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Featured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탄퇴 담퇴 彈腿 潭腿 : 무술 중의 근본 무술

탄퇴(彈腿)는 다리 기술을 중심으로, 보법과 수법을 결합한 권법이다. 다리를 뻗을 때 힘을 실어 탄환처럼 쏘아내는 듯한 특징에서 유래했다. 탄퇴는 10로 탄퇴와 12로 탄퇴로 나뉜다. 탄퇴는 중국 전통 권법의 기초 훈련으로 여겨지며, 빠른 속도와 강력한 힘, 좌우 대칭, 완벽한 자세를 요구한다.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일본무술의 본진, 고무도

고무도(古武道)는 메이지 유신 이전 성립된 일본 전통 무예다. 실전 기술과 심신 단련을 중시하며, 형(形) 수련을 통해 기술과 정신, 예법을 계승한다. 독자적 신체 운용이 특징이며, 현대 무도와 구분되어 다양한 유파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압형권 鴨形拳

압형권 상형권의 일종으로, 오리의 형태와 움직임을 모방하여 공격 및 방어 기술을 결합하여 만든 권법이다. 손 모양은 손바닥을 주로 사용하며, 팔은 휘젓고, 들어 올리고, 밀고, 누르는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동작은 내면의 힘을 담고 있으며, 오리처럼 낮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컬럼] 태권도 국기원 윤웅석 원장 취임에 기대한다.

전세계 태권도의 본부 도장인 국기원의 수장이 오늘자로 바뀌었다. 2025년 10월 13일(월) 오늘, 이동섭 원장이 퇴임하고, 윤웅석 원장이 새로 취임하였다. ​태권도 관계자들과의 취임 기념 오전 상견례 자리에서, 윤웅석 신임 국기원장은 취임 첫날 의욕적으로 사자후를 토해냈다.

위대한 검술 천재가 되려면?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는 방법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검술 종류를 선택하기 이전에, 왜 검술을 배우려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검술을 배우려는 목적은 먼저 정하고 그 목적에 따라 검술을 선정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팔괘장: 변화와 뒤틀림,유연함의 미학

팔괘장은 단순히 무술 기술의 집합이 아닌, 변화에 대한 철학, 인간 신체의 잠재력, 그리고 끊임없는 자기 연마의 가치를 담고 있는 독특한 문화유산이다. 팔괘장의 핵심 원리인 움직임과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인천 쿵후의 정통 계승자, 필서신

필서신(畢庶信). 1958년에 인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 화교 출신 무술가다. 대만 국적 부모 사이에서 출생한 화교 2세로 16세에 팔괘장의 고수였던 화교 사부 ‘유순화’를 만나 중국 무술을 시작했다. 그는 현재 인천에서 체육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타가 공인하는 인천 쿵후의 정통 계승자이다.

엽문이 엄영춘 영춘권 창시설을 만들었을까?

영춘권의 많은 논쟁들은 계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람들은 어떻게 영춘을 설명해야 그것의 본질적인 면을 가장 잘 포착했는지 알고 싶어한다. 엄영춘이 영춘권을 만들었을까? 정통성은 역사적으로 검증되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가장 오래된 영춘의 계보가 가장 정통이라고 결론짓는다.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빠른 태극권 수련 : 눈 먼저 움직이기

일부 태극권 수련자들에게는 태극권을 할 때 눈이 어디를 보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극권에서는 : “당신의 눈은 당신의 의를 이끌고, 당신의 의는 당신의 기를 이끈다.” 고 합니다.

미국에서 무술의 미국화

아시아의 무술들이 미국에 진출해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지금은 미국적인 토양에서 성장한 무술들, 즉 미국무술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UFC 원로 호이스 그레시가 맷 휴즈에게 MMA로 패하는 장면은 전통무술 몰락의 한 신호일지 모른다.

어떤 호신술을 배워야 할까요? 이렇게 해보세요.

무술을 배우려면 열심히 노력하고 훈련으로 자신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호신술 훈련은 실제 공격의 느낌을 경험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기어, 스파링 장갑, 파울 컵 및 마우스 피드, 발 보호대가 있어야 합니다. 거리에서 호신술을 쓰려면 지속적인 스파링을 해야 합니다. 

손가락을 꺽어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기

자기 방어 상황에서 관절을 조작하여 공격자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과 손 관절은 강하지 않습니다. 손가락을 꺽는 것은 엄청난 고통은 가져다 줍니다. 손 전체는 상당히 강하지만 개별  손가락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의권 意挙

의권(意拳)은 권술의 한 종류로, 형의권(形意拳)의 고명 중 하나로도 전해진다. 왕향재(王薌齋)가 형의권을 기반으로 다양한 권법을 수련하고 이론을 연구하여 창시하였다. 참장, 시력, 시성을 기초 공법으로 중요시한다.

일본도, 동양의 바스타드검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것을 도라고 하고 양쪽에 날이 있는 것을 검이라고 한다. 원래 도와 검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았으나 후대로 오면서 양자의 차이가 뚜렷해지게 되었다. 검은 주로 찌르는 용도이며 도는 베는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양자의 장점을 뽑아 일본도와 같은 하이브리드 검이 탄생되었다.

지당권 地躺拳

 지당권(地躺拳)은 땅에서 구르고, 넘어지고, 뒤집는 동작을 위주로 하는 권술(拳術)이다. '구르기, 넘어지기'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법, 다리 기술, 보법, 몸놀림을 결합하여 땅에서 공격하고 넘어졌을 때 반격하는 방법을 구사한다.

도쿄 도검박물관: 일본도의 예술과 역사 탐방

일본 미술도검보존협회(NBTHK)는 도검박물관을 설립하고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군 점령군이 일본인의 모든 일본도를 몰수하려 하자, 전멸의 위기에 처한 일본도를 보존하기 위해 1948년 2월 정부 공인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일본에 가라테를 전한 모토부 쵸키

모토부 쵸키는 오키나와 현 출신의 가라테 가이다. 오키나와 명문가 태생으로 어려서 부터 여러 가라테 선생에게 사사하였고 20대 때부터 전설적인 강함을 자랑하여 20세기 초중반 '최강 가라테 가'로 칭송받던 가라테의 대가이자 일본전류병법본부권법(모토뷰 류)의 시조이다.

명학권 鳴鶴拳 : 학의 기상

명학권은 백학권에서 기원한 남권의 한 종류로, 중국 동남 연안 지역과 동남아시아 등지에 전해지는 전통 무술이다. 학의 모습을 본뜬 권법으로, 기를 단전에 모아 허리에서 발로 이어지는 힘을 사용하며, 빠른 진동과 촌경을 통해 타격한다.

팔괘장 실전 48 가결

팔괘장 실전 48 가결은 격투시에 상대를 대적하는 요령을 담고 있다. 팔괘장 3대 전인, 이자명 노사가 가결을 정리하였다. 현대 격투의 관점에서 보면 당연하지만 음식이 싱거울 때 소금을 넣으면 된다처럼 어떤 것을 처음 발견하는 것은 대단한 업적이다.

4개의 주요 MMA 대회는 몇 라운드 경기를?

MMA 경기의 라운드 수는 프로모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UFC 및 Bellator와 같은 대부분의 주요 프로모션은 UFC 종합격투기 규칙을 따릅니다. 이러한 통일된 규칙은 격투가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무림맹, 을지로 한국체육관

서울의 중심, 을지로의 번잡함 속에 한때 대한민국 스포츠의 심장과도 같았던 공간이 있었다. '한국체육관'이라는 이름으로 기억되는 낡은 건물은 단순한 운동 시설을 넘어, 전쟁의 상처를 딛고 일어서려는 국가의 의지와 세계를 향해 도전했던 청년들의 열정이 응축된 역사적인 장소였다.

팔괘장은 왜 도는가? 주권 수련은 왜 하는가? Why is Baguazhang Circle Walking important?

팔괘장의 주권은 극단적인 몸의 중심 이동을 익혀 걷는다는 장소의 이동이 아니라 투수처럼 강속구를 던질 수 있는 힘의 발출이 가능한 몸으로 만들게 한다. 고급단계의 주권을 프로선수들이 배우면 자기 경기력을 향상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화도류  와도류(和道流) 가라테 : 유술과 가라테의 조화

와도류(和道流)는 오오츠카 히로키가 창시한 가라테와 유술의 융합 유파다. 신도요신류, 타메가류의 유술과 후나코시 기친 등에게 배운 가라테, 야규신카게류 등의 고류 검술을 결합했다. 와도류 유술권법도 창시했으며, 이는 유단자에게만 전수된다. 가라테 4대 유파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제안: 무거운 격검용 칼이 필요하다.

과거의 격검 훈련에서는 대나무로 만든 죽도, 후쿠로시나이, 목검 등을 사용하였다. 100여년 전에는 이런 소재가 가장 적절한 것이었다. 대나무로 만든 죽도 일 지라도, 세게 맞으면 큰 부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검도 호구가 발달했다. 검도 호구는 일본 검술의 오랜 연구와 상상력이 모두 녹아있는 매우 훌륭한 장비이다.

순양검-장검을 쓰는 도사의 검술

https://worldmartialarts.wiki/ 중국의 많은 검술이 있으나, 그 뿌리는 몇가지 되지 않으며, 최근에는 서로 섞이고 융합되어 근원을 추적하기 쉽지 않다. 중국 권법이 2천여가지라고 하지만 크게 북파와 남파로...

백미권 白眉拳

백미권(白眉拳)은 사천 아미산의 백미도인(白眉道人)이 전수한 권법이다. 광주, 복건, 홍콩, 마카오에 널리 전파되어 남소림권과 유사한 특징으로 남권의 한 종류로 여겨진다. 보가(步架)가 높고 동작 폭이 작으며, 근접 타격을 중시한다.

악씨연권 岳氏連拳

악씨연권(嶽氏連拳)은 단타류 권술로, 악씨산수(嶽氏散手)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원래 9가지 동작으로 시작되었으나, 후에 173가지로 늘어났다. 1912년 유덕관(劉德寬)이 악씨산수를 가르치기 위해 8가지 모세(母勢)로 정리하고 간단한 초식으로 연결하여 악씨연권을 만들었다. 

태극권이 ADHD 완화에 도움, 무술 훈련이 어린이들의 과잉 활동을 낮춰준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는 어린 학생들과 그들의 부모들에게도 어려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 어떤 사람들에게, 그 장애는 약물로 치료합니다. 새로운 연구는 ADHD의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합니다.

귀신들린 무술가, 주화입마(走火入魔)

주화입마는 도교와 무술, 그리고 불교와 같은 동양 철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개념이다. 이 용어는 특히 기공(氣功)이나 명상, 무술 훈련 등에서 잘못된 방법으로 수행하거나 과도한 욕심을 부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상지류 우에치류 上地流 가라테 : 진정한 의미의 당수

우에치류는 오키나와 3대 가라테 유파 중 하나로, 개조 우에치 칸본(上地完文)이 중국에서 배운 반경연권법을 기반으로 한다. 수리테나 나하테와 달리 순수 당수(唐手)의 흐름을 잇고 있으며, 8가지 형과 직접 타격을 특징으로 한다.

팔극권 八極拳

팔극권(八極拳)은 단타 권술로, 팔방으로 뻗어나가는 힘을 강조한다. 명말청초에 오종(吳鍾)이 창안했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는 오종이 스승의 뜻에 따라 창주(滄州)에 전파한 것이다. 권법은 주먹을 위주로 하며, 어깨, 등, 팔꿈치, 엉덩이를 활용한 공격이 많다. 

조문 趙門

조문(趙門)은 사천의 사대가 중 하나로,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을 창시자로 한다. 홍권(紅拳)을 기초로 하며, 청 광서(光緖) 연간에 장천복(張天福)이 사천에 전했다. 정제되고 시원한 가식과 다양한 각법, 도약이 특징이며, 태조권(太祖拳) 등의 투로가 있다.

노동조합: 중국 남권과 영춘권 성장의 토대

영춘권은 불산시에서 시작하여 홍콩에서 개화하였다. 영춘권의 성공은 남중국이라는 지역적인 특성에 힘을 입었다. 불산시는 중국의 대표적인 무역항으로 돈과 길드가 많았다. 길드에서는 노동자들에게 오락을 제공하였고 그중에 대표적인 것이 무술 수련이었다.

소림오권 少林五拳

少林五拳은 용권, 호권, 표권, 사권, 학권으로 구성된 중국 전통 무술이다. 각 권법은 신체의 다른 부분을 강화하며, 용권은 정신, 호권은 뼈, 표권은 힘, 사권은 기, 학권은 정기를 단련한다. 이 권법들은 원대의 권법가 백옥봉이 창안했다고 전해지며, 광동의 홍권과도 관련이 있다.

내경과 발경,전사경: 현대 스포츠과학으로 풀어보는 고대의 지혜

내경은 무술 용어로, 신비한 힘이 아닌 인체의 생리학적 기전이다. 현대 스포츠 과학의 '통합적 신체 운용'과 일맥상통하며, 근육의 힘뿐 아니라 신경 조절, 에너지 효율, 코어 안정성, 전신 협응, 정신력 등이 통합된 고차원적 운동 능력이다.

넷플릭스 영화 “재키의 링”은 록키의 MMA식 응답이다.

넷플릭스에서 할 베리가 출연하는 새로운 종합격투기 드라마 '재키의 링(Bruised)'을 공개했다. 할 베리는 록키 발보아처럼 펀치를 앞세워 스포츠 드라마를 강조한다.

가라테 空手 : 복건성에서 오키나와를 거쳐 한국까지

오키나와 발상 가라테는 중국 무술과 고유 무술 '테'의 융합으로 탄생, '당수'에서 '공수'로 명칭 변화. 슨도메 룰의 전통파, 직접 타격의 풀컨택트 등 다양한 종류 존재. 형과 구미테를 핵심 기술로 하며, 전통 무술로서의 정체성 유지 노력도 지속 중이다.

영어 마샬 아츠Martial Arts의 어원

현재 Martial Art는 격투기의 의미로 사용하지만 엄밀하게 따지자면 격투기는 Fighting Arts이며 지구 상의 모든 싸우는 방법에 대한 통칭이며 Martial Art무술은 그 중에서 동아시아의 특정한 격투기를 지칭한다.

도검난무, 도와 검, 한날 도와 양날 검의 구분

한쪽에만 날이 있는 것을 도(刀)라고 하고 양쪽에 날이 모두 있는 것을 검(劍)이라고 한다. 두개를 합쳐 도검이라고 한다. 청동기 시대에 처음 등장한 도는 철기의 등장으로  점차 검을 대체하여 군대의 주요 무기가 되었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9
[뉴스] 몰락하는 '소림사 CEO' 석영신 방장
일반 | 2025.10.13 | 조회 625 | 추천 0
2025.10.13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5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49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33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82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4
Q&A | 2024.02.20 | 조회 5430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319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3059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968 | 추천 11
2023.06.10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9
[뉴스] 몰락하는 '소림사 CEO' 석영신 방장
일반 | 2025.10.13 | 조회 625 | 추천 0
2025.10.13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5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49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933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821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4
Q&A | 2024.02.20 | 조회 5430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319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3059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968 | 추천 11
202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