 그레시가 맷 휴즈에게 MMA로 패하는 장면은 전통무술 몰락의 한 신호일지 모른다.

팔괘장 八卦掌 Baguazhang

팔괘장은 중국무술의 하나이다. 창시자 동해천은 북경에서 활동하였고 북경을 중심으로 보급이 되었다. 팔괘장은 이름처럼 손바닥만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적인 가드형태가 주먹이 아닌 손바닥을 편 상태가 되는 것이다. 팔괘장의 기격은 북파중국무술의 특색대로 타격을 기반으로 레슬링과 씨름 기술을 차용한 근접전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엽문과 창녀: 중국 전통문화에서 여성성이 무기가 될 때

영춘건의 창시자인 엄영춘은 여성이다. 남성성이 주류를 이루는 중국 남부의 무술계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다. 엄영춘은 실제 인물일까? 아니면 엄영춘의 여성성을 무술의 특성과 연관시킨 것일까? 관세음보살도 엄연히 여성신이 아닌가? 엄영춘이 엽문의 창작일까?

인천팔괘장의 진실: 쿵푸 팔괘장을 수련한 어느 老 철학자 이야기

연세대에서 팔괘장을 가르치는 교수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분이 바로 老 철학자 박정순 교수님이셨다. 이미 인터넷으로 그의 학문적 이력을 접하고 궁금해하던 차, 직접 만나 뵈었을 때의 인상은 놀라웠다. 박 교수님은 첫인상부터세속을 초탈한 철학자이자 무림 고수를 보는 듯했다.

중국무술, 이데올로기와 문화 상징

중국 무술, 그 현란한 발차기 뒤엔 파란만장한 역사가 숨어 있다.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상징으로 변화하는 중국무술. 전투 기술에서 국수주의 혼을 담은 국술로, 문화컨텐츠로 변화하는 쿵푸. 그 변화의 방향을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태극권 太極拳, 피트니스로 가버린 무술

태극권(太極拳)은 청초 하남성 온현 진가구(陳家溝)에서 처음 전해진 무술이다. 음양의 원리를 권법에 적용했으며, 진식(陳式)을 시작으로 양식(楊式), 무식(武式), 손식(孫式), 오식(吳式) 등 여러 유파가 생겼다. 현대에는 건강법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사권: 뱀의 형태를 닮은 무술

뱀의 형태를 본뜬 다양한 손 모양과 공격/방어 기술, 독특한 보법과 호흡법이 특징이며, 남파와 북파의 차이점 및 다양한 수련법이 제시된다. 사권의 특징은 동작이 개합이 적절하고 강유가 조화를 이루며 유를 위주로 하고 유 안에 강이 있다는 점이다.

영화 사상 가장 현실적인 서양 검투씬은?

위쳐를 비롯한 서양 중세 검술씬에서 폴란드 영화가 약진을 하고 있다. 뱀파이어의 고향 동유럽에 위치하여 아직도 중세의 신비를 간직해서 일까? 영화사상 유명한 검술씬을 보여준 영화 3편 중 2편이 폴란드 영화이다.

중국검술, 태극검과 펜싱의 유사한 기술

태극검의 찰검은 우아하고 아름답지만, 사실 익히기 힘든 기술이다. 태극권의 추수를 검을 들고 하는 셈 인데, 칼을 들고 하기 때문에 손으로 하는 추수보다도 난이도가 높다.

어떤 호신술을 배워야 할까요? 이렇게 해보세요.

무술을 배우려면 열심히 노력하고 훈련으로 자신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호신술 훈련은 실제 공격의 느낌을 경험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기어, 스파링 장갑, 파울 컵 및 마우스 피드, 발 보호대가 있어야 합니다. 거리에서 호신술을 쓰려면 지속적인 스파링을 해야 합니다. 

손가락을 꺽어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기

자기 방어 상황에서 관절을 조작하여 공격자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과 손 관절은 강하지 않습니다. 손가락을 꺽는 것은 엄청난 고통은 가져다 줍니다. 손 전체는 상당히 강하지만 개별  손가락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청평검-근대중국검술의 기원

청평검술은 강서성 용호산의 반원규 도장이 창안하였다. 청평검이라는 명칭은 봉신연에 처음 나온다. 봉신연의에 나오는 천통교주가 소지한 보검이 바로 청평검이다. 청평검은 산동성과 하북성 창주시으로 전해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47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601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7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46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97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44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43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41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147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601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637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046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997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844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643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541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