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술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사기, 바보, 싸움 – 무술에서 기의 어두운 면

기의 신비를 벗겨내면서, 우선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부터 살펴봅시다. 기공의 놀라운 주장. 기공은 무술과 영적 추구에 대한 놀라운 업적과 주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언급됩니다.

위대한 검술 천재가 되려면?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는 방법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검술 종류를 선택하기 이전에, 왜 검술을 배우려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검술을 배우려는 목적은 먼저 정하고 그 목적에 따라 검술을 선정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양식태극권 楊式太極拳 : 격투기로 피트니스를

양식태극권(楊式太極拳)은 하북 영년(永年)의 양복규(楊福魁, 1799-1872)가 창시했다. 진식태극권을 배운 후 북경에서 기영(旗營) 무술교사를 지내며, 양생을 위해 진식 노가의 발경(發勁)과 도약 동작을 삭제하여 만들었다. 유연하고 부드러운 동작이 특징이다.

팔괘권 八卦拳

무술에서 '팔괘권(八卦拳)'이라 불리는 권법은 여러 종류가 있다.그 중 노, 기, 예 지역에 전해지는 팔괘권이 비교적 완전하다. 팔괘권은 24로로 구성되며, 상팔괘, 중팔괘, 하팔괘로 나뉜다. 권법 동작은 단순하고 힘이 강하며, 장권류 권법에 속한다.

녹아웃 연대기: 21세기 복싱의 진화

권투에는 유서 깊은 역사가 있습니다. 고대 로마의 검투 대회부터 헤비급 챔피언십의 웅장한 광경에 이르기까지 스포츠는 수 세기에 걸쳐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러나 21세기는 기술 발전, 사회적 역동성 변화, 새로운 복싱 형식의 출현 등 복싱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했습니다.

무에타이와 무에보란의 차이점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에타이를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Muay Boran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무에보란은 태국의 오래된 무술 중 하나로 무에타이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무에보란이 없었다면 무에타이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송도관류 가라테의 창시자, 후나고시 기친

후나고시 기친은 오키나와 출신으로, 당수를 가라테(공수도)로 개명하고 일본 본토에 전파한 인물이다. 그는 송도관류의 사실상 창시자이며, 강도관 시연, 대학 공수도부 창설, 저서 집필 등을 통해 공수도 발전에 기여했다. 말년에는 일본 공수도 협회 최고 사범을 역임했으나, 내부 갈등과 '본가' 논쟁을 겪기도 했다.

홍권 紅拳

홍권(紅拳)은 장권(長拳)의 한 종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이 창시했다거나, 섬서성 관중(關中) 지역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청나라 시대 산동성과 하북성 경계 지역에서 널리 수련되었으며, 민간 반청 비밀 조직에서 대중 선전 및 조직 수단으로 활용되어 널리 퍼졌다.

오식태극권 吳式太極拳: 경유와 완만함의 완벽한 조화

오식 태극권은 오전우가 양식 태극권에서 파생시켜 오감천이 완성한 무술이다. 부드러움을 중심으로 간결하고 섬세한 권법을 특징으로 하며, 중정, 안서, 경령, 원활의 수련 원칙을 강조한다. 다양한 권법, 무기(도, 검, 창/곤), 추수, 기공법을 포함하며, 건강 증진과 무술 실력 향상에 기여한다. 왕무재, 오도남 등 수많은 전승자를 통해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체와 용의 조화를 중시하며, 꾸준한 수련을 통해 경지에 이를 수 있다.

현대군용대검의 조상, 페어본-사이키스 나이프

페어본-사이크 전투대검은 둥근 그립이 달린 양날 전투 대검이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중국 상하이시 경찰에서 복무하던 윌리엄 페어본William Ewart Fairbairn과 Eric Anthony Sykes에 의해 개발되었다.

격렬하고 파괴적인 미 해병대 무술

미국 해병대가 배우고 있는 무술을 MCMAP이라고 하며 이는 Marine Corps Martial Arts Program의 약자이다. 군대는 CQC라는 백병전과 같은 것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영원한 권법소년, 마츠다 류우치

마츠다 류우치는 일본의 유명 무술연구가이며 무술가이다. 일본 아이치현 오카자시시 출신. 자신의 무술 편력을 바탕으로 한 자전 『수수께끼의 권법을 찾아서』를 저술하였고 그것이 나중에 중국 무술 만화 『권아』의 원작이 되어 크게 히트하였다.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경비원에게 무술이 필요할까요?

경비원에게 무술 훈련이 필요할까? 무술을 상대를 이기고 제압하는 것인데, 경비가 필요한 많은 상황에서 상대를 다치게 하거나 기분을 나쁘게 하면 안된다. 상황을 안전하게 종료시키고 상대를 장소에게 벗어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9가지 잘못된 무술 상식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검증 안된 사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무술 상식도 그러죠!  무술도 신화로 가득 차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신화를 사실이라고 믿는 반면, 믿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9가지 무술 관련 신화를 검증해 보았습니다. 

유술 柔術

일본 유술은 상대 힘을 역이용해 제압하는 맨손 무술이다. 고대 전투 기술에서 시작, 에도 시대에 체계화되었고, 가노 지고로가 유도를 창시하며 현대화되었다. 다케노우치류, 요신류, 기토류, 덴진신요류, 대동류합기유술 등 다양한 유파가 있으며, 던지기, 굳히기, 아테미 기술과 정신 수양을 중시한다.

팔괘장, 원운동 속에서 피어나는 힘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무술은 단순한 격투 기술을 넘어 인간의 신체 능력과 정신력을 극대화하는 심오한 수련 체계로 발전해 왔다. 그중에서도 팔괘장은 독특한 원형 보법과 전신 협응을 강조하는 무술로, 그 수련 과정과 실전 기술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가 재조명받고 있다.

신력천근왕, 왕자평

왕자평은 하북성 창주 출신으로, 무예와 의술에 능통했다. 격동의 근대 중국에서 그는 뛰어난 무예 실력을 바탕으로 의술을 펼쳐 사회에 봉사했으며, 무예 진흥을 위해 노력했다. 전국무예협회 부의장을 역임하고, 《권술이십법》 등의 저서를 남기며 후대에 그의 지식과 경험을 전수했다. 그의 삶은 무예와 의술을 통해 사회에 헌신하고자 했던 한 개인의 족적을 보여준다.

육합팔법권 六合八法拳

육합팔법권(六合八法拳)은 1930년 철령 만주족의 오익락(吳翼犖)이 상해에서 전수하기 시작한 권술이다. 체합심(體合心) 등 육합과 행기집신(行氣集神) 등 팔법을 근간으로 하며, 태극권, 심의육합권, 팔괘장의 장점을 융합했다고 본다.

미종권 迷宗拳

미종권(迷蹤拳)은 장권(長拳)의 일종으로, 연청권(燕青拳), 미종권(迷蹤拳), 모종권(貌蹤拳), 미종예(迷蹤藝)라고도 불린다. 미종권은 다양한 권법의 특징을 모아 만들었으며, 수련 시에는 눈은 한 점을 주시하면서도 팔방을 살펴야 한다. 

내공

실력이 있다는 뜻의 내공. 내공의 어원은 무술 용어였으며 신조어이다. 중국에서 격투기였던 무술에서 기공 수련법을 받아들여 내공 수련법을 만들게 되면서 내공이라는 용어가 무술의 주요 개념으로 등장으로 하였다.

양진포, 양파 팔괘장의 시조

양진포(梁振蒲), 자는 조정(照庭)이며, 하북성 기현河北省 冀县 北郝家冢村 출신이다. 청나라 동치 2년(계해년) 5월 20일(1863년)에 태어났으며, 1932년 8월 13일 사망하였다. 팔괘장의 창시자 동해천의 고제였으며 양파 팔괘장의 시조이다.

사권: 뱀의 형태를 닮은 무술

뱀의 형태를 본뜬 다양한 손 모양과 공격/방어 기술, 독특한 보법과 호흡법이 특징이며, 남파와 북파의 차이점 및 다양한 수련법이 제시된다. 사권의 특징은 동작이 개합이 적절하고 강유가 조화를 이루며 유를 위주로 하고 유 안에 강이 있다는 점이다.

중국무술, 이데올로기와 문화 상징

중국 무술, 그 현란한 발차기 뒤엔 파란만장한 역사가 숨어 있다.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상징으로 변화하는 중국무술. 전투 기술에서 국수주의 혼을 담은 국술로, 문화컨텐츠로 변화하는 쿵푸. 그 변화의 방향을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베어워킹, 올바른 웅보 돌기

웅보,베어워킹은 한국군의 전장순환운동이 될 만큼 대중적이 되었습니다. 사족보행을 한다고 웅보가 아니라 곰의 모습처럼 걸어야 웅보입니다. 이렇게 웅보를 하면 신체수행능력이 향상하고 부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무가권 巫家拳

무가권(巫家拳)은 호남 지역 권법 중 하나로, 복건성 정주 사람 무필달(巫必達)이 창시했다. 무필달은 남소림 연성권을 배우고 여러 권법을 섭렵한 후, 호남성 상담에 정착하여 무가권을 전수했다.

신체의 여덟 부위가 무기로, 무에타이

무에타이(มวยไทย)는 태국의 전통 격투기이자 국기(國技)로, 주먹, 발, 팔꿈치, 무릎 등 신체의 여홉 부위를 사용하는 전신 격투술이다. 이로 인해 '신체 여덟 부위의 기술(Art of Eight Limbs)'이라는 국제적인 별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일부 태국 문헌에서는 머리 공격까지 포함하여 '아홉 가지 무기(นวอาวุธ, 나와웃)'로 칭하기도 한다.

생체역학을 알면 무술 훈련이 쉬워진다.

움직임의 생체 역학을 설명할 때 몸이 움직임을 실행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여러 시스템이  하나의 단위로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을 키네틱체인이라고 하며 세 가지 기본 시스템이 있습니다.

무술 수련에서 스피드를 올리는 7가지 방법

자신의 무술 문파에 관계없이 스피드 증가는 경쟁과 자기 방어에서 성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뛰어난 반사 신경은 대결에서 이기고 지는 차이를 만들어낸다. 무술 수련에서 스피드를 올리는 7가지 방법은 속도 루프 훈련 시스템을 차용하는 것이다.

당랑권 螳螂拳

당랑권(螳螂拳)은 상형권의 한 종류로, 명나라 말기 산동 즉묵 사람 왕랑(王朗)이 창시했다고 한다. 왕랑은 사마귀가 사냥하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얻어 짧은 거리에서 긴 거리를 공격하는 원리를 깨닫고, 원숭이 스텝을 활용해 공방 기술을 결합하여 당랑권을 만들었다.

맨손으로 칼이나 총기를 안전하게 무장 해제하는 방법

무술 기술을 사용하여 칼이나 총기를 안전하게 무장 해제하려면 높은 수준의 기술, 훈련 및 주의가 필요합니다. 무장한 가해자를 무장 해제시키려는 시도는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황림파 黃林派

황림파(黃林派)는 사천의 권술로, 황릉파(黃陵派)라고도 한다. 가경 연간 사천 영창(榮昌)과 륭창(隆昌) 지역의 황림승이 전수했다는 설과 섬서(陝西)의 황제릉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측신취세(側身取勢)와 돈토침부(吞吐沉浮)가 특징이다.

자문 字門

자문은 사천의 4소가 중 하나로, 1919년 호북 한양의 이어조가 사천에 들어와 전수했다. 108자의 글자 모양을 따라 권법을 만들었으며, 각 글자마다 하나의 동작을 가진다. 코로 숨을 쉬며 힘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정자공, 대련보, 소련보, 육자수 등의 권술이 있다.

가라테 空手 : 복건성에서 오키나와를 거쳐 한국까지

오키나와 발상 가라테는 중국 무술과 고유 무술 '테'의 융합으로 탄생, '당수'에서 '공수'로 명칭 변화. 슨도메 룰의 전통파, 직접 타격의 풀컨택트 등 다양한 종류 존재. 형과 구미테를 핵심 기술로 하며, 전통 무술로서의 정체성 유지 노력도 지속 중이다.

영화 사상 가장 현실적인 서양 검투씬은?

위쳐를 비롯한 서양 중세 검술씬에서 폴란드 영화가 약진을 하고 있다. 뱀파이어의 고향 동유럽에 위치하여 아직도 중세의 신비를 간직해서 일까? 영화사상 유명한 검술씬을 보여준 영화 3편 중 2편이 폴란드 영화이다.

48식태극권 四十八式太極拳 : 1976년 탄생한 투로

48식태극권(四十八式太極拳)은 197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조직한 태극권 가들이 창편한 새로운 태극권 틀이다. 간화태극권을 기초로 하여 진식, 양식, 오식, 손식 태극권의 대표적 동작들을 통합했으며, 양식태극권의 기법 특징을 유지한다.

악문 嶽門

악문(嶽門)은 사천 지방의 권종으로, 촉에서 "사대가" 중 하나이며, 악비(嶽飛)를 창시자로 여긴다. 이 권법은 가식(架式)이 낮고 작으며, 보형(步型)은 마보(馬步)와 궁보(弓步)가 많다. 수법(手法)은 유(擄), 금(擒), 나(拿)를 주로...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88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482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565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921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87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780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505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486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88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482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565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921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687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780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505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486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