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Blog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지술견법 지술권법 地術犬法

지술견법은 남권의 한 종류로, "개권(狗拳)"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복건성 일대에서 유행하며, 다리 기술을 중심으로 손 기술과 보법을 결합한 권법이다. 땅에 눕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사용하여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옥타곤의 뒷편: MMA 파이터들의 하루

종합격투기(MMA)는 현대 스포츠계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종목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옥타곤에 올라선 선수들은 타격, 그래플링, 서브미션 등 다양한 기술을 조합하며 관중의 심장을 뛰게 만든다. 하지만 화려한 경기 뒤에는 규율과 희생, 끊임없는 노력이 담긴 치열한 일상이 숨어 있다

팔괘장 64식 산수장에 들어있는 팔괘장식 격투법과 훈련법

팔괘장 64 산수장 시스템은 단순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상황 이해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체력적, 정신적인 요소의 훈련까지 상정한 종합적인 격투체계이다. 다양한 실전 격투 상황을 가정하고 훈련함으로써, 실전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팔괘장 실전 48 가결

팔괘장 실전 48 가결은 격투시에 상대를 대적하는 요령을 담고 있다.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노사가 가결을 정리하였다. 현대 격투의 관점에서 보면 당연하지만 음식이 싱거울 때 소금을 넣으면 된다처럼 어떤 것을 처음 발견하는 것은 대단한 업적이다.

양진포, 양파 팔괘장의 시조

양진포(梁振蒲), 자는 조정(照庭)이며, 하북성 기현河北省 冀县 北郝家冢村 출신이다. 청나라 동치 2년(계해년) 5월 20일(1863년)에 태어났으며, 1932년 8월 13일 사망하였다. 팔괘장의 창시자 동해천의 고제였으며 양파 팔괘장의 시조이다.

검도는 실전이 아니다: 무술계의 논쟁과 진실

지난 수십년 째 무술계에서는 실전적이냐 아니냐를 놓고 논쟁해 왔다. 최근 십여 년 간에는 중국무술은 비 실전적이다, 검도는 실전적이다 등등의 수많은 논쟁과 떡밥이 난무했다. 이런 논쟁들은 결론이 나지 않은채 수십 년 째 쳇바퀴 돌듯이 되풀이 되었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이자명(1902년-1993년)은 팔괘장 3대 전인이며 양진포 노사의 제자이고 양파 팔괘장의 전인이다. 본적은 하북성 기현의 외딴 마을 이도촌(李桃村)이다. 어려서 연청권을 익히고 18세에 팔괘장의 2대 명가 양진포에게 입문하였다. 동시에 배사한 스승으로는 이금표(李金豹)가 있다. 무술과 서화에 능하였다.

영춘권의 창시자는 여성일까?

영춘권의 창시자는 엄영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초맨들의 영역인 무술에서 여성이 창시자인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중국 남부는 종법 질서와 가부장적인 면이 더 두드러진 곳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관세음보살이 여성 신격인 것처럼 과거의 세계관에 맞춘 창시설화에 불과합니다.

만화보고 무술 입문하기: 어느 만화부터?

인터넷조차 안보는 히키코모리가 아니라면 그래픽노블이 기반인 영화가 현재 대세라는 것을 눈치 챘을 것입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그랬죠. 그리고 일부는 실제 무술 영화는 그런 장르에 매우 가깝습니다. 작년 개봉한 스네이크 아이와 샹치는 둘 다 그래픽노블을 기반으로 합니다.

협권 俠拳

협권(俠拳)은 남권의 한 종류로, 청나라 말엽 금구선사(金鉤禪師)가 황은림(黃隱林)에게 전수한 무술이다. 황은림은 스승을 기리기 위해 "대협 이호료(大俠李胡了)"라고 불렸던 금구선사의 권법을 "협권"이라 명명했다.

‘더러운 싸움’을 시작한, 윌리엄 페어본

윌리엄 E. 페어본은 영국 특수부대의 근접전투 기술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무술가이자 군인이다. 그는 상하이 경찰에서 근무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페어본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근접전투 기술을 개발했다.

형의권 形意拳: 역사의 흐름 속에서 피어난 무예의 꽃

형의권은 중국의 전통 권법 중 하나로, 행의권이라고도 불린다. 형의권은 처음에 심의육합권이라 불렸는데, 이는 심과 의의 합일, 의와 기의 합일, 기와 력의 합일, 어깨와 골반의 합일, 팔꿈치와 무릎의 합일, 손과 발의 합일을 의미했다.

현상금 사냥꾼에게 무술이 필요할까?

미국의 현상금 사냥꾼과 보석 보증인 제도. 범인들은 순순히 잡혀주지 않는다. 현상금 사냥꾼들에게는 어떤 무술이 필요할까? 의외로 상대를 한 방에 보내는 UFC파이터의 기술보다는 CDT® 매뉴얼 내의 팔 꺽기 등의 인신구속 기법이 실용적이라고 한다.

법 집행관을 위한 주짓수

법 집행관은 민간인을 상대할 때 무기를 그냥 꺼내 마음대로 쓸 수 없고, 후추 스프레이와 테이저건도 마찬가지입니다. 폭력적인 사람, 범죄자,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개인 또는 그룹과의 긴밀한 접촉을 할 때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게 맘대로 될까요?

48식태극권 四十八式太極拳 : 1976년 탄생한 투로

48식태극권(四十八式太極拳)은 197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조직한 태극권 가들이 창편한 새로운 태극권 틀이다. 간화태극권을 기초로 하여 진식, 양식, 오식, 손식 태극권의 대표적 동작들을 통합했으며, 양식태극권의 기법 특징을 유지한다.

팔괘장과 무당검술의 전술과 기술

고대서적에 나오는 검술 기술들은 현대 중국 전통검술에 거의 대부분이 전수되고 있다. 현대 전통검술 유파의 검술을 들여다보면 고대 검술의 유산을 발견할 수 있다. 굳이 고서를 번역하면서 고민할 것이 아니라, 전통 유파의 검술을 제대로 배워보면 쉽게 해결될 일이다.

중국 북파무술과 팔괘장을 종합한, 유덕관

유덕관은 하북성 창주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무술을 익혀 육합권법, 대창에 정통하여 무림인으로부터 '대창류(大槍劉)‘로 칭송받았다. 실질적으로 중국 북파무술을 근대화하고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이 교류하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엽문이 엄영춘 영춘권 창시설을 만들었을까?

영춘권의 많은 논쟁들은 계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람들은 어떻게 영춘을 설명해야 그것의 본질적인 면을 가장 잘 포착했는지 알고 싶어한다. 엄영춘이 영춘권을 만들었을까? 정통성은 역사적으로 검증되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가장 오래된 영춘의 계보가 가장 정통이라고 결론짓는다.

미국에서 무술의 미국화

아시아의 무술들이 미국에 진출해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지금은 미국적인 토양에서 성장한 무술들, 즉 미국무술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UFC 원로 호이스 그레시가 맷 휴즈에게 MMA로 패하는 장면은 전통무술 몰락의 한 신호일지 모른다.

당신이 몰랐던 무당검법의 비밀: 무당13세의 탄생

무협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무당 13세는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검술이다. 무당검법 10대 전인 이경림이 다양한 검술을 종합하여 창시했다. 무당 13세는 중국 무술의 현대화 과정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검 刀劍 소드 Sword

유럽과 동아시아에서의 도검 분류법과 도검의 탄생 및 발전 과정, 그리고 철기 시대와 철검의 도입, 이를 토대로 각각의 문화를 대표하는 도검의 특징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도검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군사적 변화, 그리고 각 시대의 주요 무기와 전술 발전에 다루고 있다.

국제유도연맹, 한국에게 불리하도록 룰 개정

국제유도연맹이 2024 파리올림픽에 대비해 새로운 규칙들을 발표했다. 가장 논란이 많은 변화는 '최민호 업어치기'인데 이는 더 이상 득점이 아니며 벌점을 받게 된다. 이 기술은 올림픽 챔피언인 한국의 최민호 선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UFC 파이터가 갖추어야 할 기술

MMA 선수가 되려면 우선 자신의 단일 무술 배경이 있어야 한다. 권투, BJJ, 레슬링, 태권도 등 한 가지 무술에 정통을 하고 MMA를 위한 기술 습득을 해야 한다. MMA라는 무술은 없으며 여러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경기를 하는 방식인 것이다.

백미권 白眉拳

백미권(白眉拳)은 사천 아미산의 백미도인(白眉道人)이 전수한 권법이다. 광주, 복건, 홍콩, 마카오에 널리 전파되어 남소림권과 유사한 특징으로 남권의 한 종류로 여겨진다. 보가(步架)가 높고 동작 폭이 작으며, 근접 타격을 중시한다.

황림파 黃林派

황림파(黃林派)는 사천의 권술로, 황릉파(黃陵派)라고도 한다. 가경 연간 사천 영창(榮昌)과 륭창(隆昌) 지역의 황림승이 전수했다는 설과 섬서(陝西)의 황제릉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측신취세(側身取勢)와 돈토침부(吞吐沉浮)가 특징이다.

승문 僧門

승문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이다. 속칭 신문申門이라고 한다. 소림사에서 기원해 명말에 호북을 거쳐 사천에 전해졌다. 강력한 힘과 밀착 공격을 중시한다. 주요 투로로는 대련, 단편 등이 있다.

도검난무, 도와 검, 한날 도와 양날 검의 구분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것을 도(刀)라고 하고 양쪽에 날이 모두 있는 것을 검(劍)이라고 한다. 두개를 합쳐 도검이라고 한다. 청동기 시대에 처음 등장한 도는 철기의 등장으로  점차 검을 대체하여 군대의 주요 무기가 되었다.

백학권의 여정: 복건성에서 오키나와 가라테로

19세기말, 복건성 백학권이 오키나와 "테"와 결합, 가라테로 진화하였다. 히가온나 간료는 명학권을, 우에치 칸분은 반경연 권법을 수련 후 오키나와에 전파하였고 강유류와 우에치류 창시하였다. 백학권 호흡, 손기술, 강유사상 등이 가라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술 훈련의 이점

무술 훈련에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가장 확실한 이득은 자기 방어에 대한 지식이다. 많은 사람들이 체력 단련을 위해 무술도 한다. 가라테, 태권도, 쿵푸 등의 훈련은 근육 시스템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심혈관 건강도 향상시킬 것이다. 

무술 수련을 위한 적절한 웨이트트레이닝 수준은?

무술수련에 있어서 중량을 사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이 적절한가 아닌가를 놓고 오랫동안 찬반 논의가 있어왔다. 고중량 웨이트트레이닝은 무술의 힘쓰기와 다른 졸력을 사용한다며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반대로 중량운동은 현대무술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쪽도 있었다.

이스라엘 특공무술, 크라브마가

크라브 마가는 이스라엘의 무술이다. 크라브 마가는 독립된 시스템을 지닌 다른 무술과는 달리 근접전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가깝다.크라브 마가의 장점은 전투 상황에서 전략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이며 단점은 그것을 뺀 모든 것이다.

근육을 넘어선 격투기, 무술의 피트니스화

무술의 원리로 신체를 조율하는 기법을 알기만 하면 당신은 순식간에 달인! 이라는 식으로 세미나를 하고 책을 쓰는 사람들이 일본에는 넘쳐나고 한국에도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전혀 나쁜 것은 아니고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비학권 飛鹤拳 : 학이 날아오르듯

비학권은 권술 중 남파 백학권(白鶴拳)의 일종이다. "통함으로써 날아오른다"고 하는데, 여기서 통이란 펼친다는 의미이다. 비학권은 백학권 기초 위에 학의 비상, 도약, 날개 펼침, 날갯짓 등의 동작을 모방하여 파생되었다.

상지류 우에치류 上地流 가라테 : 진정한 의미의 당수

우에치류는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로, 개조 우에치 칸본(上地完文)이 중국에서 배운 반경연권법을 기반으로 한다. 수리테나 나하테와 달리 순수 당수(唐手)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8가지 형과 직접 타격을 특징으로 한다.

팔괘장, 원운동 속에서 피어나는 힘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무술은 단순한 격투 기술을 넘어 인간의 신체 능력과 정신력을 극대화하는 심오한 수련 체계로 발전해 왔다. 그중에서도 팔괘장은 독특한 원형 보법과 전신 협응을 강조하는 무술로, 그 수련 과정과 실전 기술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가 재조명받고 있다.

인천 쿵후의 정통 계승자, 필서신

필서신(畢庶信). 1958년에 인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 화교 출신 무술가다. 대만 국적 부모 사이에서 출생한 화교 2세로 16세에 팔괘장의 고수였던 화교 사부 ‘유순화’를 만나 중국 무술을 시작했다. 그는 현재 인천에서 체육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타가 공인하는 인천 쿵후의 정통 계승자이다.

중국검술이 일본검도를 이기려면?

현존하는 검술중에는 일본검도와 펜싱이 가장 실전에 가깝다는데에는 누구나 동의 한다. 이 두가지가 그나마 실전에 가깝다는 판단은, 이 두가지는 항상 격검을 하기 때문이다. 대개 표연 위주의 무술들은 대련이 없기 때문에 약해지고, 약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대련을 회피한다. 특정 무술이 강한 것이 아니라, 대련을 많이 하는 무술이 실전적 이라는 의미이다.

팔괘장과 형의권을 퓨전한, 장점괴

장점괴張占魁 (1865년-1938년), 자는 조동兆東이다. 형의권과 팔괘장의 명사로 학생이 수 천명에 달하며 유명한 자는 한모협韓慕俠, 왕준신王俊臣, 유진경劉晉卿, 구치화裘稚和, 이검추李劍秋, 조도신趙道新, 강용초薑容樵, 전수초錢樹樵, 장우정張雨亭 등이 있다. 후대의 형의권, 팔괘장의 발전과 전파에 큰 기여를 하였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868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347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29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368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592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485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952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129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868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347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29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368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592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485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952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129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