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술위키유럽/아프리카/미주/오세아니아

유럽/아프리카/미주/오세아니아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팔괘장을 (책으로) 보급한, 강용초

강용초(姜容樵, 1891~1974)는 현대의 무술가, 무술교육가, 무술이론가이다. 무당(武當), 팔괘장, 형의권, 태극권, 팔괘장 등 내가권법(內家拳法)에 정통했다. 중국 근대의 대표적인 무술 저술가로 현대적인 방식으로 중국무술을 보급하였다.

이스라엘 특공무술, 크라브마가

크라브 마가는 이스라엘의 무술이다. 크라브 마가는 독립된 시스템을 지닌 다른 무술과는 달리 근접전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가깝다.크라브 마가의 장점은 전투 상황에서 전략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이며 단점은 그것을 뺀 모든 것이다.

어떤 호신술을 배워야 할까요? 이렇게 해보세요.

무술을 배우려면 열심히 노력하고 훈련으로 자신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호신술 훈련은 실제 공격의 느낌을 경험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기어, 스파링 장갑, 파울 컵 및 마우스 피드, 발 보호대가 있어야 합니다. 거리에서 호신술을 쓰려면 지속적인 스파링을 해야 합니다. 

‘더러운 싸움’을 시작한, 윌리엄 페어본

윌리엄 E. 페어본은 영국 특수부대의 근접전투 기술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무술가이자 군인이다. 그는 상하이 경찰에서 근무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페어본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근접전투 기술을 개발했다.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어쌔신을 위한 페어번-애플게이트 단검술

칼이 앞에 나오는 단검술은 워낙 많고 흔해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단검술은 칼을 앞에 놓고 결투를 시작한다. 그런데 칼이 뒤로 가는 자세의 단검술은 보기 드물며 비밀스러운 곳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어쌔신을 위한 단검술이다.

무술 훈련을 위한 최고의 체력운동

군대의 전투체력 검정 기준이 바뀌고 있다. 2020년부터 정식 시행된 미국 육군 전투체력 검정시험(U.S. Army Combat Fitness Test, ACFT)의 기준을 보면 무술을 위한 체력운동에 다름 아니다. '소림72내공'에 포함된 체력운동을 거의 다 포괄하고 있다.

화권 華拳

화권(華拳)은 장권(長拳)의 대표적인 권법 중 하나이다. 화산(華山)의 찰무(察茂)로부터 시작되었다거나, 정(精), 기(氣), 신(神)을 삼화(三華)로 여기고 "삼절일(三絕一)"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화권이라 불린다고 한다.

화권 花拳

화권(花拳)은 실용성을 중시하고, 질법을 중심으로 하며, 정해진 초식이 없는 권법이다. 화권은 '후발제인(後發制人)'을 중시하고, 방어 후 공격에 초점을 맞춘다. 산수 120자, 72가지 관절 꺾기, 36가지 발차기, 24가지 자세 및 88가지 낙법 동작으로 구성된다.

벽괘권 벽괘장 劈掛拳

벽괘권(劈掛拳)은 전형적인 장거리 공격 권술로, 고명(古名)은 피괘권(披掛拳) 또는 말면권(抹面拳)이다. 손바닥을 많이 사용해 벽괘장(劈掛掌)이라고도 불린다. 벽괘권은 진퇴가 빠르며, 원거리 공격과 근거리 타격을 모두 구사한다.

오래된 현대무술, 소림권

소림권은 중국 전통 권종 중 하나이다. 중국 무술 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유파로서, 강건하고 힘차며, 소박하고 꾸밈없는 기술로 국내외에서 명성이 자자하다. 소림권은 역사적으로 여러 번 흥망성쇠를 겪었으며 우리가 보는 소림권은 현대무술인 소림권이다.

영어 마샬 아츠Martial Arts의 어원

현재 Martial Art는 격투기의 의미로 사용하지만 엄밀하게 따지자면 격투기는 Fighting Arts이며 지구 상의 모든 싸우는 방법에 대한 통칭이며 Martial Art무술은 그 중에서 동아시아의 특정한 격투기를 지칭한다.

조문 趙門

조문(趙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을 창시자로 한다. 홍권(紅拳)을 기초로 하며, 청 광서(光緖) 연간에 장천복(張天福)이 사천에 전했다. 정제되고 시원한 가식과 다양한 각법, 도약이 특징이며, 태조권(太祖拳) 등의 투로가 있다.

도쿄 도검박물관: 일본도의 예술과 역사 탐방

일본 미술도검보존협회(NBTHK)는 도검박물관을 설립하고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군 점령군이 일본인의 모든 일본도를 몰수하려 하자, 전멸의 위기에 처한 일본도를 보존하기 위해 1948년 2월 정부 공인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육합권 六合拳

육합권(六合拳)은 장권(長拳)류 권술 중 하나로, 소림권에서 유래했다. 만뢰성(萬籟聲)은 이 권법이 소림 위타문(韋陀門)에 속한다고 했다. 청나라 도광 연간, 하북성 박두진(泊頭鎮)의 조(曹)씨 권사가 창주(滄州)의 이관명(李冠銘)에게 전하면서 창주 지역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이자명(1902년-1993년)은 팔괘장 3대 전인이며 양진포 노사의 제자이고 양파 팔괘장의 전인이다. 본적은 하북성 기현의 외딴 마을 이도촌(李桃村)이다. 어려서 연청권을 익히고 18세에 팔괘장의 2대 명가 양진포에게 입문하였다. 동시에 배사한 스승으로는 이금표(李金豹)가 있다. 무술과 서화에 능하였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소림류 고바야시류(小林流) 가라테 : 수리테의 계보를 잇다.

고바야시류는 치바나 초신이 1933년 창시한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다. 수리테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이토스 계통과 타와다 계통의 형을 모두 계승하고 있다. 현재는 여러 회파로 나뉘어 해외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노수전 전기-한국에 중국무술을 전한 원로

노수전 노사는 산동성 출신의 화교로 어려서부터 무술을 배웠으며 팔괘장에 능하였다. 강경방, 임풍장과 더불어 한국에 중국무술을 전한 원로 중 한 명이먀 인천을 중심으로 많은 제자를 두고 무술을 전파하였다.

마음과 신체의 연결 잠금 해제: 무술 수련의 심리적 이점

오늘날의 빠르게 변화하고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많은 개인은 균형과 웰빙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운동은 오랫동안 신체적 이점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기 방어나 건강뿐만 아니라 심오한 심리적 이점 때문에 무술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귀신들린 무술가, 주화입마(走火入魔)

주화입마는 도교와 무술, 그리고 불교와 같은 동양 철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개념이다. 이 용어는 특히 기공(氣功)이나 명상, 무술 훈련 등에서 잘못된 방법으로 수행하거나 과도한 욕심을 부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만화보고 무술 입문하기: 어느 만화부터?

인터넷조차 안보는 히키코모리가 아니라면 그래픽노블이 기반인 영화가 현재 대세라는 것을 눈치 챘을 것입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그랬죠. 그리고 일부는 실제 무술 영화는 그런 장르에 매우 가깝습니다. 작년 개봉한 스네이크 아이와 샹치는 둘 다 그래픽노블을 기반으로 합니다.

공신류 쿠신류(空真流) 가라테 : 하이브리드 가라테

쿠신류는 우에시마 산노스케가 창시한 가라테 유파다. 본토의 구키신류 봉술과 오키나와의 가라테를 융합했다. 1932년 창시 후 1937년 킨조 켄세이의 쿠신류를 배워 발전시켰으며, 일본고무도 가라테도 혼성파생유파로 분류된다.

숙학권 宿鹤拳 : 학의 방어 동작을 본따서

숙학권은 학이 둥지에 깃드는 모습에서 유래한 남파 학권의 일종이다. 팔보련 궤적, 탄두지경, 구배학신 자세, 내공 수련, 기격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삼전을 중시한다. 단전호흡을 통해 기를 단전에 집중시켜 힘을 기르고, "전경"이라는 독특한 힘을 발휘하여 민첩하고 강력한 움직임을 추구한다.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생체역학을 알면 무술 훈련이 쉬워진다.

움직임의 생체 역학을 설명할 때 몸이 움직임을 실행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여러 시스템이  하나의 단위로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을 키네틱체인이라고 하며 세 가지 기본 시스템이 있습니다.

태극권 太極拳, 피트니스로 가버린 무술

태극권(太極拳)은 청초 하남성 온현 진가구(陳家溝)에서 처음 전해진 무술이다. 음양의 원리를 권법에 적용했으며, 진식(陳式)을 시작으로 양식(楊式), 무식(武式), 손식(孫式), 오식(吳式) 등 여러 유파가 생겼다. 현대에는 건강법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착각번자 戳腳翻子

착각번자(戳腳翻子)는 착각과 번자권을 결합한 권술이다. 청나라 함풍(鹹豐), 동치(同治) 연간, 조찬익(趙燦益)이 하북성 요양(饒陽)에서 착각을 전하고, 번자권은 왕노자, 왕점취에게 전했는데, 두 가문이 서로 기술을 교류하면서 착각번자가 탄생했다.

심의권 心意拳

심의권(心意拳)은 심의육합권(心意六合拳)의 줄임말로, 명말청초 산서 포주의 희제가(姬際可)가 창시했다고 전한다. '심의 발동이 권이다(心之發動爲拳)'를 강조하며, 육합(六合)과 '신성육식(身成六式)'을 기본으로 한다.

일본에 가라테를 전한 모토부 쵸키

모토부 쵸키는 오키나와 현 출신의 가라테 가이다. 오키나와 명문가 태생으로 어려서 부터 여러 가라테 선생에게 사사하였고 20대 때부터 전설적인 강함을 자랑하여 20세기 초중반 '최강 가라테 가'로 칭송받던 가라테의 대가이자 일본전류병법본부권법(모토뷰 류)의 시조이다.

다이어트를 위해 복싱을 훈련해야 하는 8가지 이유

권투는 육체적으로 힘든 스포츠입니다. 일반적인 권투 세션에서 평균적인 사람은 시간당 250에서 1000칼로리를 태울 수 있습니다. 체중 감량이 복싱을 훈련하는 유일한 이유는 아닙니다. 복싱 수련에는 정신 건강 향상, 호신술, 유연성 향상을 포함합니다.

검이 부딪히는 활연대오의 찰나

검과 검이 부딪히는 순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 충돌을 처리하고, 상대방의 힘을 어떻게 받아내며,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전환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관절과 천골을 활용한 기술은 단순한 팔의 힘을 넘어서, 더 깊고 강력한 기술적 원리를 담고 있다

법 집행관을 위한 주짓수

법 집행관은 민간인을 상대할 때 무기를 그냥 꺼내 마음대로 쓸 수 없고, 후추 스프레이와 테이저건도 마찬가지입니다. 폭력적인 사람, 범죄자,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개인 또는 그룹과의 긴밀한 접촉을 할 때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게 맘대로 될까요?

소림사

495년 인도의 발타선사가 창건하였으며, 달마대사가 소림사에서 수련하여 돈오하여 선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소림사는 선불교가 발생한 곳이며 승려들이 무술을 수련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승려들의 무술 수련은 미디어를 통해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실제로는 소림사 주변의 말사 등에서 수련한 사실이 있다고 한다. 지금은 소림사 경내에서는 무술을 수련하지 않으며 주변의 무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영화 사상 가장 현실적인 서양 검투씬은?

위쳐를 비롯한 서양 중세 검술씬에서 폴란드 영화가 약진을 하고 있다. 뱀파이어의 고향 동유럽에 위치하여 아직도 중세의 신비를 간직해서 일까? 영화사상 유명한 검술씬을 보여준 영화 3편 중 2편이 폴란드 영화이다.

어떤 무술 문파의 쿵후 스타일을 배우고 싶어요?

중국무술에는 많은 스타일이 있습니다. 문파 혹은 유파라고 합니다. 중국무술은 불교의 조직을 본떠서 조직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장문인, 수제자, 문파라고 하는 것이 그 유산입니다.

88식태극권 八十八式太極拳 : 대중화된 태극권 투로

88식태극권(八十八式太極拳)은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 무술과가 정리한 양식 대가장식(大架場式) 태극권 틀이다. 전승 과정의 차이로 인한 다양한 변형을 통일하여 88개 동작으로 규격화했다.

무가권 巫家拳

무가권(巫家拳)은 호남 지역 권법 중 하나로, 복건성 정주 사람 무필달(巫必達)이 창시했다. 무필달은 남소림 연성권을 배우고 여러 권법을 섭렵한 후, 호남성 상담에 정착하여 무가권을 전수했다.

손가락을 꺽어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기

자기 방어 상황에서 관절을 조작하여 공격자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과 손 관절은 강하지 않습니다. 손가락을 꺽는 것은 엄청난 고통은 가져다 줍니다. 손 전체는 상당히 강하지만 개별  손가락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습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753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191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243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305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430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437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875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068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753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191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243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305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430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437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875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068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