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Featured

인기컬럼

아시아 무술의 맥, 유술벨트와 타격벨트

한국은 북방무술은 레슬링, 씨름 등의 유술과 남방무술인 가라테, 중국 남권 등의 타격기가 만나는 곳이다. 한국의 씨름은 오래 전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들어왔으며 태권도 등의 타격기는 중국 복건성과 오키나와를 통해 수입되었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동양의 마술, 차력

과거 장터에서 시범을 보이고 약을 팔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지금은 차력이 전문시범과 마샬아트트릭킹으로 이름을 바꿨지만 보호장비 하나 없이 열정적으로 돌을 격파하고 구렁이에게 닭을 먹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세계무술위키 최신 글

펜칵 실라트는 올림픽 종목이 될 수 있을까?

제15차 인도네시아 펜칵실라트협회(IPSI) 전국 회의는 “인도네시아의 펜칵 실라트는 올림픽을 목표로 한다”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 전의 태권도와 가라데처럼 큰 꿈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인천팔괘장의 진실: 쿵푸 팔괘장을 수련한 어느 老 철학자 이야기

연세대에서 팔괘장을 가르치는 교수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분이 바로 老 철학자 박정순 교수님이셨다. 이미 인터넷으로 그의 학문적 이력을 접하고 궁금해하던 차, 직접 만나 뵈었을 때의 인상은 놀라웠다. 박 교수님은 첫인상부터세속을 초탈한 철학자이자 무림 고수를 보는 듯했다.

일본의 창술(槍術)

창술은 창으로 싸우는 일본 무술로, 가마쿠라 시대 등장해 에도 시대에 호조인류 등 다수 유파와 카마야리, 쿠다야리 등 다양한 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일부 유파와 총검도로 명맥을 잇는다.

무당검술, 붓 대신 칼을 든 사람들의 국수의 칼날

1910년대 반식민지 상태의 중국에서 일어난 자강운동의 한 수단이 무술의 부흥이었다. 무술이 단순히 전투 기술이 아니라, 강인한 정신력과 건강한 신체를 길러주는 전인적 수련법이라고 믿었다. 이는 당시 서양식 교육과 체육의 도입에 맞서, 중국 전통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민족의 강인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무술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와도 맞아떨어졌다.

진식태극권 陳式太極拳 : 몸과 마음의 조화를 찾아 떠나는 우아한 여정

진식태극권(陳式太極拳)은 하남성 온현 진가구의 진왕정(陳王廷)이 창시했다. 음양개합의 이치와 척계광의 권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선형 운동과 강유의 조화가 특징이다. 노가(老架)와 신가(新架)로 나뉘며, 현재는 제1로와 제2로만 전해진다.

영춘권의 세계화와 이소룡의 역할

영춘권이 이소룡때문에 유명해졌다는 것인 하나의 요인에 불과하다. 영춘권이 세계화된 이유는 홍콩이라는 지리적 여건때문이다.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가 되고 중국과 국경이 폐쇄되면서 생기는 사회적인 문제와 빈부격차, 기타 문화적 요인이 겹쳐 이소룡의 용쟁호투의 개봉과 함께 영춘권의 인기를 떠맡을 기반이 조성되어 있었다.

장권 長拳 : 경극에서 체조 경기로

장권은 멀리 떨어져 공격하고, 빠르게 이동하는 맨손 공격 및 방어 기술을 의미한다. '장(長)'은 '단(短)'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단타(短打)'에 대응하여 장권이라 불린다. 명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장권 계열 권법이 있었고, 현대 무술에서는 이 개념을 계승하여 사권, 소림권 등을 통칭한다.

소림 심의파의 계승자, 덕건스님

덕건 스님은 그 좁은 방 안에서 소림 심의파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기술들을 하나 하나 보여주셨고, 단련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시며 따라 해보게 하셨다. 심의파(心意把)의 '파把'는 하남성 사투리로 권법을 의미한다고 하니 심의파는 심의권과 같은 말이다.

무술을 배우는 여성 #GirlPower #WomenWhoFight

한때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무술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의 참여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추세를 넘어 성평등과 권한 부여, 그리고 오랜 고정관념의 파괴를 상징하는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검경(劍經)』에서 강(剛)과 유(柔)라는 개념

과거의 무술서를 해석할때 강과 유같은 개념은 철학적이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술서적들의 설명은 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술의 새로운 학습방식, E-무도는 가능할까

다음은 일본의 무술전문지 『비전』지, 2019년 4월 최신호의 E-무도라는 새로운 개념과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앞으로 멀지 않은 미래에 무술을 집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E-무도, 확장하는 심기체(心氣體)" 무도...

중국검과 일본도가 퓨전했을 때

명나라 말기 일본도와 중국검이 많나 새로운 형태로 나온 것이 왜요도이다. 일본도 단면과 단조방식에 중국의 전통적인 도검의 곡률이 혼합되어 있다. 방패를 드는 것을 상정하기때문에 편수검이지만 길고 무겁다.

송도관류 가라테의 창시자, 후나고시 기친

후나고시 기친은 오키나와 출신으로, 당수를 가라테(공수도)로 개명하고 일본 본토에 전파한 인물이다. 그는 송도관류의 사실상 창시자이며, 강도관 시연, 대학 공수도부 창설, 저서 집필 등을 통해 공수도 발전에 기여했다. 말년에는 일본 공수도 협회 최고 사범을 역임했으나, 내부 갈등과 '본가' 논쟁을 겪기도 했다.

쿵푸는 왜 ‘힙스터’가 되지 못했나? MZ세대의 외면 속, 중국 무술의 반전 드라마는 시작될까 ?

한때 이소룡과 성룡 영화 한 편이면 동네 아이들이 너도나도 ‘아뵤!’를 외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중국 무술, 쿵푸는 그야말로 ‘힙’함 그 자체였죠.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요? 필라테스나...

팔극권 八極拳

팔극권(八極拳)은 단타 권술로, 팔방으로 뻗어나가는 힘을 강조한다. 명말청초에 오종(吳鍾)이 창안했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는 오종이 스승의 뜻에 따라 창주(滄州)에 전파한 것이다. 권법은 주먹을 위주로 하며, 어깨, 등, 팔꿈치, 엉덩이를 활용한 공격이 많다. 

무술 수련을 위한 적절한 웨이트트레이닝 수준은?

무술수련에 있어서 중량을 사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이 적절한가 아닌가를 놓고 오랫동안 찬반 논의가 있어왔다. 고중량 웨이트트레이닝은 무술의 힘쓰기와 다른 졸력을 사용한다며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반대로 중량운동은 현대무술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쪽도 있었다.

월광검법의 구조와 실제

월광검법은 한국의 상승검술이라고 알려졌지만 아무도 직접 보거나 배운 사람을 찾을 수 없다. 월광검법의 기원은 전통무술에서부터 황해도 기원설 등 무협지에서 유래한 설들을 찾을 수 있지만 어느 것도 진실이 아니다. 한국의 전통무술의 특징이라고 알려진-형이 없다, 춤과 같다-명제들은 모두 1960, 70년대에 한국무용에서 빌려온 거짓들이다.

오래된 현대무술, 소림권

소림권은 중국 전통 권종 중 하나이다. 중국 무술 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유파로서, 강건하고 힘차며, 소박하고 꾸밈없는 기술로 국내외에서 명성이 자자하다. 소림권은 역사적으로 여러 번 흥망성쇠를 겪었으며 우리가 보는 소림권은 현대무술인 소림권이다.

내경과 발경,전사경: 현대 스포츠과학으로 풀어보는 고대의 지혜

내경은 무술 용어로, 신비한 힘이 아닌 인체의 생리학적 기전이다. 현대 스포츠 과학의 '통합적 신체 운용'과 일맥상통하며, 근육의 힘뿐 아니라 신경 조절, 에너지 효율, 코어 안정성, 전신 협응, 정신력 등이 통합된 고차원적 운동 능력이다.

태조권 太祖拳

태조권의 기록은 고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장권(長拳)과 유사한 태조권이 산동, 하북, 하남, 산서 등지에 유행했다. 또한, 남권 계열의 태조권은 복건, 대만 등지에서 전해지며, 상체 동작이 많고, 권법이 강하고 맹렬하며, 자세가 견고하고, 초식이 짧은 특징이 있다.

사동류 시토류(糸東流) 가라테 : 수리테와 나하테의 융합

사동류 시토류(糸東流)는 마부니 켄와(摩文仁賢和)가 창시한 가라테 유파다. 수리테(首里手)와 나하테(那覇手) 양쪽의 흐름을 결합한 유파로, 쇼토칸류(松濤館流), 고주류(剛柔流), 와도류(和道流)와 함께 가라테 호신술의 4대 유파 중 하나로 꼽힌다.

UFC 파이터가 갖추어야 할 기술

MMA 선수가 되려면 우선 자신의 단일 무술 배경이 있어야 한다. 권투, BJJ, 레슬링, 태권도 등 한 가지 무술에 정통을 하고 MMA를 위한 기술 습득을 해야 한다. MMA라는 무술은 없으며 여러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경기를 하는 방식인 것이다.

유술 柔術

일본 유술은 상대 힘을 역이용해 제압하는 맨손 무술이다. 고대 전투 기술에서 시작, 에도 시대에 체계화되었고, 가노 지고로가 유도를 창시하며 현대화되었다. 다케노우치류, 요신류, 기토류, 덴진신요류, 대동류합기유술 등 다양한 유파가 있으며, 던지기, 굳히기, 아테미 기술과 정신 수양을 중시한다.

오조권 五祖拳

오조권(五祖拳)은 남권의 한 종류로, 복건성 진강 사람 채수명(蔡水明)이 창시했다. 그는 백학권, 원숭이권, 나한권, 달존권, 태조권을 익힌 후, 화양사(鶴陽師)에게 북파 무술을 배워 이들을 융합하여 오조학양권(五祖鶴陽拳)을 만들었다.

태권도 안에 중국무술이?

태권도의 초기 역사에서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무술들도 태권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태권도 태동기에 주요인물인 윤병인은 당시 일본과 중국북부(만주 지역)에서 다양한 무술을 접하고 배웠다고 합니다. 그중의...

일본도: 예술성과 실용성의 경계

일본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무기로서, 문화적 상징으로서, 그리고 예술품으로서 다양한 면모를 보여왔다. 그렇다면 일본도는 과연 미술품인가, 아니면 실용적인 도검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위대한 검술 천재가 되려면?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는 방법

한국에서 검술을 배우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검술 종류를 선택하기 이전에, 왜 검술을 배우려 하는가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검술을 배우려는 목적은 먼저 정하고 그 목적에 따라 검술을 선정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국제유도연맹, 한국에게 불리하도록 룰 개정

국제유도연맹이 2024 파리올림픽에 대비해 새로운 규칙들을 발표했다. 가장 논란이 많은 변화는 '최민호 업어치기'인데 이는 더 이상 득점이 아니며 벌점을 받게 된다. 이 기술은 올림픽 챔피언인 한국의 최민호 선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만화보고 무술 입문하기: 어느 만화부터?

인터넷조차 안보는 히키코모리가 아니라면 그래픽노블이 기반인 영화가 현재 대세라는 것을 눈치 챘을 것입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그랬죠. 그리고 일부는 실제 무술 영화는 그런 장르에 매우 가깝습니다. 작년 개봉한 스네이크 아이와 샹치는 둘 다 그래픽노블을 기반으로 합니다.

형의권 形意拳: 역사의 흐름 속에서 피어난 무예의 꽃

형의권은 중국의 전통 권법 중 하나로, 행의권이라고도 불린다. 형의권은 처음에 심의육합권이라 불렸는데, 이는 심과 의의 합일, 의와 기의 합일, 기와 력의 합일, 어깨와 골반의 합일, 팔꿈치와 무릎의 합일, 손과 발의 합일을 의미했다.

산타 散打: 중국 전통무술과 현대 격투기의 조화

산타 散打는 중국전통무술을 기반으로 현대 스포츠의 요소를 융합하여 탄생한 격투기 경기이다. 따라서 산타를 단순히 전통무술의 일부로 보거나, 완전히 새로운 격투기로만 보는 것은 정확하지 않으며,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화태극권 簡化太極拳 : 중국의 국민체조

간화태극권(簡化太極拳)은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조직한 태극권 가들이 정리한 새로운 태극권 틀이다. 양식태극권을 기초로 24개 동작을 선별해 만들어 '24식태극권'이라고도 하며, 쉽게 배우고 연습할 수 있어 널리 보급되었다.

무가권 巫家拳

무가권(巫家拳)은 호남 지역 권법 중 하나로, 복건성 정주 사람 무필달(巫必達)이 창시했다. 무필달은 남소림 연성권을 배우고 여러 권법을 섭렵한 후, 호남성 상담에 정착하여 무가권을 전수했다.

숙학권 宿鹤拳 : 학의 방어 동작을 본따서

숙학권은 학이 둥지에 깃드는 모습에서 유래한 남파 학권의 일종이다. 팔보련 궤적, 탄두지경, 구배학신 자세, 내공 수련, 기격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삼전을 중시한다. 단전호흡을 통해 기를 단전에 집중시켜 힘을 기르고, "전경"이라는 독특한 힘을 발휘하여 민첩하고 강력한 움직임을 추구한다.

실전을 위해서는 ‘작은’ 태권도로 나아가야 한다.

무술을 수련할 때 ‘크게 연습해서 작게 쓰라’는 금언을 자주 접한다. 연습하고 수련할때는 동작을 크게 크게 하는 것이 좋지만, 어느 단계에 이르면 기술을 작게 쓴다는 것이다. 품새 무용론을 외치는 사람들의 주장은 이런 괴리에서 시작한다.

영춘권의 창시자는 여성일까?

영춘권의 창시자는 엄영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초맨들의 영역인 무술에서 여성이 창시자인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중국 남부는 종법 질서와 가부장적인 면이 더 두드러진 곳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관세음보살이 여성 신격인 것처럼 과거의 세계관에 맞춘 창시설화에 불과합니다.

주먹의 전설

패트릭 맥카시는 아내 유리코의 도움으로 19세기 후반부터 현대까지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에서 수십 개의 신문과 잡지 기사를 번역하고 "주먹의 전설"이라는 책을 내게 됩니다.

비학권 飛鹤拳 : 학이 날아오르듯

비학권은 권술 중 남파 백학권(白鶴拳)의 일종이다. "통함으로써 날아오른다"고 하는데, 여기서 통이란 펼친다는 의미이다. 비학권은 백학권 기초 위에 학의 비상, 도약, 날개 펼침, 날갯짓 등의 동작을 모방하여 파생되었다.

현대의 조랑말보다 크지 않은 중세 군마

중세기사들의 전투마에 대한 진실을 찾고 있는 연구팀은 전마의 대부분이 현대의 조랑말 크기였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연구원들은 영국의 성, 중세의 말 묘지, 그리고 다른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발견된 4세기에서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약 2,000마리의 말의 뼈를 조사했다고 한다.

영춘권의 기원과 문화적 맥락에 대한 연구: 농민 반란, 월극, 그리고 홍선 무술의 교차점

본 연구는 명청 광둥의 사회변동 속 영춘권 기원과 형성을 다각 분석한다. 기존 기원설을 검토하고 영춘백학권과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농민 반란, 월극 홍선 무술, 목인장 탄생, 월극 금지 및 민간 보급 과정을 통해 영춘권이 시대와 민중 삶이 얽힌 독특한 문화유산임을 논증한다.

무술게시판 최신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32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765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725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231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14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942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805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627 | 추천 0
2023.06.05

무술게시판 인기글

번호 제목 작성일
58
합기도 관장들, 문체부 앞 시위…“생존권 보장하라”
합기도 | 2024.02.25 | 조회 6326 | 추천 0
2024.02.25
57
합기도, 2025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승격
합기도 | 2024.02.25 | 조회 5765 | 추천 0
2024.02.25
56
[답변]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2 | 조회 3725 | 추천 0
2024.02.22
55
청말기에 산동성 출신 무술가들이 만주로 이전한 것이 사실일까요?
Q&A | 2024.02.20 | 조회 5231 | 추천 0
2024.02.20
54
전북 겨루기 태권도 발전상 한눈에... 국립태권도박물관 테마전
태권도 | 2023.07.13 | 조회 7144 | 추천 0
2023.07.13
53
팔괘장 연구회, 서울시협회장배 우슈대회 겸 전국체육대회 서울시 우슈 예선전 참가
팔괘장 | 2023.07.10 | 조회 2942 | 추천 0
2023.07.10
52
인천팔괘장 완전정리
팔괘장 | 2023.06.10 | 조회 5805 | 추천 10
2023.06.10
51
팔괘장 정기 운동, 서울 팔괘장 연구회 (2023년 6월 4일)
팔괘장 | 2023.06.05 | 조회 3627 | 추천 0
2023.06.05