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컬럼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단타 短打

단타(短打)는 특정무술이 아니라 몸을 바싹 붙여 근접전에서 빠르게 공격하는 맨손 공방 기술을 의미한다. '단(短)'은 '장(長)'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장권(長拳)과 대비된다. 명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단타류 권법이 있었으며, 현대에는 팔극권, 형의권, 남권이 대표적인 단타 권법이다.

강유류  고주류(剛柔流) 가라테 : 오키나와 가라테의 일대장

고주류는 오키나와 3대 유파이자 일본 4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다. 미야기 초준이 나하테와 중국 권법을 연구해 창시했으며, '권지대요팔구'의 '법강유돈토'에서 이름을 따왔다. 현재 여러 계파로 나뉘어 있으며, 실전성 높은 무도로 킥복싱의 모체가 되었다.

9가지 잘못된 무술 상식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검증 안된 사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무술 상식도 그러죠!  무술도 신화로 가득 차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신화를 사실이라고 믿는 반면, 믿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9가지 무술 관련 신화를 검증해 보았습니다. 

무술의 기초 – 요가

요가와 무술은 공통점이 있다. 신체 기능을 향상하고 명상을 하고 치유를 하는 기능이다. 태극권처럼 신체를 정렬하고 명상하며 유연성을 높이려는 시도는 앞으로 무술계에서 적극적으로 해야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기사멸조(欺師滅祖)는 학력위조

자신이 소속한 문파의 스승과 시조를 속이거나 모욕한 것을 기사멸조라고 하며, 모든 문파에서 최고의 중죄이다. 문파에 대한 반역죄, 다른 문파와 내통한 내통죄보다 더 악질로 친다. 기사멸조를 저지른 자는 단근참맥 형을 내리고 병신을 만들어 내쫒는것이 일반적이다.

옥타곤의 뒷편: MMA 파이터들의 하루

종합격투기(MMA)는 현대 스포츠계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종목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옥타곤에 올라선 선수들은 타격, 그래플링, 서브미션 등 다양한 기술을 조합하며 관중의 심장을 뛰게 만든다. 하지만 화려한 경기 뒤에는 규율과 희생, 끊임없는 노력이 담긴 치열한 일상이 숨어 있다

오식태극권 吳式太極拳: 경유와 완만함의 완벽한 조화

오식 태극권은 오전우가 양식 태극권에서 파생시켜 오감천이 완성한 무술이다. 부드러움을 중심으로 간결하고 섬세한 권법을 특징으로 하며, 중정, 안서, 경령, 원활의 수련 원칙을 강조한다. 다양한 권법, 무기(도, 검, 창/곤), 추수, 기공법을 포함하며, 건강 증진과 무술 실력 향상에 기여한다. 왕무재, 오도남 등 수많은 전승자를 통해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체와 용의 조화를 중시하며, 꾸준한 수련을 통해 경지에 이를 수 있다.

싱잉볼만 있으면 명상이 절로! 마음은 벌써 저편에

티베탄 싱잉볼은 명상도구입니다. 바닥에 놓거나 손바닥에 올려놓고, 양가죽을 붙인 나무막대로 빙빙 돌리며 마찰시켜서 소리를 냅니다. 그 소리와 진동이 명상에 도움이 되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베트남, 제7회 중앙검도대회 성료

11월 19일, 베트남 호치민중앙검도클럽(회장 임기학)은 호치민시 검도연맹의 지원으로. 빈즈엉에서 제7회 중앙 검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베트남 전국 각지에서 200명이 넘는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한국인 코치와 심판이 참여했다.

무술 수련을 위한 적절한 웨이트트레이닝 수준은?

무술수련에 있어서 중량을 사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이 적절한가 아닌가를 놓고 오랫동안 찬반 논의가 있어왔다. 고중량 웨이트트레이닝은 무술의 힘쓰기와 다른 졸력을 사용한다며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반대로 중량운동은 현대무술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쪽도 있었다.

중국 북파무술과 팔괘장을 종합한, 유덕관

유덕관은 하북성 창주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무술을 익혀 육합권법, 대창에 정통하여 무림인으로부터 '대창류(大槍劉)‘로 칭송받았다. 실질적으로 중국 북파무술을 근대화하고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이 교류하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도검 刀劍 소드 Sword

유럽과 동아시아에서의 도검 분류법과 도검의 탄생 및 발전 과정, 그리고 철기 시대와 철검의 도입, 이를 토대로 각각의 문화를 대표하는 도검의 특징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도검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군사적 변화, 그리고 각 시대의 주요 무기와 전술 발전에 다루고 있다.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빠른 태극권 수련 : 눈 먼저 움직이기

일부 태극권 수련자들에게는 태극권을 할 때 눈이 어디를 보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극권에서는 : “당신의 눈은 당신의 의를 이끌고, 당신의 의는 당신의 기를 이끈다.” 고 합니다.

가라테 空手 : 오키나와에서 일본으로

가라테의 발상지 오키나와는 오랫동안 독립왕국의 위치를 유지하다 근대에 들어 일본에 병합되었다. 가라테는 중국 남부의 무술의 교류하며 탄생하였지만 일본 본토에 들어가 일본 무술 가라테가되었다. 오키나와 당수와 가라테는 구분해야 한다.

명학권 鳴鶴拳 : 학의 기상

명학권은 백학권에서 기원한 남권의 한 종류로, 중국 동남 연안 지역과 동남아시아 등지에 전해지는 전통 무술이다. 학의 모습을 본뜬 권법으로, 기를 단전에 모아 허리에서 발로 이어지는 힘을 사용하며, 빠른 진동과 촌경을 통해 타격한다.

화문 化門

화문(化門)은 사천의 사소가 중 하나로, 연폐문(練閉門)이라고도 한다. 강서인 황길천(黃吉川)이 전수했으며, 상대의 힘을 화해하고 신체를 속박하는 것이 특징이다. 파(巴), 탐(探), 괘(掛), 나(拿)의 수법을 사용하며, 해령(解鈴) 등의 투로가 있다.

중국 도검의 종류에 관한 고찰: 명청시대 도검 분류 연구

중국의 도검 유형에 관한 역사적 기록은 매우 희소하며, 현존하는 정보 또한 제한적이다. '무비지(武備志)'에서는 8가지 도검 유형을 언급하고 있으나, 저술 당시에는 단 두 종류만이 실제 사용되고 있었다.

이탈리아 중세검술 전문가가 평가한 위쳐의 전투씬

넷플릭스는 헨리 카빌이 리비아의 게롤트로 싸우는 영상 해설을 공개했다. 그는 방송 촬영 중 사용한 다양한 검과 자신의 필요에 맞게 검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팔괘장과 형의권을 퓨전한, 장점괴

장점괴張占魁 (1865년-1938년), 자는 조동兆東이다. 형의권과 팔괘장의 명사로 학생이 수 천명에 달하며 유명한 자는 한모협韓慕俠, 왕준신王俊臣, 유진경劉晉卿, 구치화裘稚和, 이검추李劍秋, 조도신趙道新, 강용초薑容樵, 전수초錢樹樵, 장우정張雨亭 등이 있다. 후대의 형의권, 팔괘장의 발전과 전파에 큰 기여를 하였다.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본무사들의 휴대용 호신병기 – 십수(十手, 짓테)

십수(十手)는 일본의 무기 및 체포도구의 하나. 30cm - 60cm 정도의 철, 놋쇠 등의 금속이나 참나무 등의 단단한 나무로 된 막대손잡이 부분에 'ㄱ'자를 붙인 것이다. 적의 칼의 방어나, 찌르기, 타격 등의 공격, 때로는 단봉술로 범인의 관절을 꺽고 누르고 던지기 등을 사영해 체포한다. 열 개의 손에 필적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십수'라고 한다. 유파에 따라서는 실수(實手)라는 표기를 사용한다. 십수를 이용한 무술을 십수술이라고 한다.

팔괘장의 창시자, 동해천 조사

동해천이 만든 팔괘장은 중국무술 역사상 가장 독특한 무술이며 메이저무술중에서는 가장 후대에 창시된 무술이다. 팔괘장은 수련방법으로 주권과 부보를 택하고 있으며 기격형태는 레슬링과 같은 근접전과 유술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

현상금 사냥꾼에게 무술이 필요할까?

미국의 현상금 사냥꾼과 보석 보증인 제도. 범인들은 순순히 잡혀주지 않는다. 현상금 사냥꾼들에게는 어떤 무술이 필요할까? 의외로 상대를 한 방에 보내는 UFC파이터의 기술보다는 CDT® 매뉴얼 내의 팔 꺽기 등의 인신구속 기법이 실용적이라고 한다.

엽문이 엄영춘 영춘권 창시설을 만들었을까?

영춘권의 많은 논쟁들은 계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람들은 어떻게 영춘을 설명해야 그것의 본질적인 면을 가장 잘 포착했는지 알고 싶어한다. 엄영춘이 영춘권을 만들었을까? 정통성은 역사적으로 검증되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가장 오래된 영춘의 계보가 가장 정통이라고 결론짓는다.

홍권 紅拳

홍권(紅拳)은 장권(長拳)의 한 종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이 창시했다거나, 섬서성 관중(關中) 지역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청나라 시대 산동성과 하북성 경계 지역에서 널리 수련되었으며, 민간 반청 비밀 조직에서 대중 선전 및 조직 수단으로 활용되어 널리 퍼졌다.

의권 意挙

의권(意拳)은 권술의 한 종류로, 형의권(形意拳)의 고명 중 하나로도 전해진다. 왕향재(王薌齋)가 형의권을 기반으로 다양한 권법을 수련하고 이론을 연구하여 창시하였다. 참장, 시력, 시성을 기초 공법으로 중요시한다.

내공

실력이 있다는 뜻의 내공. 내공의 어원은 무술 용어였으며 신조어이다. 중국에서 격투기였던 무술에서 기공 수련법을 받아들여 내공 수련법을 만들게 되면서 내공이라는 용어가 무술의 주요 개념으로 등장으로 하였다.

일본에 가라테를 전한 모토부 쵸키

모토부 쵸키는 오키나와 현 출신의 가라테 가이다. 오키나와 명문가 태생으로 어려서 부터 여러 가라테 선생에게 사사하였고 20대 때부터 전설적인 강함을 자랑하여 20세기 초중반 '최강 가라테 가'로 칭송받던 가라테의 대가이자 일본전류병법본부권법(모토뷰 류)의 시조이다.

MMA에서 여성의 부상: 장벽을 깨고 기록을 세우다

1990년대 MMA 초창기에는 여성 참여자가 거의 없었으며 참여하는 사람들도 회의적인 시각과 제한된 기회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기여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면서 여성 투기에 대한 가시성과 지원이 높아졌습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격렬하고 파괴적인 미 해병대 무술

미국 해병대가 배우고 있는 무술을 MCMAP이라고 하며 이는 Marine Corps Martial Arts Program의 약자이다. 군대는 CQC라는 백병전과 같은 것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곤오검법의 기원과 진실: 대만에서 부활한 20세기 검술

곤오검법은 중국 4대 검술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대만에서 만들어진 표현이다. 곤오검법은 청평검술에서 파생되었으며, 팔괘검술의 보법을 차용하여 청평검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창시되었다. 곤오검법은 화려한 보법과 실전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대에 만들어진 검술 중 하나이다.

‘더러운 싸움’을 시작한, 윌리엄 페어본

윌리엄 E. 페어본은 영국 특수부대의 근접전투 기술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무술가이자 군인이다. 그는 상하이 경찰에서 근무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페어본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근접전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에는 왜 전통무술이 없을까?

중국과 일본에 전통무술이 있으니, 한국에도 있겠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숨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완전히 잘못되었다. 역사의 발전단계에서 무술은 사라지는 것이 정상이며 한국도 정상적으로 무술이 섭 종료를 한 것이다.

도복을 입고 주짓수를 훈련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모든 운동이 그렇지만 생활에서 벗어나 땀을 흘리고 친구를 만나고 술과 담배를 줄이며 유흥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주짓수는 2인이 함께 경기를 해야 하는 구조상, 대인 관계, 사회성을 증진시키며 자신감을 배양할 수 있다.

숙학권 宿鹤拳 : 학의 방어 동작을 본따서

숙학권은 학이 둥지에 깃드는 모습에서 유래한 남파 학권의 일종이다. 팔보련 궤적, 탄두지경, 구배학신 자세, 내공 수련, 기격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삼전을 중시한다. 단전호흡을 통해 기를 단전에 집중시켜 힘을 기르고, "전경"이라는 독특한 힘을 발휘하여 민첩하고 강력한 움직임을 추구한다.

손가락을 꺽어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기

자기 방어 상황에서 관절을 조작하여 공격자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과 손 관절은 강하지 않습니다. 손가락을 꺽는 것은 엄청난 고통은 가져다 줍니다. 손 전체는 상당히 강하지만 개별  손가락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위해 복싱을 훈련해야 하는 8가지 이유

권투는 육체적으로 힘든 스포츠입니다. 일반적인 권투 세션에서 평균적인 사람은 시간당 250에서 1000칼로리를 태울 수 있습니다. 체중 감량이 복싱을 훈련하는 유일한 이유는 아닙니다. 복싱 수련에는 정신 건강 향상, 호신술, 유연성 향상을 포함합니다.

법 집행관을 위한 주짓수

법 집행관은 민간인을 상대할 때 무기를 그냥 꺼내 마음대로 쓸 수 없고, 후추 스프레이와 테이저건도 마찬가지입니다. 폭력적인 사람, 범죄자,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개인 또는 그룹과의 긴밀한 접촉을 할 때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게 맘대로 될까요?

엽문과 창녀: 중국 전통문화에서 여성성이 무기가 될 때

영춘건의 창시자인 엄영춘은 여성이다. 남성성이 주류를 이루는 중국 남부의 무술계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다. 엄영춘은 실제 인물일까? 아니면 엄영춘의 여성성을 무술의 특성과 연관시킨 것일까? 관세음보살도 엄연히 여성신이 아닌가? 엄영춘이 엽문의 창작일까?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335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3808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11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173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012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344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701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2958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4335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3808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11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4173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5012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344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4701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2958 | 추천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